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質 바탕 질 - 1

1. 가루질 (가루質) [가루질]

한자: 質(바탕 질)

낟알 따위가 가루로 부스러지기 쉬운 성질. 낟알 따위의 씨눈 구조를 특징짓는 징표가 된다.

용례:

그 종자는 볼록 렌즈 모양이고 외종피는 광택이 나고 배유는 가루질이고 배는 환상이다.

2. 각질 (角質) [각찔]

한자: 角(뿔 각), 質(바탕 질)

파충류 이상의 척추동물의 표피 부분을 이루는 경단백질로 이루어진 물질. 케라틴 성분으로, 동물의 몸을 보호하는 비늘, 털, 뿔, 부리, 손톱 따위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용례:

무릎, 팔꿈치 같은 데 붙은 때는 거의 각질로 변하여 무엇으로 긁어 버리기 전에는 쉽게 씻어지지를 아니하였다.≪이광수, 흙≫

3. 강질 (剛質) [강질]

한자: 剛(굳셀 강), 質(바탕 질)

「1」굳센 기질.
「2」어떤 물체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아도 모양이나 부피가 변하지 아니하는 단단한 성질.

4. 강질 (強質) [강질]

한자: 強(강할 강(:)), 質(바탕 질)

물질이나 물체가 지니고 있는 굳거나 센 성질.

용례:

물 씻김이 잘된 강질의 돌에서 좋은 색상이 나온다.

5. 강질 (鋼質) [강질]

한자: 鋼(강철 강), 質(바탕 질)

강철의 질.

용례:

강질에 따라 보통강과 특수강으로 분류한다.

6. 건물질 (乾物質) [건물찔]

한자: 乾(하늘/마를 건), 物(물건 물), 質(바탕 질)

생물체 따위에서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용례:

건물질 중 유기물 함량.

7. 겉질 (겉質) [걷찔]

한자: 質(바탕 질)

「1」장기에서 겉과 속의 구조가 구별될 때 겉의 구조를 가리키는 말.
「2」대뇌나 소뇌의 겉층을 만드는 회백질부(灰白質部).

8. 경질 (硬質) [경질]

한자: 硬(굳을 경), 質(바탕 질)

단단하고 굳은 성질.

용례:

그 가구는 박달나무 같은 경질의 나무로 만들어진 것 같다.

9. 고음질 (高音質) [고음질]

한자: 高(높을 고), 音(소리 음), 質(바탕 질)

높은 수준의 음질.

용례: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선명한 화질과 고음질의 음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10. 고품질 (高品質) [고품질]

한자: 高(높을 고), 品(물건 품:), 質(바탕 질)

물품의 성질과 바탕이 우수하고 좋음.

용례:

우리나라도 고품질의 제품을 개발하여 싸구려라는 인상을 벗어나야 한다.

11. 고화질 (高畫質) [고화질]

한자: 高(높을 고), 畫(그림 화:), 質(바탕 질)

텔레비전, 컴퓨터 따위의 화면이 구현하는 색상과 명도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것.

용례:

  • 고화질의 디지털 영상 전화.
  • 이 제품은 고화질의 동영상과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12. 과민체질 (過敏體質) [과:민체질]

한자: 過(지날 과:), 敏(민첩할 민), 體(몸 체), 質(바탕 질)

보통 사람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물질이나 자극에 대하여 병적으로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체질.

13. 광물질 (鑛物質) [광:물찔]

한자: 鑛(쇳돌 광:), 物(물건 물), 質(바탕 질)

「1」광물로 된 물질. 또는 광물성의 물질.
「2」생체의 생리 기능에 필요한 광물성 영양소. 칼륨, 나트륨, 칼슘, 인, 철 따위가 있다.

용례:

  • 「1」화강암 속에는 석영, 장석, 운모 등의 광물질 알갱이들이 포함되어 있다.
  • 「2」영양물질과 에너지는 음식물 내에 있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광물질 등에서 온다.

14. 구질 (球質) [구질]

한자: 球(공 구), 質(바탕 질)

야구·탁구·테니스 따위에서, 선수가 던지거나 친 공의 성질.

용례:

  • 구질이 좋다.
  • 구질이 나쁘다.
  • 그는 구질이 까다로운 투수이다.

15. 근육질 (筋肉質) [그뉵찔]

한자: 筋(힘줄 근), 肉(고기 육), 質(바탕 질)

「1」근육처럼 연하고 질긴 성질.
「2」필요 없는 살이나 지방이 없이 단단한 체질.

용례:

  • 「1」근육질 섬유.
  • 「1」근육질 조직.
  • 「2」근육질의 사나이.
  • 「2」강동식은 보통 키에 근육질의 단단한 체구를 갖추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16. 기질 (氣質) [기질]

한자: 氣(기운 기), 質(바탕 질)

「1」기력과 체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정주학파(程朱學派)의 학설에서 본연의 성(性)에 대하여 혈기(血氣)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성질.
「3」자극에 대한 민감성이나 특정한 유형의 정서적 반응을 보여 주는 개인의 성격적 소질.

