[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珠 구슬 주

1. 경촌주 (徑寸珠) [경촌주]

한자: 徑(지름길/길 경), 寸(마디 촌:), 珠(구슬 주)

지름이 한 치나 되는 큰 구슬.

2. 광명주 (光明珠) [광명주]

한자: 光(빛 광), 明(밝을 명), 珠(구슬 주)

밝게 빛나는 구슬.

3. 노주 (露珠) [노주]

한자: 露(이슬 로(:)), 珠(구슬 주)

이슬이 맺히어 생긴 방울.

4. 누금주 (鏤金珠) [누금주]

한자: 鏤(새길 루), 金(쇠 금), 珠(구슬 주)

금에 무늬를 새겨 만든 구슬.

5. 누주 (淚珠) [누:주]

한자: 淚(눈물 루:), 珠(구슬 주)

구슬 같은 눈물방울.

6. 단주 (短珠) [단:주]

한자: 短(짧을 단(:)), 珠(구슬 주)

54개 이하의 구슬을 꿰어 만든 짧은 염주.

용례:

  • 단주를 굴리다.
  • 큰절 감사로 있는 키가 나지막하고 머리통이 뚝뚝 불거진 사내는 연방 한쪽 손으로 단주를 돌리며….≪김동리, 불화≫

7. 동주 (東珠) [동주]

한자: 東(동녘 동), 珠(구슬 주)

대동강, 두만강에서 나는 방합(蚌蛤) 속에서 생긴 진주.

8. 명주 (明珠) [명주]

한자: 明(밝을 명), 珠(구슬 주)

「1」빛이 고운 아름다운 구슬.
「2」대동강, 두만강에서 나는 방합(蚌蛤) 속에서 생긴 진주.

9. 무공주 (無孔珠) [무공주]

한자: 無(없을 무), 孔(구멍 공:), 珠(구슬 주)

구멍을 뚫지 않은 진주.

10. 무궁주 (無窮珠) [무궁주]

한자: 無(없을 무), 窮(다할/궁할 궁), 珠(구슬 주)

염할 때 죽은 사람의 입속에 넣는 깨알처럼 작고 까만 구슬.

11. 묵주 (默珠) [묵쭈]

한자: 默(잠잠할 묵), 珠(구슬 주)

묵주 기도를 드릴 때에 쓰는 성물. 큰 구슬 5개, 작은 구슬 54개를 줄에 꿰고 끝에 십자가를 단다.

용례:

가정이 비교인 가정이면서도 그만은 영세를 받지 않았었지만 열심히 교리 문답을 외우고 묵주를 세면서 성부와 성자와 성신의 이름으로 기도를 하였던 것이다.≪이정환, 샛강≫

12. 미주 (美珠) [미:주]

한자: 美(아름다울 미(:)), 珠(구슬 주)

아름다운 구슬.

13. 벽주 (碧珠) [벽쭈]

한자: 碧(푸를 벽), 珠(구슬 주)

푸른 빛깔의 구슬.

14. 보리자염주 (菩提子念珠) [보리자염주]

한자: 菩(보살 보), 提(끌 제), 子(아들 자), 念(생각 념:), 珠(구슬 주)

보리자나무의 열매로 만든 염주.

용례:

보리자염주 한 알 한 알에 불자의 공덕이 스며 있다.

15. 보주 (寶珠) [보:주]

한자: 寶(보배 보:), 珠(구슬 주)

「1」보배로운 구슬.
「2」용의 턱 아래에 있는 영묘한 구슬. 이것을 얻으면 무엇이든 뜻하는 대로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한다.
「3」탑이나 석등 따위의 맨 꼭대기에 얹은 구슬 모양의 장식.
「4」위가 뾰족하고 좌우 양쪽과 위에 불꽃 모양의 장식을 단 구슬.

