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체 (感滯) [감:체]
한자: 感(느낄 감:), 滯(막힐 체)
감기와 겹친 소화 불량증.
2. 건체 (愆滯) [건체]
한자: 愆(허물 건), 滯(막힐 체)
기한 안에 이행하여야 할 채무나 납세 따위를 지체하는 일.
3. 건체 (蹇滯) [건:체]
한자: 蹇(절 건), 滯(막힐 체)
「1」괴로워하면서 머뭇거림.
「2」뜻대로 되지 않음.
4. 계체 (稽滯) [계:체]
한자: 稽(머무를 계:), 滯(막힐 체)
일이 밀려 늦어짐. 또는 그렇게 함.
5. 고체 (固滯) [고체]
한자: 固(굳을 고(:)), 滯(막힐 체)
‘고체하다’
(성질이 편협하고 고집스러워 너그럽지 못하다.)의 어근.
6. 구체 (久滯) [구:체]
한자: 久(오랠 구:), 滯(막힐 체)
「1」오랫동안 내버려둠.
「2」오랫동안 한곳에 쌓여 있거나 머무름.
「3」오래된 체증. 만성 위장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7. 구체 (舊滯) [구:체]
한자: 舊(예 구:), 滯(막힐 체)
오래된 체증. 만성 위장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8. 급체 (急滯) [급체]
한자: 急(급할 급), 滯(막힐 체)
갑작스럽게 체함. 또는 그런 증세.
용례:
- 급체에 걸리다.
- 급체를 내리다.
- 그는 급체로 며칠째 굶고 있다.
9. 기체 (氣滯) [기체]
한자: 氣(기운 기), 滯(막힐 체)
「1」체내의 기(氣) 운행이 순조롭지 못하여 어느 한곳에 정체되어 막히는 병리 현상. 또는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 배가 더부룩하거나 통증이 있다.
「2」마음이 편하지 아니하여 생기는 체증.
10. 늦체 (늦滯) [늗체]
한자: 滯(막힐 체)
그리 급하지 아니하게 체함. 또는 그런 증세.
11. 담체 (痰滯) [담:체]
한자: 痰(가래 담:), 滯(막힐 체)
담(痰)이 몰려 한곳에 뭉친 것. 또는 그로 인하여 생긴 병.
12. 두체 (逗滯) [두체]
한자: 逗(머무를 두), 滯(막힐 체)
멈추고 나아가지 아니함.
13. 미루체 (彌留▽滯) [미루체]
한자: 彌(미륵/오랠 미), 留(머무를 류), 滯(막힐 체)
오래된 체증. 만성 위장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14. 삽체 (澁滯) [삽체]
한자: 澁(떫을 삽), 滯(막힐 체)
일이 잘 진행되지 아니하고 늦어짐.
15. 색체 (色滯) [색체]
한자: 色(빛 색), 滯(막힐 체)
얼굴에 화색이 없음. 또는 그 얼굴.
16. 서체 (暑滯) [서:체]
한자: 暑(더울 서:), 滯(막힐 체)
여름철에 더위로 인하여 생기는 체증(滯症).
용례:
“이 애가 단단히 서체를 했구나. 으응?” 강실이에게는 그 목소리조차 아득하게 들렸다.≪최명희, 혼불≫
17. 소체 (消滯) [소체]
한자: 消(사라질 소), 滯(막힐 체)
체한 음식을 삭여 내려가게 함.
18. 숙체 (宿滯) [숙체]
한자: 宿(잘 숙), 滯(막힐 체)
음식물이 소화되지 아니하고 위장에 머물러 있는 병. 음식을 지나치게 먹거나 비위가 허하여 생긴다.
19. 식체 (食滯) [식체]
한자: 食(밥/먹을 식), 滯(막힐 체)
음식에 의하여 비위가 상하는 병증. 과식을 하거나 익지 않은 음식, 불결한 음식을 먹거나 기분이 안 좋은 상태에서 음식을 섭취할 때 생긴다.
20. 애체 (礙滯) [애체]
한자: 礙(거리낄 애:), 滯(막힐 체)
걸리어서 막힘.
21. 엄체 (淹滯) [엄:체]
한자: 淹(담글 엄), 滯(막힐 체)
「1」앞길이 열리지 아니하여 세상에 나서지 못하고 파묻혀 있음.