용례:

  • 「3」낙천적인 기질.
  • 「3」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난 작가.
  • 「3」이 신문은 보수적 기질이 강하다.
  • 「3」그의 작품에는 어딘지 모르게 반항아적인 기질이 나타난다.
  • 「3」종구 쪽 집안은 직업에서부터 장이의 기질이 있었다.≪한수산, 유민≫

17. 내질 (內質) [내:질]

한자: 內(안 내:), 質(바탕 질)

안의 본바탕.

용례:

외형(外形)보다는 내질이 문제다.

18. 다공질 (多孔質) [다공질]

한자: 多(많을 다), 孔(구멍 공:), 質(바탕 질)

「1」작은 구멍이 많이 있는 물질.
「2」단단하지 못하고 푸석푸석하게 된 바탕.

용례:

  • 「1」다공질 재질.
  • 「1」이 제품은 조직이 다공질이어서 변형되지 않고, 물에 담갔을 때 복원성이 좋다.

19. 다육질 (多肉質) [다육찔]

한자: 多(많을 다), 肉(고기 육), 質(바탕 질)

살이 많은 성질이나 품질.

용례:

이 닭은 알은 많이 낳지 않으나 다육질이어서 삼계탕용으로 적당하다.

20. 다혈질 (多血質) [다혈찔]

한자: 多(많을 다), 血(피 혈), 質(바탕 질)

감정의 움직임이 빨라서 자극에 민감하고 곧 흥분되나 오래가지 아니하며, 성급하고 인내력이 부족한 기질.

용례:

그는 좌충우돌하는 다혈질의 성격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21. 단백질 (蛋白質) [단:백찔]

한자: 蛋(새알 단:), 白(흰 백), 質(바탕 질)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을 하여 생긴 여러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 세포를 구성하고 생체 내 물질대사의 촉매 작용을 하여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물질로서, 사람의 3대 영양소 가운데 하나이다.

용례:

  • 단백질을 보충하다.
  • 달걀 흰자에는 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 단백질이 부족하면 성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22. 담액질 (膽液質) [다:맥찔]

한자: 膽(쓸개 담:), 液(진 액), 質(바탕 질)

행동, 동작, 정서 따위의 움직임이 세고 활발하며 진취력이 강한 기질 유형. 일반적으로 인내력과 의지가 강한 반면 고집이 세고 거만하다.(담즙질)

23. 당질 (糖質) [당질]

한자: 糖(엿 당), 質(바탕 질)

「1」당분(糖分)이 들어 있는 물질.
「2」탄수화물과 그 유도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2」당뇨병은 우리 몸의 당질 이용에 고장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 것이지.≪이정환, 샛강≫

24. 대뇌피질 (大腦皮質) [대:뇌피질]

한자: 大(큰 대(:)), 腦(골/뇌수 뇌), 皮(가죽 피), 質(바탕 질)

대뇌 반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회백질의 얇은 층(層). 신경 세포체가 모여 있으며, 감각을 종합하고, 의지적인 운동 및 고도의 지적 기능을 담당한다.

25. 대질 (對質) [대:질]

한자: 對(대할 대:), 質(바탕 질)

소송법에서, 법원이 소송 사건의 관계자 양쪽을 대면시켜 심문하는 일. 증인의 증언 또는 당사자의 진술 사이에 모순이 있을 때 행하여 정확한 심증을 이루려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6. 독질 (毒質) [독찔]

한자: 毒(독 독), 質(바탕 질)

「1」독한 성질. 또는 그런 성질을 가진 사람.
「2」독의 성분.

용례:

「1」그 친구도 독질이 있어서 한다면 하는 성격이야.

27. 동질 (同質) [동질]

한자: 同(한가지 동), 質(바탕 질)

성질이 같음. 또는 같은 성질.

용례:

  • 동질의 물건도 이곳에서는 값이 천차만별이다.
  • 같은 언어와 동질의 감정이란 전쟁터에서는 별로 이로운 것이 되지 않는다.≪홍성원, 육이오≫

28. 매연물질 (煤煙物質) [매연물찔]

한자: 煤(그을음 매), 煙(연기 연), 物(물건 물), 質(바탕 질)

대기 오염의 원천이 되는 것.

용례:

기업이 생산비를 낮추려고 폐수를 함부로 흘려 보내거나 매연물질을 배출한다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된다.

