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증 (干證) [간증]
한자: 干(방패 간), 證(증거 증)
「1」자신의 종교적 체험을 고백함으로써 하나님의 존재를 증언하는 일.
「2」예전에, 남의 범죄에 관련된 증인.
2. 거증 (擧證) [거:증]
한자: 擧(들 거:), 證(증거 증)
「1」증거를 들어 어떤 사실을 증명함. 또는 그 증거.
「2」사실의 유무를 법원에 증명하는 소송 행위.
3. 검사증 (檢査證) [검:사쯩]
한자: 檢(검사할 검:), 査(조사할 사), 證(증거 증)
검사를 마쳤다고 인정하거나 증명하는 서류.
용례:
- 자동차 검사증.
- 그곳에 들어가려면 에이즈 검사증이 필요하다고 한다.
4. 검역증 (檢疫證) [거:멱쯩]
한자: 檢(검사할 검:), 疫(전염병 역), 證(증거 증)
「1」감염병에 대한 예방 조치를 받았음을 인정하는 증명서.
「2」선박이 검역을 받았음을 인정하는 증명서.
5. 검인증 (檢印證) [거:민쯩]
한자: 檢(검사할 검:), 印(도장 인), 證(증거 증)
서류, 물건, 책 따위에 도장을 찍어 검사를 마쳤음을 밝히는 종이나 서류.
6. 검정증 (檢定證) [검:정쯩]
한자: 檢(검사할 검:), 定(정할 정:), 證(증거 증)
검정을 마친 후에 주는 증서나 증표.
7. 검증 (檢證) [검:증]
한자: 檢(검사할 검:), 證(증거 증)
「1」검사하여 증명함.
「2」법관이나 수사관이 자기의 감각으로 어떤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 따위를 인식하여 증거를 조사하는 일.
「3」어떤 명제의 참, 거짓을 사실에 비추어 검사하는 일.
용례:
- 「1」검증 결과.
- 「1」그 이론은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이므로 신뢰할 수 없다.
- 「2」수사 기관의 검증.
- 「2」화장터엔 아직도 머리를 잃어버린 시인의 관이 승화하지 못한 채 관할서 형사들의 검증을 받고 있었다.≪김성일, 무차원 근처≫
8. 고증 (考證) [고증]
한자: 考(생각할 고(:)), 證(증거 증)
예전에 있던 사물들의 시대, 가치, 내용 따위를 옛 문헌이나 물건에 기초하여 증거를 세워 이론적으로 밝힘.
용례:
- 왕궁이 철저한 문헌의 고증을 통해 복원되었다.
- 역사학자의 고증에 의하면 중세 때부터 서구 사회에서는 좌측통행을 지켰다고 한다.
9. 공동보증 (共同保證) [공:동보증]
한자: 共(한가지 공:), 同(한가지 동), 保(지킬 보(:)), 證(증거 증)
하나의 채무에 대하여 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서는 보증. 보증을 서는 사람은 채무를 균등한 비율로 나눈 액수만큼만 보증을 부담한다.
10. 공무원증 (公務員證) [공무원쯩]
한자: 公(공평할 공), 務(힘쓸 무:), 員(인원 원), 證(증거 증)
공무원의 신분을 증명하는 표찰(標札). 공무원 신분을 명백히 할 필요가 있을 때 가슴에 단다.
11. 공용증 (公用證) [공용쯩]
한자: 公(공평할 공), 用(쓸 용:), 證(증거 증)
공적인 임무를 띠고 있음을 증명하는 서류.
12. 공증 (公證) [공증]
한자: 公(공평할 공), 證(증거 증)
국가나 공공 단체가 직권(職權)으로 어떤 사실을 공적으로 증명하는 일. 등기, 등록, 영수증 교부, 증명서 발급, 여권 발급 따위이다.
