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정 (開廷) [개정]
한자: 開(열 개), 廷(조정 정)
법정을 열어 재판을 시작하는 일. 재판은 법정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필요할 때 법원장의 권한으로 법원 외의 장소에서 행할 수 있다.
용례:
재판장이 개정을 선포하다.
2. 공개정 (公開廷) [공개정]
한자: 公(공평할 공), 開(열 개), 廷(조정 정)
누구든지 재판 과정을 방청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법정.
3. 공정 (公廷) [공정]
한자: 公(공평할 공), 廷(조정 정)
공판을 행하는 법정.
용례:
뒤에 변호사를 통해 당신의 그 찜찜한 구석을 공정에서 드러내고 제대로 밝혀낼 기회가 있으니까 그 점은 염려일랑 말아요.≪이호철, 문≫
4. 공판정 (公判廷) [공판정]
한자: 公(공평할 공), 判(판단할 판), 廷(조정 정)
공판을 행하는 법정.
용례:
그러나 사오 일 후 속개된 공판정에서의 피고의 태도는 또 사람들을 실망케 하였다.≪장용학, 현대의 야≫
5. 관정 (官廷) [관정]
한자: 官(벼슬 관), 廷(조정 정)
벼슬아치들이 나랏일을 보던 집.
6. 군법정 (軍法廷) [군법쩡]
한자: 軍(군사 군), 法(법 법), 廷(조정 정)
군사 법원의 법정.
7. 궁정 (宮廷) [궁정]
한자: 宮(집 궁), 廷(조정 정)
임금이 거처하는 집.
용례:
- 궁정에서 연회를 베풀다.
- 어린 시절 모차르트는 아버지와 함께 궁정을 드나들며 연주를 했다.
8. 궐정 (闕廷) [궐쩡]
한자: 闕(대궐 궐), 廷(조정 정)
임금이 거처하는 집.
용례:
신은 눈이 어지럽고 걷기가 어려워서 궐정에 나아가지 못하나, 구구한 뜻을 스스로 그만둘 수 없으므로 죽음을 무릅쓰고 아룁니다.≪번역 중종실록≫
9. 내정 (內廷) [내:정]
한자: 內(안 내:), 廷(조정 정)
궁궐의 안.
용례:
강본과 추원을 내정으로 들여보내 궁성의 위급을 고하게 하고 대원군을 끌어내 오도록 명했다.≪유현종, 들불≫
10. 대법정 (大法廷) [대:법쩡]
한자: 大(큰 대(:)), 法(법 법), 廷(조정 정)
대법관 3분의 2 이상으로 구성되는 대법원의 재판 기관. 명령 또는 규칙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함을 인정할 때, 대법원에서 종전에 판시(判示)한 판례에 관한 의견을 변경할 필요가 있음을 인정할 때, 소법정(小法廷)에서 재판함이 적당하지 않음을 인정할 때에 이들을 심판한다.
11. 만정 (滿廷) [만:정]
한자: 滿(찰 만(:)), 廷(조정 정)
사람들이 조정이나 법정 따위에 가득함. 또는 그 사람들.
용례:
만정의 백관들은 죽은 듯이 고요하였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12. 만조정 (滿朝廷) [만:조정]
한자: 滿(찰 만(:)), 朝(아침 조), 廷(조정 정)
「1」조정에 가득함. 또는 온 조정.
「2」조정의 모든 벼슬아치.
용례:
- 「1」만조정 고관대작들이 모인 화려한 좌석 틈에 흥선군 이하응의 얼굴도 보였다.≪박종화, 전야≫
- 「2」목금 형편 보게 되면 양의는 하나도 없고 만조정이 모두 용렬한 의원뿐이니 가위 장태식할 자이로다.≪무서명,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
13. 법정 (法廷) [법쩡]
한자: 法(법 법), 廷(조정 정)
법원이 소송 절차에 따라 송사를 심리하고 판결하는 곳.
용례:
- 법정 진술.
- 법정에 서다.
- 법정에 출두하다.
- 피고인으로 법정에 세우다.
- 지금 말한 내용을 법정에서도 진술할 수 있습니까?
14. 소법정 (小法廷) [소:법쩡]
한자: 小(작을 소:), 法(법 법), 廷(조정 정)
대법원의 대법관 3명 이상으로 구성된 합의체 재판 기관. 대법원에서 처리되는 사건을 먼저 심리하며, 대법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행정, 조세, 노동, 군사 따위의 사건을 심판할 수 있다.
15. 송정 (訟廷) [송:정]
한자: 訟(송사할 송:), 廷(조정 정)
예전에, 송사(訟事)를 처리하던 곳.
16. 심정 (審廷) [심정]
한자: 審(살필 심(:)), 廷(조정 정)
소송을 심판하는 곳.
17. 예심정 (豫審廷) [예:심정]
한자: 豫(미리 예:), 審(살필 심(:)), 廷(조정 정)
예전의 형사 소송법에서, 예심을 여는 법정을 이르던 말.
18. 왕정 (王廷) [왕정]
한자: 王(임금 왕), 廷(조정 정)
임금이 친히 다스리는 조정.
19. 입정 (入廷) [입쩡]
한자: 入(들 입), 廷(조정 정)
법정에 들어감.
용례:
- 재판관 입정.
- 피고인 입정.
- 방청인들은 입정을 마친 뒤 조용히 해 주십시오.
20. 재정 (在廷) [재:정]
한자: 在(있을 재:), 廷(조정 정)
「1」조정(朝廷)에서 일을 함.
「2」법정에 나와 있음.
21. 재판정 (裁判廷) [재판정]
한자: 裁(옷마를 재), 判(판단할 판), 廷(조정 정)
법원이 소송 절차에 따라 송사를 심리하고 판결하는 곳.
22. 조정 (朝廷) [조정]
한자: 朝(아침 조), 廷(조정 정)
임금이 나라의 정치를 신하들과 의논하거나 집행하는 곳. 또는 그런 기구.
용례:
조정의 신하들이 광해군을 몰아 내쫓고, 인조반정을 성취한 후에….≪이희승, 소경의 잠꼬대≫
23. 종교법정 (宗敎法廷) [종교법쩡]
한자: 宗(마루 종), 敎(가르칠 교:), 法(법 법), 廷(조정 정)
종교 교리에 입각하여 재판을 진행하는 재판소.
24. 천정 (天廷) [천정]
한자: 天(하늘 천), 廷(조정 정)
「1」천제(天帝)가 사는 궁궐. 삼태성, 삼형성, 태미성 따위를 이른다.
「2」하늘의 법정. 또는 신(神)의 심판.
25. 출정 (出廷) [출쩡]
한자: 出(날[生] 출), 廷(조정 정)
법정에 나가는 일.
용례:
일요일이면 형무소 내에도 느긋한 기분이 든다. 법원과 검찰청에 나가는 일, 즉 출정이란 것이 없기 때문이다.≪이병주, 지리산≫
26. 퇴정 (退廷) [퇴:정]
한자: 退(물러날 퇴:), 廷(조정 정)
법정에서 물러남.
27. 폐정 (閉廷) [폐:정]
한자: 閉(닫을 폐:), 廷(조정 정)
재판, 심리 따위를 마침. 또는 그런 일.
28. 휴정 (休廷) [휴정]
한자: 休(쉴 휴), 廷(조정 정)
법원에서, 재판을 잠깐 동안 쉬는 일.
용례:
재판장은 휴정을 선언하고 자리에서 일어서는 참이었다.≪장용학, 현대의 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