29. 면질 (面質) [면:질]

한자: 面(낯 면:), 質(바탕 질)

소송법에서, 법원이 소송 사건의 관계자 양쪽을 대면시켜 심문하는 일. 증인의 증언 또는 당사자의 진술 사이에 모순이 있을 때 행하여 정확한 심증을 이루려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용례:

  • 제 말과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과 면질을 시켜 주십시오.
  • 김만중 씨와 그때 세무 주사 박래욱과 신철희 씨 삼 인을 면질 재판하면 시비곡직을 가히 알겠다고….≪독립신문≫

30. 모질 (毛質) [모질]

한자: 毛(터럭 모), 質(바탕 질)

털의 품질.

용례:

담비의 모질과 광택은 모피류 중 최고로 평가된다.

31. 목질 (木質) [목찔]

한자: 木(나무 목), 質(바탕 질)

「1」목재로서의 나무의 질.
「2」줄기의 내부에 있는 단단한 부분.
「3」나무와 같이 단단한 성질.

용례:

「1」한 길이나 되게 장대한 돈궤의 미려한 목질은 매일매일의 애무에 길들여진 듯 얼굴이 비치게 번들대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32. 무기질 (無機質) [무기질]

한자: 無(없을 무), 機(틀 기), 質(바탕 질)

무기 화합물의 성질. 또는 그 성질을 가진 물질. 주로 생명체의 골격, 조직, 체액 따위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인·물·철·아이오딘 따위를 말한다. 생체 유지에 없어서는 안 되는 영양소이다.

용례:

달걀만 해도 그렇죠. 과학적으로 그 속에 수분이 몇 퍼센트, 기름기가 몇 퍼센트, 흰자질과 무기질이 얼마, 이렇게 분석을 해낼 순 있습니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33. 물질 (物質) [물찔]

한자: 物(물건 물), 質(바탕 질)

「1」물체의 본바탕.
「2」‘재물’(財物)을 달리 이르는 말.
「3」자연계의 구성 요소의 하나. 다양한 자연 현상을 일으키는 실체로, 공간의 일부를 차지하고 질량을 갖는다.
「4」감각의 원천이 되는 것. 의식으로부터 독립된 객관적 실재로서, 시간과 공간은 그 객관적인 존재 형식이며, 운동은 그 속성이다.

용례:

  • 「2」온갖 물질을 탐내다.
  • 「2」물질에 욕심을 내다.

34. 발암물질 (發癌物質) [바람물찔]

한자: 發(필 발), 癌(암 암:), 物(물건 물), 質(바탕 질)

암종(癌腫) 또는 다른 악성 종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 실험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비교적 짧은 시일 안에 고율(高率)의 암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방향족 탄화수소·아민류·아조(azo) 화합물·방사성 물질 따위의 많은 화학 물질이 이에 속한다.

35. 법랑질 (琺瑯質) [범낭질]

한자: 琺(법랑 법), 瑯(법랑 랑), 質(바탕 질)

이의 표면을 덮어 상아질을 보호하고 있는 단단한 물질.

36. 변질 (變質) [변:질]

한자: 變(변할 변:), 質(바탕 질)

성질이 달라지거나 물질의 질이 변함. 또는 그런 성질이나 물질.

용례:

  • 식료품의 변질을 막기 위해서는 냉동 보관이 필요하다.
  • 가치관의 변질로 효에 대한 생각이 많이 달라졌다.

37. 본질 (本質) [본질]

한자: 本(근본 본), 質(바탕 질)

「1」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 자체의 성질이나 모습.
「2」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는 근본적인 성질.
「3」실존(實存)에 상대되는 말로, 어떤 존재에 관해 ‘그 무엇’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성질.
「4」후설(Husserl, E.)의 현상학에서, 사물의 시공적(時空的)·특수적·우연적인 존재의 근저에 있으면서 사물을 그 사물답게 만드는 초시공적·보편적·필연적인 것. 본질 직관으로 이것을 포착할 수 있다고 한다.

용례:

  • 「1」생명의 본질.
  • 「1」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질.
  • 「1」그 둘은 형태는 다르지만 실상 본질은 같다.
  • 「2」사건의 본질을 왜곡하다.
  • 「2」사태의 본질을 밝혀내다.

38. 빙질 (氷質) [빙질]

한자: 氷(얼음 빙), 質(바탕 질)

얼음의 질. 주로 스케이팅을 할 때에, 얼음의 단단한 정도나 편평하고 미끄러운 정도를 이른다.

용례:

  • 빙질이 좋다.
  • 빙질이 약하다.
  • 경기장의 빙질이 나빠서 스피드 스케이팅의 기록이 좋지 않다.

39. 상아질 (象牙質) [상아질]

한자: 象(코끼리 상), 牙(어금니 아), 質(바탕 질)

척추동물의 치아를 이루는 노란빛을 띤 흰색의 단단한 물질. 내부에 치수강이 있으며, 치관(齒冠)은 에나멜질, 이촉은 시멘트질로 덮여 있고 뼈와 비슷한 성질이나 뼈보다 단단하다.

