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조 (擧朝) [거:조]
한자: 擧(들 거:), 朝(아침 조)
온 조정(朝廷).
2. 고려조 (高麗朝) [고려조]
한자: 高(높을 고), 麗(고울 려), 朝(아침 조)
고려의 왕조. 또는 고려의 조정.
용례:
- 통일 신라, 고려조를 거치는 동안 불교가 크게 융성하였다.
- 그대로 융성한다면 저 고려조의 흥왕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만 같더니.≪최명희, 혼불≫
3. 국조 (國朝) [국쪼]
한자: 國(나라 국), 朝(아침 조)
「1」자기 나라의 조정(朝廷).
「2」당대(當代)의 조정.
4. 군조 (君朝) [군조]
한자: 君(임금 군), 朝(아침 조)
「1」임금이 있는 조정.
「2」임금과 조정을 아울러 이르는 말.
5. 귀조 (歸朝) [귀:조]
한자: 歸(돌아갈 귀:), 朝(아침 조)
「1」외국에 갔던 사신이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2」외국에 나가 있던 사람이 자기 나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6. 금조 (今朝) [금조]
한자: 今(이제 금), 朝(아침 조)
오늘 아침.
7. 남북조 (南北朝) [남북쪼]
한자: 南(남녘 남), 北(북녘 북), 朝(아침 조)
위진 남북조 시대의 남조(南朝)와 북조(北朝)를 아울러 이르는 말.
8. 남조 (南朝) [남조]
한자: 南(남녘 남), 朝(아침 조)
「1」중국에서, 후한(後漢)이 멸망한 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 양쯔강(揚子江) 남쪽에 있었던 여섯 왕조. 오(吳), 동진(東晉),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을
이른다.
「2」중국에서, 동진(東晉)이 망한 후 420년부터 589년까지 화남(華南)에 한족(漢族)이 세운 송(宋), 제(齊), 양(梁), 진(陳) 네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9. 내조 (來朝) [내:조]
한자: 來(올 래(:)), 朝(아침 조)
「1」외국의 사신(使臣)이 찾아옴.
「2」지방의 신하가 조정(朝廷)에 와서 임금을 뵘.
용례:
「2」해마다 납월(臘月)에는 많은 제후의 내조가 있어서 도성 안이 북적댄다.
10. 누조 (累朝) [누:조]
한자: 累(여러/자주 루:), 朝(아침 조)
여러 대를 이어 온 조정이나 왕위.
11. 당조 (唐朝) [당조]
한자: 唐(당나라/당황할 당(:)), 朝(아침 조)
중국 당나라의 조정. 또는 당나라 왕조.
12. 당조 (當朝) [당조]
한자: 當(마땅 당), 朝(아침 조)
「1」예전에, 바로 그 시기의 조정이나 왕조를 이르던 말.
「2」바로 이 시대. 또는 바로 이 세상.
13. 대조 (大朝) [대:조]
한자: 大(큰 대(:)), 朝(아침 조)
「1」왕세자가 섭정하고 있을 때의 임금을 이르던 말.
「2」초하루와 보름날 아침에 모든 문무백관들이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결재를 받던 큰 조회.
14. 동조 (東朝) [동조]
한자: 東(동녘 동), 朝(아침 조)
수렴청정하던 태후(太后). 또는 태후가 집무하던 곳.
15. 등조 (登朝) [등조]
한자: 登(오를 등), 朝(아침 조)
조정에 출사(出仕)하는 일.
16. 만조 (滿朝) [만:조]
한자: 滿(찰 만(:)), 朝(아침 조)
「1」조정에 가득함. 또는 온 조정.
「2」조정의 모든 벼슬아치.
17. 망조 (亡朝) [망조]
한자: 亡(망할 망), 朝(아침 조)
망하여 없어진 왕조.
18. 망조 (望朝) [망:조]
한자: 望(바랄 망:), 朝(아침 조)
조선 시대에, 보름날 베풀던 큰 조회(朝會).
19. 매조 (每朝) [매:조]
한자: 每(매양 매(:)), 朝(아침 조)
[Ⅰ]매일 아침.
[Ⅱ]매일 아침마다.
20. 면조 (面朝) [면:조]
한자: 面(낯 면:), 朝(아침 조)
예전에, 조정에 임하던 일.
21. 명조 (明朝) [명조]
한자: 明(밝을 명), 朝(아침 조)
내일 아침.
22. 명조 (明朝) [명조]
한자: 明(밝을 명), 朝(아침 조)
「1」중국 명나라의 조정.
「2」중국 명나라 때의 서풍을 따른 활자체. 내리긋는 획은 굵고 가로 긋는 획은 가늘다.
23. 본조 (本朝) [본조]
한자: 本(근본 본), 朝(아침 조)
「1」현존하는 왕조.
「2」예전에, 말하는 이가 자기 나라의 조정을 이르던 말.
용례:
「1」본조에 들어서는 순순히 복종하여 역대 성왕의 적자가 된 것이지요.≪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4. 북조 (北朝) [북쪼]
한자: 北(북녘 북), 朝(아침 조)
「1」남북으로 갈라진 나라에서 북쪽 나라의 조정.
「2」중국 남북조 시대에, 중국의 북부를 지배한 북위(北魏), 서위(西魏), 동위(東魏), 북제(北齊), 북주(北周)의 다섯 왕조를 통틀어 이르던
말.
25. 북조 (北朝) [북쪼]
한자: 北(북녘 북), 朝(아침 조)
일본에서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가 교토(京都)에 세운 조정. 1336년 고묘왕(光明王)이 즉위하여 5대 동안 지속되었다.
