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완제 (完製) [완제]
한자: 完(완전할 완), 製(지을 제:)
완전히 만듦. 또는 그런 제품.
용례:
- 완제 식품.
- 완제 생산.
42. 외국제 (外國製) [외:국쩨]
한자: 外(바깥 외:), 國(나라 국), 製(지을 제:)
외국에서 만든 물건.
용례:
예전에는 전자 제품이라면 무조건 외국제를 선호하였는데 지금은 국내산이 훨씬 좋아져 그런 현상을 보이지 않는다.
43. 외제 (外製) [외:제]
한자: 外(바깥 외:), 製(지을 제:)
외국에서 만든 물건.
용례:
- 외제 담배.
- 외제 상품.
- 외제 화장품.
- 거기에 사용되는 연장들은 모두가 값비싼 외제, 그러니까 외화를 주고 들여온 것들이다.≪법정, 무소유≫
44. 요제 (窯製) [요제]
한자: 窯(기와가마 요), 製(지을 제:)
질흙으로 구워 만든 것.
45. 위제 (僞製) [위제]
한자: 僞(거짓 위), 製(지을 제:)
어떤 물건을 속일 목적으로 꾸며 진짜처럼 만듦.
46. 유리제 (琉璃製) [유리제]
한자: 琉(유리 류), 璃(유리 리), 製(지을 제:)
유리로 만듦. 또는 그러한 물건.
47. 유제 (乳製) [유제]
한자: 乳(젖 유), 製(지을 제:)
소젖이나 양젖을 이용하여 한약을 가공하는 방법.
48. 유제 (柔製) [유제]
한자: 柔(부드러울 유), 製(지을 제:)
생가죽, 실 따위를 매만져서 부드럽게 만드는 일.
49. 은제 (銀製) [은제]
한자: 銀(은 은), 製(지을 제:)
은으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용례:
- 은제 컵.
- 은제 수저.
- 은제로 된 장식품.
50. 응제 (應製) [응:제]
한자: 應(응할 응:), 製(지을 제:)
「1」임금의 특명으로 임시로 치르던 과거.
「2」임금의 명령에 의하여 시문(詩文)을 짓던 일.
용례:
「1」금중(禁中)에서 문신의 응제를 시행하였다.≪번역 순조실록≫
51. 의제 (擬製) [의제]
한자: 擬(비길 의:), 製(지을 제:)
다른 물건을 본떠서 만듦. 또는 그 물건.
52. 일본제 (日本製) [일본쩨]
한자: 日(날 일), 本(근본 본), 製(지을 제:)
일본에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용례:
- 일본제 전자 제품.
- 일본제 소형 카세트.
- 일본제 카메라.
53. 일제 (日製) [일쩨]
한자: 日(날 일), 製(지을 제:)
일본에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용례:
- 일제 만년필.
- 일제 전자 제품.
- 일제 카메라.
- 일제 화장품.
54. 입제 (入製) [입쩨]
한자: 入(들 입), 製(지을 제:)
시나 글을 짓는 시험에 응함.
55. 자가제 (自家製) [자가제]
한자: 自(스스로 자), 家(집 가), 製(지을 제:)
「1」자기 집에서 만든 것.
「2」자기가 손수 만든 것.
56. 자제 (自製) [자제]
한자: 自(스스로 자), 製(지을 제:)
자기 스스로 만들거나 지음. 또는 그렇게 만든 것.
57. 자제 (瓷製) [자:제]
한자: 瓷(사기그릇 자), 製(지을 제:)
사기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58. 장약제 (裝藥製) [장약쩨]
한자: 裝(꾸밀 장), 藥(약 약), 製(지을 제:)
폭약을 넣어서 만든 제품. 포탄, 폭탄, 지뢰, 기뢰, 수류탄 따위가 있다.
59. 재제 (再製) [재:제]
한자: 再(두 재:), 製(지을 제:)
이미 만든 것이나 낡은 것을 다시 가공하여 제품으로 만듦.