40. 석질 (石質) [석찔]

한자: 石(돌 석), 質(바탕 질)

돌의 본바탕이나 성질.

용례:

석질이 좋지 않아 습기에 삭아 부스러져 들어간 글자의 자획들이….≪이청준, 춤추는 사제≫

41. 석회질 (石灰質) [서쾨질]

한자: 石(돌 석), 灰(재 회), 質(바탕 질)

석회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물질.

용례:

석회질이 많은 토지에서는 뽕나무가 잘 자란다.

42. 선병질 (腺病質) [선병질]

한자: 腺(샘 선), 病(병 병:), 質(바탕 질)

피부샘병의 경향이 있는 약한 체질. 신경질을 이르기도 한다.

용례:

온순한 성질 같으나 해쓱하고 갸름한 얼굴은 선병질이요 신경질이 있어 보였다.≪염상섭, 일대의 유업≫

43. 섬섬약질 (纖纖弱質) [섬섬냑찔]

한자: 纖(가늘 섬), 纖(가늘 섬), 弱(약할 약), 質(바탕 질)

가냘프고 여리며 약한 체질.

용례:

  • 팔자 좋은 서울 계집애들은 방 속에서나 뭉개고 응달에서나 사는 아주 섬섬약질로만 알았더니 이 색시는 키가 크고 허리가 늘씬한 데다 뼈마디가 굵직굵직해 보여서….≪심훈, 영원의 미소≫
  • 몸이 성했으면 좋겠다마는 섬섬약질이 객지에 나서면 오죽 고생을 하겠니.≪나도향, 지형근≫

44. 섬유질 (纖維質) [서뮤질]

한자: 纖(가늘 섬), 維(벼리 유), 質(바탕 질)

섬유로 이루어진 물질.

용례:

  • 의사는 식물성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는 신선한 채소를 많이 먹으라고 충고하였다.
  • 서로서로 싸우면서 칡을 나눠 한 조각씩 찢어 입에 물고 단물이 빠져나갈 때까지 씹고 또 씹다가 질긴 섬유질은 퉤 뱉어 버렸다.≪최인호, 지구인≫

45. 성질 (性質) [성:질]

한자: 性(성품 성:), 質(바탕 질)

「1」사람이 지닌 마음의 본바탕.
「2」사물이나 현상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특성.

용례:

  • 「1」성질 사나운 사람.
  • 「1」성질이 못되다.
  • 「1」성질이 급하다.
  • 「2」화학적 성질.
  • 「2」그 사건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 「2」사건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조사 방법을 달리했다.
  • 「2」그 둘은 비교될 성질의 것이 아니다.

46. 소질 (素質) [소질]

한자: 素(본디/흴[白] 소(:)), 質(바탕 질)

「1」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성질. 또는 타고난 능력이나 기질.
「2」육체적·정신적 기능이나 상태 따위의 본능적·선천적 경향. 또는 그런 태도.

용례:

  • 「1」타고난 능력과 소질.
  • 「1」소질을 계발하다.
  • 「1」나는 미술에는 소질이 없다.
  • 「1」동생은 성악에 뛰어난 소질을 보였다.

47. 수질 (水質) [수질]

한자: 水(물 수), 質(바탕 질)

물의 성질. 물의 온도, 맑고 흐림, 빛깔, 비중, 방사능 및 유기질과 무기질, 혹은 세균의 함유량 따위에 따라 결정된다.

용례:

  • 수질 개선.
  • 수질 기준.
  • 수질이 나쁘다.
  • 수질이 좋다.
  • 공장 폐수는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킨다.

48. 식물질 (植物質) [싱물찔]

한자: 植(심을 식), 物(물건 물), 質(바탕 질)

「1」식물 또는 그것을 가공하여 만든 것.
「2」식물에서만 볼 수 있는 고유한 성질. 또는 그런 성질을 지닌 것.

용례:

  • 「1」식물질 먹이.
  • 「1」굴, 담치, 대합 따위의 많은 동물이 식물질을 먹고 자란다.

49. 신경질 (神經質) [신경질]

한자: 神(귀신 신), 經(지날/글 경), 質(바탕 질)

신경이 너무 예민하거나 섬약하여 사소한 일에도 자극되어 곧잘 흥분하는 성질. 또는 그런 상태.

용례:

  • 신경질을 내다.
  • 신경질을 부리다.
  • 그는 신경질이 많다.
  • 신경질 나게 왜 자꾸 참견이야.
  • 없는 사람들끼리 싸우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그걸 아는 덕실네는 신경질 꾹 눌러앉히고….≪이정환, 샛강≫

50. 실질 (實質) [실찔]

한자: 實(열매 실), 質(바탕 질)

실제로 있는 본바탕.

용례:

실질과 명분.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質 바탕 질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