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抄 뽑을 초

1. 가별초 (家別抄) [가별초]

한자: 家(집 가),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조선 전기에, 왕가(王家)에서 사사로이 부리던 백성 또는 사병의 무리.

2. 경별초 (京別抄) [경별초]

한자: 京(서울 경),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고려 시대에, 중앙군에 속한 별초.

3. 등초 (謄抄) [등초]

한자: 謄(베낄 등), 抄(뽑을 초)

원본에서 베껴 옮김.

4. 마별초 (馬別抄) [마:별초]

한자: 馬(말 마:),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고려 고종 16년(1229)에, 무신 정권의 최후 집권자인 최우가 가병(家兵)으로 조직하였던 기병대.

5. 발초 (拔抄) [발초]

한자: 拔(뽑을 발), 抄(뽑을 초)

글 따위에서 필요한 대목을 가려 뽑아서 베낌. 또는 그런 내용.

용례:

책이 워낙 방대해서 발초가 수월치 않았고 발초의 양도 많아졌다.

6. 별세초 (別歲抄) [별세초]

한자: 別(다를/나눌 별), 歲(해 세:), 抄(뽑을 초)

대사면이 있을 때 죄인의 이름을 뽑아 임금에게 보고하던 일.

7. 별초 (別抄) [별초]

한자: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1」고려 시대에, 정규 군대 이외에 특별히 조직한 군대. 명종 4년(1174)에 설치한 야별초가 그 시초이며, 뒤에 삼별초로 발전하였다.
「2」조선 시대에, 어떤 지점을 수비하기 위하여 그 부근 사람들을 뽑아 조직한 군대.
「3」조선 중기 이후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기 위하여 금군(禁軍) 이외에 특별히 뽑은 군사.

8. 삼별초 (三別抄) [삼별초]

한자: 三(석 삼),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고려 시대에 둔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의 세 군대. 고종 때 설치한 것으로, 최우가 조직한 야별초를 발전시킨 특수 부대였다.

9. 세초 (歲抄) [세:초]

한자: 歲(해 세:), 抄(뽑을 초)

「1」조선 시대에, 해마다 6월과 12월에 이조와 병조에서 죄가 있는 벼슬아치를 적어 임금에게 보고하던 일. 이에 따라 강등하거나 서용하였다.
「2」조선 시대에, 해마다 6월과 12월에 죽거나 병들거나 도망간 군인을 조사하여 보충하던 일.
「3」조선 시대에, 해마다 6월과 12월에 포상하여야 할 사람을 임금에게 보고하던 일. 농상이나 목축에 빼어난 자, 효행이나 절의가 있는 자, 시험 성적이 좋은 관리 따위를 추천하였다.

10. 수초 (手抄) [수초]

한자: 手(손 수(:)), 抄(뽑을 초)

보거나 느낀 바를 그때그때 간략하게 추려 적음. 또는 그런 기록.

11. 시초 (詩抄) [시초]

한자: 詩(시 시), 抄(뽑을 초)

시를 뽑아 적는 일. 또는 시를 뽑아 적은 책.

12. 십이초 (十二抄) [시비초]

한자: 十(열 십), 二(두 이:), 抄(뽑을 초)

조선 시대에, 승보시(陞補試)를 열두 번에 나누어 보이던 일. 음력 6월, 7월, 11월, 12월을 뺀 나머지 여덟 달에 열두 번으로 나누어 보게 하였는데, 나중에는 시월에 한꺼번에 보게 하였다.

13. 야별초 (夜別抄) [야:별초]

한자: 夜(밤 야:),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고려 시대에, 무신 정권의 사병(私兵)으로서 최우가 설치한 군대. 처음에는 도둑을 단속하였으나, 뒤에 기능과 인원이 늘어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누었다가 신의군을 합하여 삼별초를 이루었다.

14. 우별초 (右別抄) [우:별초]

한자: 右(오를/오른(쪽) 우:),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고려 시대에 둔 삼별초의 하나.

15. 일기초 (日記抄) [일기초]

한자: 日(날 일), 記(기록할 기), 抄(뽑을 초)

폐위된 임금의 역사를 편찬하는 데에 근거가 되는 초록(抄錄).

16. 일초 (日抄) [일초]

한자: 日(날 일), 抄(뽑을 초)

날마다 필요한 것만 뽑아서 베낌. 또는 그런 서명(書名).

17. 자전초 (自傳抄) [자전초]

한자: 自(스스로 자), 傳(전할 전), 抄(뽑을 초)

자서전이 될 대목만을 간단히 추려서 적은 기록.

18. 잡초 (雜抄) [잡초]

한자: 雜(섞일 잡), 抄(뽑을 초)

여러 가지 잡다한 것을 추려 뽑아 적음. 또는 그런 책.

19. 장초 (壯抄) [장:초]

한자: 壯(장할 장:), 抄(뽑을 초)

「1」군사가 될 만한 장정(壯丁)을 골라 뽑던 일.
「2」조선 후기에, 훈련도감 관할의 경기 속오군 가운데에서 건장한 사람을 뽑아 편성한 군대.

20. 좌별초 (左別抄) [좌:별초]

한자: 左(왼 좌:), 別(다를/나눌 별), 抄(뽑을 초)

고려 시대에 둔 삼별초의 하나.

21. 중초 (重抄) [중:초]

한자: 重(무거울 중:), 抄(뽑을 초)

다시 옮겨 적음.

22. 초초 (初抄) [초초]

한자: 初(처음 초), 抄(뽑을 초)

지방에서 초시와 같이 시험을 보게 하여 정해진 자격자를 뽑던 일.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