16. 빈주 (蠙珠) [빈주]

한자: 蠙(진주조개 빈), 珠(구슬 주)

진주조개·대합·전복 따위의 조가비나 살 속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 조개의 체내에 침입한 모래알 따위의 이물(異物)이 조가비를 만드는 외투막(外套膜)을 자극하여 분비된 진주질이 모래알을 에워싸서 생긴다. 탄산 칼슘이 주성분이며, 우아하고 아름다운 빛깔의 광택이 나서 장신구로 쓴다.

17. 산주 (算珠) [산:주]

한자: 算(셈 산:), 珠(구슬 주)

「1」수를 세는 데 쓰는 구슬.
「2」활의 순(巡)을 셈하는 데 쓰는 구슬.

18. 산호주 (珊瑚珠) [산호주]

한자: 珊(산호 산), 瑚(산호 호), 珠(구슬 주)

산호로 만든 구슬. 분홍빛, 붉은빛, 흰빛 따위가 있으며 여러 가지 장식에 쓰인다.

19. 상주 (上珠) [상:주]

한자: 上(윗 상:), 珠(구슬 주)

좋은 구슬과 옥.

20. 수주 (手珠) [수주]

한자: 手(손 수(:)), 珠(구슬 주)

여러 개의 나무로 만든 구슬을 끈에 꿰어서 고리 모양으로 만든 물건. 주로 나이 든 사람들이 손에 들고 빙빙 돌려 손의 뻣뻣한 증상을 부드럽게 푸는 데 쓴다.

21. 수주 (數珠) [수:주]

한자: 數(셈 수:), 珠(구슬 주)

염불할 때에, 손으로 돌려 개수를 세거나 손목 또는 목에 거는 법구(法具).

22. 아교주 (阿膠珠) [아교주]

한자: 阿(언덕 아), 膠(아교 교), 珠(구슬 주)

아교를 잘게 썰어 불에 볶아 구슬 모양으로 만든 약. 강장제나 지혈제로 쓴다.

23. 안주 (眼珠) [안:주]

한자: 眼(눈 안:), 珠(구슬 주)

눈알 앞쪽의 도톰한 곳. 또는 눈동자가 있는 곳.

24. 알관주 (알貫珠) [알관주]

한자: 貫(꿸 관(:)), 珠(구슬 주)

한시(漢詩) 따위를 꼲을 때 아주 잘된 곳에 찍던 관주. 둥근 표를 한다.

25. 야광주 (夜光珠) [야:광주]

한자: 夜(밤 야:), 光(빛 광), 珠(구슬 주)

어두운 데서 빛을 내는 구슬.(야명주)

용례:

세상에 아무리 큰 욕심쟁이라도 바다에 들어가서 야광주를 캘 수는 있을지언정 나무에 올라가서 붕어를 잡을 수는 없을 것일세.≪한용운, 흑풍≫

26. 야주 (夜珠) [야:주]

한자: 夜(밤 야:), 珠(구슬 주)

축하하는 뜻으로 총이나 포로 쏘아 올리는 불꽃. 흑색 화약에 철분 따위를 섞어 통에 넣고 불을 붙여 총이나 포로 공중으로 쏘아 올리면 폭음과 함께 터져 여러 색깔의 불꽃이 흩어진다.

27. 여의주 (如意珠) [여이주]

한자: 如(같을 여), 意(뜻 의:), 珠(구슬 주)

「1」용의 턱 아래에 있는 영묘한 구슬. 이것을 얻으면 무엇이든 뜻하는 대로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한다.(이주)
「2」불교에서, 법과 공덕이나 경전의 공덕을 상징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1」내가 태어나기 전 할머니께서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셨다고 한다.

28. 연주 (連珠) [연주]

한자: 連(이을 련), 珠(구슬 주)

림프샘의 결핵성 부종인 갑상샘종이 헐어서 터진 부스럼.

29. 연주 (聯珠) [연주]

한자: 聯(연이을 련), 珠(구슬 주)

「1」구슬을 뀀. 또는 그 구슬.
「2」아름다운 시문(詩文)을 이르는 말.