60. 전제 (典製) [전:제]
한자: 典(법 전:), 製(지을 제:)
조선 시대에, 의복의 재봉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종칠품 내명부. 또는 그 품계.
61. 전제 (專製) [전제]
한자: 專(오로지 전), 製(지을 제:)
독점적으로 제조함.
62. 정제 (精製) [정제]
한자: 精(정할 정), 製(지을 제:)
「1」정성을 들여 정밀하게 잘 만듦.
「2」물질에 섞인 불순물을 없애 그 물질을 더 순수하게 함.
용례:
- 「2」원유 정제.
- 「2」정제 설탕.
63. 조제 (粗製) [조제]
한자: 粗(거칠 조), 製(지을 제:)
물건 따위를 정성을 들이지 않고 거칠게 만듦.
64. 조제 (調製) [조제]
한자: 調(고를 조), 製(지을 제:)
「1」물건을 주문에 따라서 만듦.
「2」조절하여 만듦.
65. 주제 (酒製) [주제]
한자: 酒(술 주(:)), 製(지을 제:)
술을 이용하여 약의 찬 성질을 약화하거나 덥게 하거나 약기운을 위로 올라가게 하여 기혈이 잘 돌게 하는 일.
66. 즉제 (卽製) [즉쩨]
한자: 卽(곧 즉), 製(지을 제:)
그 자리에서 곧바로 만듦.
67. 증제 (蒸製) [증제]
한자: 蒸(찔 증), 製(지을 제:)
증기의 열로 쪄서 만듦.
68. 지제 (紙製) [지제]
한자: 紙(종이 지), 製(지을 제:)
종이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69. 창제 (創製) [창:제]
한자: 創(비롯할 창:), 製(지을 제:)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거나 제정함.
용례:
훈민정음 창제.
70. 철제 (鐵製) [철쩨]
한자: 鐵(쇠 철), 製(지을 제:)
쇠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용례:
- 철제 책상.
- 철제 의자.
- 철제 가구.
- 그 집의 금고는 육중한 철제이었다.
- 상제 신봉회란 간판이 붙어 있는 정문은 철제로 되어 있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71. 초제 (醋製) [초제]
한자: 醋(초 초), 製(지을 제:)
식초를 써서 한약을 가공함.
72. 타제 (他製) [타제]
한자: 他(다를 타), 製(지을 제:)
종류가 다른 제품.
73. 타제 (打製) [타:제]
한자: 打(칠 타:), 製(지을 제:)
두드려 치거나 깨뜨려서 만듦.
74. 토제 (土製) [토제]
한자: 土(흙 토), 製(지을 제:)
흙으로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물건.
75. 토제 (土製) [토제]
한자: 土(흙 토), 製(지을 제:)
약재를 황토물에 적셔서 불에 볶는 일.
76. 특제 (特製) [특쩨]
한자: 特(특별할 특), 製(지을 제:)
특별하거나 특수하게 만듦. 또는 그런 제품.
용례:
- 그는 키가 너무 커서 특제 침대를 사용해야 한다.
- 이만큼 큰 비프스테이크를 가지고 와요. 특제로 말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77. 포제 (布製) [포제]
한자: 布(베/펼 포(:)), 製(지을 제:)
베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78. 하제 (夏製) [하:제]
한자: 夏(여름 하:), 製(지을 제:)
여름에 만든 것.
79. 한제 (韓製) [한:제]
한자: 韓(한국/나라 한(:)), 製(지을 제:)
한국에서 만듦. 또는 그런 물건.
80. 훈제 (燻製) [훈제]
한자: 燻(연기치밀 훈), 製(지을 제:)
소금에 절인 고기를 연기에 익혀 말리면서 그 연기의 성분이 흡수되게 함. 또는 그런 식품. 독특한 풍미가 있으며 방부성이 있어 오래 저장할 수 있다.
용례:
연어를 훈제로 먹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製 지을 제: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