용례:
급한 돈 공증 없이 담보만 잡고 싼 이자로 돈 놓겠다는 사채업자도 있었다.≪전상국, 음지의 눈≫
13. 구상보증 (求償保證) [구상보증]
한자: 求(구할[索] 구), 償(갚을 상), 保(지킬 보(:)), 證(증거 증)
보증인이 주된 채무자에 대하여 가지는 구상권을 담보하기 위한 보증. 곧 보증인에 대한 채무자의 상환 의무를 보증하는 일이다.
14. 구증 (口證) [구:증]
한자: 口(입 구(:)), 證(증거 증)
말로써 증명함. 또는 그런 증명.
용례:
증인을 곧 만나기로 하였으니 이번 사건의 범죄 구증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15. 군인증 (軍人證) [구닌쯩]
한자: 軍(군사 군), 人(사람 인), 證(증거 증)
군인임을 증명하는 신분증.
용례:
군인증 발급.
16. 권리증 (權利證) [궐리쯩]
한자: 權(권세 권), 利(이할 리:), 證(증거 증)
등기소에서 등기가 완료된 것을 증명하여 교부하는 서류. 이 서류의 소지인은 권리자로 추측된다.
17. 근보증 (根保證) [근보증]
한자: 根(뿌리 근), 保(지킬 보(:)), 證(증거 증)
계속적인 계약 관계에서 생기는, 장래의 채무에 대한 보증. 변동하는 채무의 장래에 대비하는 보증과 단순히 장차 발생할지도 모르는 보증의 두 가지가 있다.
18. 납부증 (納付證) [납뿌쯩]
한자: 納(들일 납), 付(부칠 부:), 證(증거 증)
세금이나 공과금 따위를 관계 기관에 냈음을 증명하는 문서.(납입증)
19. 납세필증 (納稅畢證) [납쎄필쯩]
한자: 納(들일 납), 稅(세금 세:), 畢(마칠 필), 證(증거 증)
세금을 냈음을 증명하는 증서.
20. 논증 (論證) [논증]
한자: 論(논할 론), 證(증거 증)
옳고 그름을 이유를 들어 밝힘. 또는 그 근거나 이유.
용례:
- 학문에서는 철저한 논증이 가장 중요하다.
- 논증이 불가능한 일을 근거로 내세울 수는 없다.
21. 단증 (段證) [단쯩]
한자: 段(층계 단), 證(증거 증)
‘단’으로 등급을 매기는 바둑, 태권도, 유도 따위에서, 실력에 따라 매긴 등급을 기재한 증서.
용례:
- 기원에서 아마 기사에게 단증을 수여하였다.
- 철수는 1년간 태권도를 배워 단증을 땄다.
22. 당원증 (黨員證) [당원쯩]
한자: 黨(무리 당), 員(인원 원), 證(증거 증)
정당의 당원임을 입증하는 표.
용례:
- 당원증을 교부받다.
- 당원증을 제시하고 당사에 들어가다.
23. 당증 (黨證) [당쯩]
한자: 黨(무리 당), 證(증거 증)
정당의 당원임을 입증하는 표.
용례:
당원이 되어 얼마 후 당증을 교부받았다.
24. 대증 (對證) [대:증]
한자: 對(대할 대:), 證(증거 증)
「1」서로 마주하여 증거를 내세움.
「2」대질하여 증거 조사를 함.
25. 도강증 (渡江證) [도강쯩]
한자: 渡(건널 도), 江(강 강), 證(증거 증)
허가를 받아야 통과할 수 있는 강을 건너는 데 필요한 증명서.
용례:
차를 돌리시오. 도강증이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도 통과시킬 수 없소.≪홍성원, 육이오≫
26. 도민증 (道民證) [도:민쯩]
한자: 道(길 도:), 民(백성 민), 證(증거 증)
예전에, 일정한 도(道) 안에 사는 주민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도지사가 발행하던 신분 증명서.
용례:
- 도민증을 발급받다.
- 도민증이 나오다.
- 오늘 상부에서 동지들께 대한민국 국민임을 증명하는 도민증을 만들어 드리라는 공문이 내려왔습니다.≪홍성원, 육이오≫
27. 도항증 (渡航證) [도항쯩]
한자: 渡(건널 도), 航(배 항:), 證(증거 증)
배를 타고 나라 밖으로 나가는 것을 허락하는 증명서.