26. 분조 (分朝) [분조]
한자: 分(나눌 분(:)), 朝(아침 조)
「1」조정을 나눔.
27. 사조 (辭朝) [사조]
한자: 辭(말씀 사), 朝(아침 조)
새로 임명된 관리가 부임하거나 외국의 사신이 떠나기에 앞서 임금께 하직 인사를 드리던 일.
28. 삭조 (朔朝) [삭쪼]
한자: 朔(초하루 삭), 朝(아침 조)
초하룻날에 베풀던 큰 조회(朝會).
29. 삼조 (三朝) [삼조]
한자: 三(석 삼), 朝(아침 조)
「1」연(年)·월(月)·일(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말.
「2」그달의 세 번째 날. 또는 그날의 아침.
「3」삼대의 조정(朝廷).
「4」갓난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용례:
「3」세조, 예종, 성종의 삼조를 내려오며 대신의 자리로 드나드는 팔십에 가까운 노재상이었다.≪박종화, 금삼의 피≫
30. 상조 (霜朝) [상조]
한자: 霜(서리 상), 朝(아침 조)
서리가 내린 아침.
31. 선왕조 (先王朝) [서놩조]
한자: 先(먼저 선), 王(임금 왕), 朝(아침 조)
선대의 임금이 다스리던 시대. 또는 그때의 세상.
32. 선조 (先朝) [선조]
한자: 先(먼저 선), 朝(아침 조)
바로 전대의 왕조.
33. 설조 (雪朝) [설쪼]
한자: 雪(눈 설), 朝(아침 조)
눈 내리는 아침.
34. 성조 (聖朝) [성:조]
한자: 聖(성인 성:), 朝(아침 조)
「1」어진 임금이 다스리는 조정(朝廷).
「2」백성들이 당대(當代)의 왕조를 높여 이르는 말.
35. 소조 (小朝) [소:조]
한자: 小(작을 소:), 朝(아침 조)
섭정(攝政)하는 왕세자. 또는 그의 집무실.
36. 송조 (宋朝) [송:조]
한자: 宋(성(姓) 송:), 朝(아침 조)
「1」중국 송나라의 조정.
「2」중국 송나라 때의 서체. 해서체의 하나로 획이 가늘고 폭이 좁으며 오른쪽 어깨가 약간 위로 올라간다.
37. 수조 (受朝) [수조]
한자: 受(받을 수(:)), 朝(아침 조)
임금이 신하들로부터 조회를 받던 일.
38. 숭조 (崇朝) [숭조]
한자: 崇(높을 숭), 朝(아침 조)
이른 아침 동안. 새벽부터 아침밥을 먹을 때까지의 사이를 이른다.
39. 승조 (勝朝) [승조]
한자: 勝(이길 승), 朝(아침 조)
바로 전대의 왕조.
40. 시조 (市朝) [시:조]
한자: 市(저자 시:), 朝(아침 조)
시정(市井)과 조정(朝廷)을 아울러 이르는 말.
41. 시조 (視朝) [시:조]
한자: 視(볼 시:), 朝(아침 조)
조정에 나아가 정사를 봄.
42. 신조 (晨朝) [신조]
한자: 晨(새벽 신), 朝(아침 조)
「1」오전을 셋으로 나눌 때에, 묘시(卯時)와 사시(巳時) 사이. 오전 6시에서 10시 사이를 이른다.
「2」아침에 행하는 근행(勤行).
43. 아조 (我朝) [아:조]
한자: 我(나 아:), 朝(아침 조)
우리 왕조.
용례:
선조를 욕한다고 아조가 더 훌륭할 바도 아니고 선조를 높였다고 아조에 불리할 바도 아니온데….≪김동인, 대수양≫
44. 양조 (兩朝) [양:조]
한자: 兩(두 량:), 朝(아침 조)
「1」앞뒤의 두 왕조.
「2」앞뒤의 두 임금 시대.
「3」두 나라의 왕조.
용례:
- 「1」고려와 조선의 양조.
- 「2」영조와 정조, 양조에 걸쳐 조선의 문화가 중흥하였다.
45. 엄조 (嚴朝) [엄조]
한자: 嚴(엄할 엄), 朝(아침 조)
위엄 있고 엄한 궁중이나 조정.
46. 여조 (黎朝) [여조]
한자: 黎(검을 려), 朝(아침 조)
중국 명나라의 지배에 봉기한 여이(黎利)가 하노이에 도읍하여 세운 왕조. 1789년에 떠이선당의 난으로 멸망하였다.
47. 여조 (麗朝) [여조]
한자: 麗(고울 려), 朝(아침 조)
‘고려 왕조’(고려의 왕조. 또는 고려의 조정.)를 줄여 이르는 말.
48. 역조 (歷朝) [역쪼]
한자: 歷(지날 력), 朝(아침 조)
「1」역대의 조정. 또는 역대의 왕조.
「2」역대의 임금.
49. 연조 (燕朝) [연:조]
한자: 燕(제비 연(:)), 朝(아침 조)
천자(天子)가 보통 때에 안식을 취하는 궁전.
50. 열성조 (列聖朝) [열썽조]
한자: 列(벌릴 렬), 聖(성인 성:), 朝(아침 조)
여러 대(代)의 임금의 시대.
용례:
김병순은 누구보다 대원군을 역대 열성조 중에서도 위대한 지도자로 생각하고….≪유현종, 들불≫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朝 아침 조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