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수중총 (水中銃) [수중총]
한자: 水(물 수), 中(가운데 중), 銃(총 총)
물속에서 쏠 수 있도록 만든 총.
47. 신호총 (信號銃) [신:호총]
한자: 信(믿을 신:), 號(이름 호(:)), 銃(총 총)
신호할 때 쓰는 특수한 총. 또는 신호로 쏘는 총.
용례:
신호총이 울리자 선수들은 출발선에서 달려 나갔다.
48. 실총 (實銃) [실총]
한자: 實(열매 실), 銃(총 총)
진짜 총.
용례:
무기의 공급을 받고 보니 사기는 높아지지 않을 수 없었다. 목총이 아닌 실총, 공포가 아닌 실탄, 훈련 능률이 또 오를 수밖에 없는 일이었다.≪안수길, 북간도≫
49. 쌍권총 (雙拳銃) [쌍권총]
한자: 雙(두/쌍 쌍), 拳(주먹 권:), 銃(총 총)
「1」한 손에 하나씩 양손에 쥐는 두 개의 권총.
「2」대학생들의 은어로, 한 학기에 학점 미달인 과목이 둘임을 이르는 말.
용례:
- 「1」쌍권총을 차다.
- 「1」쌍권총을 겨누다.
- 「1」무대 막 저편에서 쌍권총을 뽑아 든 이 씨의 그림자가 분명하게 보였다.≪최인호, 지구인≫
- 「2」이번 기말시험 때 놀기만 한 결과 나는 쌍권총을 차게 되었다.
50. 앞에총 (앞에銃) [아페총]
한자: 銃(총 총)
[Ⅰ]제식 훈련에서, 총을 정면으로 세워 들고 차렷 자세를 취하라는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Ⅱ]제식 훈련에서, 총을 정면으로 세워 들고 차렷 자세를 취하라는 구령.
용례:
- [Ⅰ]앞에총을 하라는 구령이 떨어지다.
- [Ⅱ]중대장이 “앞에총!” 하자 군인들은 일제히 총을 정면으로 세워 들었다.
51. 양총 (洋銃) [양총]
한자: 洋(큰바다 양), 銃(총 총)
서양식의 총.
용례:
- 양총 삼십 자루.
- 양총은 화승총보다 대여섯 배나 멀리 나가는 쌍발총으로 누구도 한 마장 거리 안으로 접근할 수 없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본래 진위대 출신의 병정 가운데 양총을 가진 자도 있었지만 기타는 화승총이다.≪이병주, 관부 연락선≫
52. 어깨총 (어깨銃) [어깨총]
한자: 銃(총 총)
[Ⅰ]총을 어깨에 메라는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Ⅱ]총을 어깨에 메라는 구령.
용례:
- [Ⅰ]위용을 자랑하는 산포(山砲) 두 문이 버티어 있었고, 그 뒤로 팔백의 정예 군사가 어깨총의 자세로 늘어섰다.≪유현종, 들불≫
- [Ⅱ]지휘관이 “어깨총!” 하고 명령했다.
53. 연발총 (連發銃) [연발총]
한자: 連(이을 련), 發(필 발), 銃(총 총)
탄창 속에 여러 개의 탄환을 넣어 잇따라 쏠 수 있는 총.
용례:
군인들은 달아나는 적군들을 향해 연발총을 쏘아 댔다.
54. 엽총 (獵銃) [엽총]
한자: 獵(사냥 렵), 銃(총 총)
사냥에 알맞도록 만든 총.
용례:
반천골엔 전연 총기가 없었기 때문에 하준규는 엽총 한 자루와 장총 한 자루를 그리로 보냈다.≪이병주, 지리산≫
55. 예총 (禮銃) [예총]
한자: 禮(예도 례:), 銃(총 총)
의식(儀式)에서 예를 표시하기 위하여 쏘는 공포(空砲) 총.
용례:
예총을 쏘다.
56. 우로어깨총 (右로어깨銃) [우:로어깨총]
한자: 右(오를/오른(쪽) 우:), 銃(총 총)
[Ⅰ]제식 훈련에서, 총을 오른쪽 어깨에 세우라는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총을 오른쪽 어깨의 겨드랑이 사이에 끼우고 오른손으로 개머리판을 받친다.
[Ⅱ]제식 훈련에서, 총을 오른쪽 어깨에
세우라는 구령. 총을 오른쪽 어깨의 겨드랑이 사이에 끼우고 오른손으로 개머리판을 받친다.
