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증 (可憎) [가:증]
한자: 可(옳을 가:), 憎(미울 증)
괘씸하고 얄미움. 또는 그런 짓.
용례:
- 가증을 부리다.
- 박 선달한테 며느리를 바친 덕택으로 땅마지기나 얻어 부치거든 그냥이나 있었으면 좋으련만 전에 없던 가증이 늘어서….≪이무영, 농민≫
2. 견증 (見憎) [견:증]
한자: 見(볼 견:), 憎(미울 증)
남에게 미움을 받음.
3. 기증 (忌憎) [기증]
한자: 忌(꺼릴 기), 憎(미울 증)
싫어하고 미워함.
4. 애증 (愛憎) [애:증]
한자: 愛(사랑 애(:)), 憎(미울 증)
사랑과 미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애증이 깊어 가다.
- 애증이 엇갈리다.
- 나는 작가 이모 씨에게 대해선 일종의 애정과 더불어 이에 못지않은 미움을 가지고 있었다. 애증이 고루 섞인 복합된 감정이란 것은 때때로 묘한 작용을 한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5. 완증 (頑憎) [완증]
한자: 頑(완고할 완), 憎(미울 증)
‘완증하다’
6. 원증 (怨憎) [원:증]
한자: 怨(원망할 원(:)), 憎(미울 증)
원망하고 증오함.
7. 질증 (疾憎) [질쯩]
한자: 疾(병 질), 憎(미울 증)
몹시 미워함.
8. 편증 (偏憎) [편증]
한자: 偏(치우칠 편), 憎(미울 증)
한쪽만을 지나치게 미워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