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炭 숯 탄: - 2

46. 왕겨탄 (王겨炭) [왕겨탄]

한자: 王(임금 왕), 炭(숯 탄:)

왕겨를 빻아 가루로 만든 뒤에 높은 온도와 높은 압력으로 굳혀서 장작개비 모양으로 만든 탄.

47. 운탄 (運炭) [운:탄]

한자: 運(옮길 운:), 炭(숯 탄:)

석탄을 나름.

48. 원료탄 (原料炭) [월료탄]

한자: 原(언덕 원), 料(헤아릴 료(:)), 炭(숯 탄:)

제철용 원료나 가스 발생로에 쓰는 코크스의 원료가 되는 석탄. 단단하고 치밀하여 발열량이 많다.

49. 원탄 (原炭) [원탄]

한자: 原(언덕 원), 炭(숯 탄:)

탄층(炭層)에서 캐낸 그대로의 석탄.

50. 유연탄 (有煙炭) [유:연탄]

한자: 有(있을 유:), 煙(연기 연), 炭(숯 탄:)

탈 때 연기가 나는 석탄. 갈탄, 역청탄 따위가 있다.

용례:

이윽고 유연탄 때는 연기가 솟아올랐다.≪이문구, 장한몽≫

51. 유탄 (柳炭) [유:탄]

한자: 柳(버들 류(:)), 炭(숯 탄:)

버드나무를 태워 만든 숯. 그림의 윤곽을 그리는 데 쓴다.

용례:

스케치북에는 호수 주변을 유탄으로 그린 그림이 여러 장 있었다.

52. 이공탄 (二孔炭) [이:공탄]

한자: 二(두 이:), 孔(구멍 공:), 炭(숯 탄:)

두 개의 구멍이 뚫린 연탄.

용례:

아궁이에 이공탄 두 개를 넣다.

53. 이탄 (泥炭) [이탄]

한자: 泥(진흙 니), 炭(숯 탄:)

땅속에 묻힌 시간이 오래되지 아니하여 완전히 탄화하지 못한 석탄. 이끼나 벼 따위의 식물이 습한 땅에 쌓이어 분해된 것으로, 광택이 없고 검은 갈색을 띠며 해면 모양이나 실 모양 또는 흙덩이 모양을 하고 있다. 발열량이 적으며, 비료나 연탄의 원료로 쓰인다.

용례:

그 이야기도 너무 오래 자주 계속되어 온 터라, 이미 재가 되어 버린 이탄처럼 아무 온기도 전해 주지 않았다.≪윤후명, 파랑새≫

54. 잔류탄 (殘留炭) [잘류탄]

한자: 殘(남을 잔), 留(머무를 류), 炭(숯 탄:)

나무의 껍질, 진, 씨 따위와 같이 화학적으로 견고한 물질에서 생긴 석탄. 탄화 정도에 따라 누런색이나 짙은 갈색을 띤다.

55. 재탄 (滓炭) [재탄]

한자: 滓(찌끼 재), 炭(숯 탄:)

잘게 부스러진 탄이나 숯.

56. 재탄 (載炭) [재:탄]

한자: 載(실을 재:), 炭(숯 탄:)

석탄을 실음.

57. 저질탄 (低質炭) [저:질탄]

한자: 低(낮을 저:), 質(바탕 질), 炭(숯 탄:)

화력이 약하고 질이 나쁜 석탄.

58. 저탄 (貯炭) [저:탄]

한자: 貯(쌓을 저:), 炭(숯 탄:)

석탄, 숯 따위를 모아서 간수하여 둠.

59. 점결탄 (粘結炭) [점결탄]

한자: 粘(붙을 점), 結(맺을 결), 炭(숯 탄:)

연소하거나 건류할 때 350℃ 정도에서 융해하여 휘발분을 발생한 후에 구멍이 많은 코크스를 이루는 석탄. 석탄 자원 가운데에 가장 중요한 용도로 쓰인다.

60. 정탄 (精炭) [정탄]

한자: 精(정할 정), 炭(숯 탄:)

선탄(選炭)으로 불순물이 제거되어 품질이 좋아진 석탄.

61. 제탄 (製炭) [제:탄]

한자: 製(지을 제:), 炭(숯 탄:)

「1」탄(炭)이나 연탄을 만듦.
「2」숯을 구워 만듦.

62. 조개탄 (조개炭) [조개탄]

한자: 炭(숯 탄:)

조가비 모양으로 만든 연탄.

용례:

  • 사무실 안의 조개탄을 피운 난로는 한창 발열이 좋아 실내가 후끈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조개탄이 쌓인 검은 무더기가 여러 곳에 드문드문 무덤들처럼 흩어져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63. 조탄 (粗炭) [조탄]

한자: 粗(거칠 조), 炭(숯 탄:)

아주 질이 나쁘고 거친 석탄. 흙이 많이 섞이고 충분히 탄화되지 않아 광택이 없다.

64. 중괴탄 (中塊炭) [중괴탄]

한자: 中(가운데 중), 塊(흙덩이 괴), 炭(숯 탄:)

덩이가 굵지도 잘지도 아니한 중간 정도의 괴탄.

65. 증탄 (增炭) [증탄]

한자: 增(더할 증), 炭(숯 탄:)

「1」석탄을 캐내는 양을 더 늘림. 또는 그 양.