「2」오래 지체함.
「3」죄수의 처분을 지체하여 감옥에 그대로 둠.
22. 연체 (延滯) [연체]
한자: 延(늘일 연), 滯(막힐 체)
「1」정한 기한에 약속을 지키지 못하고 지체함.
「2」기한 안에 이행하여야 할 채무나 납세 따위를 지체하는 일.
용례:
「2」전기세 연체로 전기가 끊겼다.
23. 옹체 (壅滯) [옹:체]
한자: 壅(막을 옹), 滯(막힐 체)
쌓이고 막혀 통하지 않고 걸림.
24. 울체 (鬱滯) [울체]
한자: 鬱(답답할 울), 滯(막힐 체)
공기 따위가 막히거나 가득 참.
25. 유체 (乳滯) [유체]
한자: 乳(젖 유), 滯(막힐 체)
어린아이가 젖에 체하여 생기는 병증.
26. 유체 (流滯) [유체]
한자: 流(흐를 류), 滯(막힐 체)
흐름과 막힘.
27. 유체 (留滯) [유체]
한자: 留(머무를 류), 滯(막힐 체)
한곳에 오래 머물러 있음.
28. 유체 (濡滯) [유체]
한자: 濡(젖을/막힐 유), 滯(막힐 체)
막히고 걸림.
29. 육체 (肉滯) [육체]
한자: 肉(고기 육), 滯(막힐 체)
고기를 먹고 생긴 체증.
30. 응체 (凝滯) [응:체]
한자: 凝(엉길 응:), 滯(막힐 체)
내려가지 아니하고 걸리거나 막힘.
31. 적체 (積滯) [적체]
한자: 積(쌓을 적), 滯(막힐 체)
「1」쌓이고 쌓여 제대로 통하지 못하고 막힘.
「2」음식물이 제대로 소화되지 못하고 체한 채로 있음.
용례:
- 「1」인사 적체.
- 「1」취업난으로 고급 인력의 적체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32. 정신지체 (精神遲滯) [정신지체]
한자: 精(정할 정), 神(귀신 신), 遲(더딜/늦을 지), 滯(막힐 체)
‘지적 장애’(선천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인하여 생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중추 신경 계통에 장애가 생겨 정신 발달이 늦거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전 용어.
33. 정체 (停滯) [정체]
한자: 停(머무를 정), 滯(막힐 체)
사물이 발전하거나 나아가지 못하고 한자리에 머물러 그침.
용례:
- 경제의 정체로 불황이 지속된다.
- 주말이 되면 이 도로는 교외로 나들이 가는 차량으로 극심한 정체를 이룬다.
- 후퇴도 전진도 정체보다는 낫다.≪이병주, 지리산≫
34. 주체 (酒滯) [주체]
한자: 酒(술 주(:)), 滯(막힐 체)
술을 마셔서 생기는 체증.
용례:
며칠 밤을 새우고 술을 먹더니 주체가 났나 보다….≪김유정, 정조≫
35. 지체 (遲滯) [지체]
한자: 遲(더딜/늦을 지), 滯(막힐 체)
「1」때를 늦추거나 질질 끎.
「2」의무 이행을 정당한 이유 없이 지연하는 일.
용례:
- 「1」잠시도 지체 말고 바로 집으로 돌아가시오.
- 「1」증서를 우체국으로 가지고 가자 지체 없이 일금 오천 원을 지불해 주던 것이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36. 침체 (沈滯) [침체]
한자: 沈(잠길 침(:)), 滯(막힐 체)
「1」어떤 현상이나 사물이 진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무름.
「2」벼슬이나 지위가 오르지 못함.
용례:
- 「1」침체 국면.
- 「1」침체 상태.
- 「1」경기 침체.
- 「1」침체의 늪에 빠지다.
- 「1」침체에 허덕이다.
- 「1」80년대에 맹위를 떨치던 논리들이 최근 침체의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37. 통체 (通滯) [통체]
한자: 通(통할 통), 滯(막힐 체)
체하여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치료법.
38. 협체 (挾滯) [협체]
한자: 挾(낄 협), 滯(막힐 체)
식체(食滯)와 겹쳐 다른 병이 생기는 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