용례:
- [Ⅰ]한 생도가 우로어깨총을 한 채 행진하고 있다.
- [Ⅱ]지휘관이 “우로어깨총!” 하고 명령했다.
57. 우주총 (宇宙銃) [우:주총]
한자: 宇(집 우:), 宙(집 주:), 銃(총 총)
우주 공간에서 유영할 때에, 자세를 바꾸거나 이동하는 데에 사용하는 개인용 휴대 분사 추진기.
58. 일자총 (一字銃) [일짜총]
한자: 一(한 일), 字(글자 자), 銃(총 총)
한 방을 쏘아서 바로 맞히는 좋은 총.
59. 자동소총 (自動小銃) [자동소:총]
한자: 自(스스로 자), 動(움직일 동:), 小(작을 소:), 銃(총 총)
방아쇠를 당기면 탄알이 자동으로 연속 장전되고 발사되는 소총.
60. 자동총 (自動銃) [자동총]
한자: 自(스스로 자), 動(움직일 동:), 銃(총 총)
기관 단총이나 자동 소총과 같이 자동식으로 되어 있는 총을 통틀어 이르는 말. 방아쇠를 당기면 탄환이 발사되는 동시에 다음 실탄이 장전되어 연발 또는 단발 사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61. 자유권총 (自由拳銃) [자유권:총]
한자: 自(스스로 자), 由(말미암을 유), 拳(주먹 권:), 銃(총 총)
구경 5.6mm의 권총으로 50미터 전방의 표적 열두 장에 다섯 발씩 60발을 쏘아서 명중 득점의 합계로 순위를 겨루는 사격 경기.
62. 자총 (自銃) [자총]
한자: 自(스스로 자), 銃(총 총)
일부러 자기 몸을 다치게 하려고 총을 쏨.
63. 잠사총 (潛射銃) [잠사총]
한자: 潛(잠길 잠), 射(쏠 사(:)), 銃(총 총)
직접 볼 수 없는 목표를 사격하는 데 쓰는 총. 잠망경 따위를 장치하여 참호나 은폐물에 숨어서 쏜다.
64. 장님총 (장님銃) [장:님총]
한자: 銃(총 총)
목표를 똑바로 잡지 아니하고 함부로 쏘는 총.
용례:
목표도 잡지 못한 채 장님총을 쏘는 모양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65. 장총 (長銃) [장총]
한자: 長(긴 장(:)), 銃(총 총)
기관 단총(機關短銃) 따위의 단총에 대하여 총신(銃身)이 긴 소총(小銃)을 이르는 말.
용례:
청파동 집 앞에는 붉은 완장을 차고 장총을 어깨에 멘 낯선 군인 하나가 서 있다가 그를 막았다.≪이상문, 황색인≫
66. 전방총 (前方銃) [전방총]
한자: 前(앞 전), 方(모[棱] 방), 銃(총 총)
군함 또는 장갑차의 앞쪽에 장비한 총포. 특히, 전차에서 전방 사격에 쓰는 반고정(半固定) 기관총 따위를 이른다.
67. 전자총 (電子銃) [전:자총]
한자: 電(번개 전:), 子(아들 자), 銃(총 총)
전자 빔을 만드는 장치.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 전자를 가속시키는 양극, 제어 격자, 전자 렌즈 따위로 구성된다. 브라운관, 전자 현미경 따위에 쓴다.
68. 전장총 (前裝銃) [전장총]
한자: 前(앞 전), 裝(꾸밀 장), 銃(총 총)
탄약을 총구(銃口)로 재는 구식 소총.
69. 조총 (弔銃) [조:총]
한자: 弔(조상할 조:), 銃(총 총)
저명인사나 지사, 군인 등의 장례식·위령제·추념식 따위에서 죽은 사람을 조문(弔問)하기 위하여 소총을 몇 발씩 일제히 쏘는 예총.
용례:
- 추모의 조총을 쏘다.
- 열 명의 사병이 서서 세 발씩 조총을 발사한 뒤 앰뷸런스는 느린 속도로 출발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70. 조총 (鳥銃) [조총]
한자: 鳥(새 조), 銃(총 총)
「1」새를 잡기 위하여 만든 공기총. 공기의 압착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탄착 거리가 짧고 힘이 약하다.
「2」‘화승총’(화승(火繩)의 불로 터지게 만든 구식 총.)을 달리 이르는 말.