「2」불꽃의 밝기를 높이기 위하여 탄소 화합물에 증기를 더하여 주는 일.

용례:

「1」증탄 비율만큼 임금이 오를 것이라는 소식은 광부들에게 실낱같은 희망을 주었다.

66. 지탄 (枝炭) [지탄]

한자: 枝(가지 지), 炭(숯 탄:)

나뭇가지로 구운 숯.

67. 착화탄 (着火炭) [차콰탄]

한자: 着(붙을 착), 火(불 화(:)), 炭(숯 탄:)

연탄에 불을 붙이는 데 쓰는 불쏘시개의 하나. 톱밥이나 왕겨 따위를 태워 숯처럼 굳혀 얇은 연탄 모양으로 만든다.

68. 채탄 (採炭) [채:탄]

한자: 採(캘 채:), 炭(숯 탄:)

석탄을 캐내는 일.

69. 초탄 (炒炭) [초탄]

한자: 炒(볶을 초), 炭(숯 탄:)

약재를 까맣게 태우고 속은 황갈색이 되도록 함. 또는 그런 가공 방법.

70. 출탄 (出炭) [출탄]

한자: 出(날[生] 출), 炭(숯 탄:)

「1」석탄을 캐냄. 또는 석탄이 나옴.
「2」숯을 구어 냄.

71. 침탄 (浸炭) [침:탄]

한자: 浸(잠길 침:), 炭(숯 탄:)

저탄소강 표면부를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탄소 성분을 스며들게 하는 처리. 목탄, 일산화 탄소, 사이안화 칼륨 따위에 강철을 넣고 가열한다.

72. 탈색탄 (脫色炭) [탈쌕탄]

한자: 脫(벗을 탈), 色(빛 색), 炭(숯 탄:)

아주 작은 구멍이 많이 있어 표면적이 큰 미분(微粉) 탄소. 윤활유 따위 액체의 착색 불순물을 흡착(吸着)시키는 데 쓴다.

73. 탈탄 (脫炭) [탈탄]

한자: 脫(벗을 탈), 炭(숯 탄:)

강철을 공기 속에서 가열할 때 표면의 탄소가 일산화 탄소로 산화되어 표면의 탄소량이 감소하는 현상.

74. 탐탄 (探炭) [탐탄]

한자: 探(찾을 탐), 炭(숯 탄:)

석탄을 탐사함.

75. 토탄 (土炭) [토탄]

한자: 土(흙 토), 炭(숯 탄:)

땅속에 묻힌 시간이 오래되지 아니하여 완전히 탄화하지 못한 석탄. 이끼나 벼 따위의 식물이 습한 땅에 쌓이어 분해된 것으로, 광택이 없고 검은 갈색을 띠며 해면 모양이나 실 모양 또는 흙덩이 모양을 하고 있다. 발열량이 적으며, 비료나 연탄의 원료로 쓰인다.

용례:

사내의 지게 발채 속에는 마른 쇠똥 같은 토탄이 쌓여 있었다. 논에서 파내는 이 토탄은 유일한 연료이기도 했다.≪유현종, 들불≫

76. 투탄 (投炭) [투탄]

한자: 投(던질 투), 炭(숯 탄:)

기관(汽罐) 속에 석탄을 퍼 넣음.

77. 함탄 (含炭) [함탄]

한자: 含(머금을 함), 炭(숯 탄:)

석탄을 함유함.

78. 해탄 (骸炭) [해탄]

한자: 骸(뼈 해), 炭(숯 탄:)

점결탄, 아스팔트, 석유 등 탄소가 주성분인 물질을 가열하여 휘발 성분을 없앤, 구멍이 많은 고체 탄소 연료. 불을 붙이기는 어려우나 발열량이 크고 연기가 없어서 가스 제조, 용광로나 주물 제조 따위에서 야금용(冶金用) 연료로 쓴다.

79. 혈탄 (血炭) [혈탄]

한자: 血(피 혈), 炭(숯 탄:)

동물의 피를 탄산 나트륨과 함께 공기를 공급하지 아니하고 태워서 만든 다공질의 활성탄.

80. 화탄 (化炭) [화:탄]

한자: 化(될 화(:)), 炭(숯 탄:)

양모 방적에서, 원료가 되는 양털에 붙어 있는 나뭇잎, 티끌 따위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거나 탄화하여 없애는 일.

81. 활성탄 (活性炭) [활썽탄]

한자: 活(살 활), 性(성품 성:), 炭(숯 탄:)

높은 흡착성을 지닌 탄소질 물질. 목탄 따위를 활성화하여 만드는 것으로, 다공질이어서 색소나 냄새를 잘 빨아들이므로 탈색·정제·촉매·방독면 따위에 쓰인다.

82. 훈탄 (薰炭) [훈탄]

한자: 薰(향풀 훈), 炭(숯 탄:)

짚, 낙엽, 잡초 따위를 태운 재를 인분과 섞어 만든 거름.

83. 휘탄 (輝炭) [휘탄]

한자: 輝(빛날 휘), 炭(숯 탄:)

석탄층 가운데에서 광택이 강한 부분의 석탄. 줄무늬 모양이며 주로 식물의 목질부(木質部)가 탄화(炭化)하여 이루어진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炭 숯 탄: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