28. 뒷보증 (뒷保證) [뒤:뽀증]
한자: 保(지킬 보(:)), 證(증거 증)
「1」민법에서, 채권 양도(債權讓渡)의 의사 표시를 증권의 뒷면에 기재하는 일. 교부(交付)와 함께 채권 양도의 성립 요건 또는 효력 발생 요건이 되며, 배서인(背書人)의 서명(署名)이나 기명
날인(記名捺印)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2」어음 또는 증권의 권리 처분이나 대리권 행사의 위임을 목적으로 어떤 행위를 함. 또는 그 행위.
「3」정보증인이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때에 뒤에서
대신 그 의무를 이행하는 일.
29. 등기필증 (登記畢證) [등기필쯩]
한자: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畢(마칠 필), 證(증거 증)
등기소에서 등기가 완료된 것을 증명하여 교부하는 서류. 이 서류의 소지인은 권리자로 추측된다.(등기증)
30. 등록증 (登錄證) [등녹쯩]
한자: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證(증거 증)
「1」일정한 자격 조건을 갖추었음을 증명하는 문서.
「2」행정 관서나 공공 기관 따위에서 일정한 법률 사실이나 법률관계를 공증한 문서.
용례:
- 「1」요리 학원 등록증.
- 「2」자동차 등록증.
- 「2」천신만고 끝에 발급받은 등록증을 제시하니 시민증도 쉽게 나왔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31. 망증 (妄證) [망:증]
한자: 妄(망령될 망:), 證(증거 증)
늙거나 정신이 흐려서 정상을 벗어난 증언을 함. 또는 그 증언.
32. 맞보증 (맞保證) [맏뽀증]
한자: 保(지킬 보(:)), 證(증거 증)
서로 보증을 서는 일. 또는 그 보증.
용례:
서로 맞보증을 서다.
33. 면허증 (免許證) [면:허쯩]
한자: 免(면할 면:), 許(허락할 허), 證(증거 증)
면허의 내용과 사실을 기재한 증서.
용례:
교통 신호를 위반한 운전자에게 경찰은 면허증을 제시하라고 하였다.
34. 명증 (明證) [명증]
한자: 明(밝을 명), 證(증거 증)
「1」명백하게 증명함. 또는 명백한 증거.
「2」간접적인 추리에 의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진리임을 인지할 수 있는 일.
용례:
- 「1」친구의 명증으로 나는 겨우 혐의에서 벗어났다.
- 「1」여기 자네가 한 말이 거짓이라는 명증이 있으니 이제 사실을 말하게.
35. 무사증 (無査證) [무사쯩]
한자: 無(없을 무), 査(조사할 사), 證(증거 증)
출입국 허락의 표로 여권에 찍어 주는 보증이 없이 그 나라에 드나들 수 있는 것.
36. 무증 (誣證) [무:증]
한자: 誣(속일 무:), 證(증거 증)
법률에 따라 선서한 증인이 허위 증언을 하는 일.
37. 문증 (文證) [문증]
한자: 文(글월 문), 證(증거 증)
글로 나타낸 증거의 표.
38. 문증 (文證) [문증]
한자: 文(글월 문), 證(증거 증)
어떤 단어나 언어 형태가 기존의 문헌 속에 실제로 기록되어 있음을 밝힘.
39. 물증 (物證) [물쯩]
한자: 物(물건 물), 證(증거 증)
‘물적 증거’(증거 방법의 하나. 범행에 사용된 흉기, 훔친 물건 따위를 증거로 하는 일을 이른다.)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물증을 잡다.
- 그의 진술을 뒷받침할 만한 물증을 확보하였다.
- 그가 범인이라는 구체적 물증은 없지만 심증이 간다.
40. 반납증 (返納證) [반:납쯩]
한자: 返(돌이킬 반:), 納(들일 납), 證(증거 증)
반납을 확인하는 증명서.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證 증거 증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證 증거 증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證 증거 증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