용례:
「2」장군은 또다시 왜적의 조총을 대항하기 위해서 승자총을 만들어 군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박종화, 임진왜란≫
71. 좌로어깨총 (左로어깨銃) [좌:로어깨총]
한자: 左(왼 좌:), 銃(총 총)
[Ⅰ]제식 훈련에서, 총을 왼쪽 어깨에 세우라는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총을 왼쪽 어깨의 겨드랑이 사이에 끼우고 왼손으로 개머리판을 받친다.
[Ⅱ]제식 훈련에서, 총을 왼쪽 어깨에 세우라는
구령. 총을 왼쪽 어깨의 겨드랑이 사이에 끼우고 왼손으로 개머리판을 받친다.
72. 주먹총 (주먹銃) [주먹총]
한자: 銃(총 총)
내지르는 주먹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용례:
하늘에 대고 주먹총이라도 주고 싶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73. 중기관총 (重機關銃) [중:기관총]
한자: 重(무거울 중:), 機(틀 기), 關(관계할 관), 銃(총 총)
경기관총보다 무겁고 구경(口徑)이 크며 화력이 센 기관총. 매분 500~1,000발 정도를 발사할 수 있다.
74. 지어총 (지어銃) [지어총]
한자: 銃(총 총)
[Ⅰ]총을 등에 지라는 구령에 따라 행하는 동작.
[Ⅱ]총을 등에 지라는 구령.
75. 지자총 (地字銃) [지짜총]
한자: 地(따 지), 字(글자 자), 銃(총 총)
불씨를 손으로 점화하여 발사하는 화포. 크기에 따라 천자문의 순서로 이름을 붙인 것 가운데에 천자총통 다음으로 큰 것이다.
76. 지총 (紙銃) [지총]
한자: 紙(종이 지), 銃(총 총)
화약을 종이나 대통 같은 것의 속에 싸 넣고 그 끝에 심지를 달아 불을 댕겨 터지게 만든 놀이 도구. 큰 소리가 나게 하거나 불꽃이 퍼지게 하는 등 여러 종류가 있다.
77. 집총 (執銃) [집총]
한자: 執(잡을 집), 銃(총 총)
총을 쥐거나 지님.
용례:
헌병들이 집총을 하고 삼엄한 경계를 펴고 있다.
78. 팽총 (팽銃) [팽총]
한자: 銃(총 총)
팽나무의 열매를 총알로 쓰는 아이들의 장난감 총. 총열로는 맞구멍이 난 대통을 쓰며, 그 양 끝에 팽나무 열매를 탄알 삼아 하나씩 넣어 두고 한쪽을 자루에 박힌 대쪽으로 밀어서 공기의 압력으로 쏜다. 총알로 팽나무 열매 대신 종이를 쓰기도 한다.
79. 포총 (砲銃) [포총]
한자: 砲(대포 포:), 銃(총 총)
총과 대포를 아울러 이르는 말.
80. 헛총 (헛銃) [헏총]
한자: 銃(총 총)
「1」실탄을 재지 아니한 총. 또는 그 총으로 쏘는 일.
「2」실탄을 잰 총을 엉뚱한 곳에 쏘는 일.
용례:
- 「1」헛총을 놓다.
- 「1」병정을 시켜 집임자 김남훈과 모군 두 명을 잡아 결박하여 포살하려 한즉 병정들은 그 죄 없는 줄 알고 헛총으로 놓은즉….≪독립신문≫
- 「2」강화군에서 해산한 병정이 통진군에 와서 헛총을 놓아 인민을 위협하며….≪대한매일신보≫
- 「2」딱쇠의 헛총이 터지면셔 공교히 그 철환이 범의 허리를 맞힌지라….≪이인직, 치악산≫
81. 화승총 (火繩銃) [화:승총]
한자: 火(불 화(:)), 繩(노끈 승), 銃(총 총)
화승의 불로 터지게 만든 구식 총.
용례:
병력이 적은 데다 화승총 몇 자루로 근대식 군대와 맞선 의병들은 역부족으로 쫓기다가 그중 두 명이 포로로 붙들렸다.≪이희승, 딸깍발이 선비의 일생≫
82. 화약총 (火藥銃) [화:약총]
한자: 火(불 화(:)), 藥(약 약), 銃(총 총)
화약을 터뜨려 소리만 크게 나도록 만든 장난감 총. 신호용으로 쓰기도 한다.
83. 후장총 (後裝銃) [후:장총]
한자: 後(뒤 후:), 裝(꾸밀 장), 銃(총 총)
탄알을 총신의 뒤쪽에서 장전하도록 만든 총.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銃 총 총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