30. 염주 (念珠) [염:주]

한자: 念(생각 념:), 珠(구슬 주)

염불할 때에, 손으로 돌려 개수를 세거나 손목 또는 목에 거는 법구(法具).

용례:

  • 염주를 목에 걸다.
  • 염주를 쥔 두 손을 모아 합장하다.

31. 요주 (瑤珠) [요주]

한자: 瑤(아름다운옥 요), 珠(구슬 주)

아름다운 구슬.

32. 유객주 (留客珠) [유객쭈]

한자: 留(머무를 류), 客(손 객), 珠(구슬 주)

한쪽 끈의 고리에 있는 구슬을 다른 쪽 끈의 고리로 옮기며 노는 장난감.

33. 유주 (遺珠) [유주]

한자: 遺(남길 유), 珠(구슬 주)

「1」소중한 구슬을 잊고 버려둠. 또는 그 구슬.
「2」세상에 미처 알려지지 아니한 훌륭한 인물이나 시문(詩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4. 의보주 (擬寶珠) [의보주]

한자: 擬(비길 의:), 寶(보배 보:), 珠(구슬 주)

층계, 다리, 난간 따위의 기둥 윗부분에 쓰이는 장식물. 모양은 양파와 비슷하다.

35. 이주 (耳珠) [이:주]

한자: 耳(귀 이:), 珠(구슬 주)

귀고리에 달린 구슬.

36. 장중주 (掌中珠) [장:중주]

한자: 掌(손바닥 장:), 中(가운데 중), 珠(구슬 주)

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7. 정주 (頂珠) [정주]

한자: 頂(정수리 정), 珠(구슬 주)

「1」상투에 쓰는 모자 위에 꾸민 구슬.
「2」부처의 이마 가운데에 박은 구슬.

38. 조주 (造珠) [조:주]

한자: 造(지을 조:), 珠(구슬 주)

인공으로 만든 구슬.

39. 진주 (眞珠) [진주]

한자: 眞(참 진), 珠(구슬 주)

진주조개·대합·전복 따위의 조가비나 살 속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 조개의 체내에 침입한 모래알 따위의 이물(異物)이 조가비를 만드는 외투막(外套膜)을 자극하여 분비된 진주질이 모래알을 에워싸서 생긴다. 탄산 칼슘이 주성분이며, 우아하고 아름다운 빛깔의 광택이 나서 장신구로 쓴다.

용례:

  • 진주 목걸이.
  • 진주 반지.
  • 그녀는 웨딩드레스를 진주로 장식했다.
  • 나는 떨리는 손으로 왕녀의 따뜻한 몸을 자꾸 쓸어 보았다. 그녀의 목에 걸린 눈익은 진주 목걸이를 몇 번이나 만져 보았다.≪최인훈, 가면고≫

40. 채주 (採珠) [채:주]

한자: 採(캘 채:), 珠(구슬 주)

바닷물 속에 들어가 진주를 캐어 냄.

41. 토주 (土珠) [토주]

한자: 土(흙 토), 珠(구슬 주)

흙으로 만든 작은 구슬.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 신라 때의 무덤에서 나오나 용도는 알 수 없다.

42. 현주 (懸珠) [현:주]

한자: 懸(달[繫] 현:), 珠(구슬 주)

매단 구슬처럼 아름답게 빛난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눈을 이르는 말.

43. 혈주 (血珠) [혈쭈]

한자: 血(피 혈), 珠(구슬 주)

핏빛의 산호주.

44. 화주 (火珠) [화:주]

한자: 火(불 화(:)), 珠(구슬 주)

불을 일으키는 구슬. 수정빛의 바둑알 모양인데 햇빛에 갖다 대고 솜을 가까이에 놓으면 그 솜이 탄다고 한다.

45. 흑진주 (黑眞珠) [흑찐주]

한자: 黑(검을 흑), 眞(참 진), 珠(구슬 주)

검은빛의 진주.

용례:

희미한 불빛 아래였으나 그의 눈은 흑진주같이 맑고 영롱하게 빛나 보인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