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주 (脚注) [각쭈]
한자: 脚(다리 각), 注(부을 주:)
본문의 어떤 부분을 보충하거나 쉽게 풀이한 글을 본문의 아래쪽에 단 것.
용례:
- 각주를 달다.
- 각주를 참조하시오.
- 그는 자신의 이론에 대한 설명을 각주에서 밝혔다.
2. 감주 (勘注) [감주]
한자: 勘(헤아릴 감), 注(부을 주:)
조사하여 기록함. 또는 그런 문서.
3. 경주 (傾注) [경주]
한자: 傾(기울 경), 注(부을 주:)
「1」물 따위를 기울여 붓거나 쏟음.
「2」힘이나 정신을 한곳에만 기울임.
「3」강물이 쏜살같이 바다로 흘러 들어감.
「4」비가 퍼붓듯 쏟아지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고주 (古注) [고:주]
한자: 古(예 고:), 注(부을 주:)
「1」옛 주석.
「2」중국에서 송나라 때의 정주학파가 붙인 경서의 주석에 상대하여 한(漢)나라, 당나라 때의 학자들이 붙인 주석을 이르는 말.
5. 고주 (孤注) [고주]
한자: 孤(외로울 고), 注(부을 주:)
노름꾼이 남은 돈을 한 번에 다 걸고 마지막 승패를 겨룸.
6. 관주 (冠注) [관주]
한자: 冠(갓 관), 注(부을 주:)
본문의 어떤 부분을 보충하거나 쉽게 풀이한 글을 본문의 위쪽에 단 것.
7. 관주 (灌注) [관:주]
한자: 灌(물댈 관), 注(부을 주:)
「1」물이 흘러 들어감.
「2」물을 댐.
8. 교주 (校注) [교:주]
한자: 校(학교 교:), 注(부을 주:)
문장을 교정하여 주석을 더함. 또는 그 주석.
용례:
이 책은 교주가 달려 있어 내용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9. 기주 (記注) [기주]
한자: 記(기록할 기), 注(부을 주:)
말과 동작을 그대로 기록함.
10. 두주 (頭注) [두주]
한자: 頭(머리 두), 注(부을 주:)
본문의 어떤 부분을 보충하거나 쉽게 풀이한 글을 본문의 위쪽에 단 것.
용례:
- 두주를 달다.
- 두주를 참고하다.
11. 미주 (尾注) [미주]
한자: 尾(꼬리 미:), 注(부을 주:)
본문의 어떤 부분을 보충하거나 쉽게 풀이한 글을 본문이나 책의 끝에 단 것.
용례:
미주를 달다.
12. 발주 (發注) [발쭈]
한자: 發(필 발), 注(부을 주:)
물건을 보내 달라고 주문함. 주로 공사나 용역 따위의 큰 규모의 거래에서 이루어진다.
용례:
- 사단의 증강 장비를 당분간 발주를 늦춰 보류토록 하는 조처일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 기계를 발주만 해 놓고 잔금을 못 치러 법석까지 떨자 남상이도 정이 떨어져….≪박완서, 오만과 몽상≫
13. 분주 (奔注) [분주]
한자: 奔(달릴 분), 注(부을 주:)
기운차게 흘러 들어감.
14. 섬주 (蟾注) [섬주]
한자: 蟾(두꺼비 섬), 注(부을 주:)
두꺼비 모양의 연적(硯滴).
15. 수주 (受注) [수주]
한자: 受(받을 수(:)), 注(부을 주:)
주문을 받음. 주로 물건을 생산하는 업자가 제품의 주문을 받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용례:
- 수주가 줄다.
- 국내 건설업체들의 건설 공사 수주가 활기를 띠고 있다.
16. 외주 (外注) [외:주]
한자: 外(바깥 외:), 注(부을 주:)
자기 회사에서 만들 수 없는 제품이나 부품 따위를 다른 회사에 맡겨 만들게 함. 또는 그런 일.
용례:
- 외주를 주다.
- 외주를 맡다.
17. 유주 (流注) [유주]
한자: 流(흐를 류), 注(부을 주:)
몸의 깊은 조직이 곪는 병. 나쁜 기운이 몸의 여기저기를 옮겨 다니다가 일정한 곳에 머물러서 생긴다.
18. 전주 (傳注) [전주]
한자: 傳(전할 전), 注(부을 주:)
「1」책의 주석(注釋).
「2」말기에 이른 폐결핵.
19. 전주 (銓注) [전:주]
한자: 銓(사람가릴 전(:)), 注(부을 주:)
인물을 심사하여 적당한 벼슬자리에 배정함.
20. 전주 (轉注) [전:주]
한자: 轉(구를 전:), 注(부을 주:)
「1」물이 돌아서 흘러 들어감.
「2」한자 육서(六書)의 하나. 이미 있는 한자의 뜻을 확대·발전시켜 다른 뜻으로 쓰는 방법으로, 음이 바뀌기도 한다. ‘악(樂)’이 ‘락(樂)’, ‘요(樂)’ 자로
쓰이는 따위이다.
「3」전주의 방법으로 만든 글자.
21. 집주 (集注) [집쭈]
한자: 集(모을 집), 注(부을 주:)
「1」한곳으로 모아들임.
「2」한곳에 힘을 쏟음.
「3」여러 사람의 주석을 한데 모음. 또는 그런 책.
22. 측주 (側注) [측쭈]
한자: 側(곁 측), 注(부을 주:)
책의 글 오른쪽이나 왼쪽에 작은 글씨로 적어 놓은 풀이나 설명.
23. 폭주 (暴注) [폭쭈]
한자: 暴(사나울 폭), 注(부을 주:)
「1」비가 갑작스럽게 많이 쏟아짐.
「2」어떤 일이 처리하기 힘들 정도로 한꺼번에 몰림.
「3」갑자기 몹시 설사함. 또는 그런 설사.
용례:
- 「1」산마루가 가까울수록 비는 폭주로 내리붓는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 「2」기사 폭주.
- 「2」업무량의 폭주.
24. 표주 (標注) [표주]
한자: 標(표할 표), 注(부을 주:)
책의 난외(欄外)에 기록하는 주해(註解).
25. 협주 (夾注) [협쭈]
한자: 夾(낄 협), 注(부을 주:)
본문의 어떤 부분을 보충하거나 쉽게 풀이한 글을 본문보다 작은 글자로 괄호로 묶거나 본문 속에 끼워 넣은 것.
용례:
- 협주를 달다.
- 협주를 참조하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