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請 청할 청

1. 간청 (懇請) [간:청]

한자: 懇(간절할 간:), 請(청할 청)

간절히 청함. 또는 그런 청.

용례:

  • 간청을 거절하다.
  • 간청을 들어주다.
  • 간청을 물리치다.
  • 간청을 받아들이다.
  • 결국 그의 간청에 못 이겨 나는 급기야 도움을 약속했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 다음 해 현은 교장의 간청으로 여학교 교원으로 들어가게 되었다.≪선우휘, 불꽃≫

2. 감청 (敢請) [감:청]

한자: 敢(감히/구태여 감:), 請(청할 청)

어려움을 무릅쓰고 감히 청함.

3. 강청 (強請) [강:청]

한자: 強(강할 강(:)), 請(청할 청)

무리하게 억지로 청함.

용례:

그는 강청에 못 이겨 주례를 맡았다.

4. 경청 (敬請) [경:청]

한자: 敬(공경 경:), 請(청할 청)

삼가 청함.

5. 계청 (啓請) [계:청]

한자: 啓(열 계:), 請(청할 청)

임금에게 아뢰어 청하던 일.

용례:

종실 대군들이며 정부 당상들의 분경을 금합시사고 왕께 계청을 하였다.≪김동인, 대수양≫

6. 고청 (固請) [고청]

한자: 固(굳을 고(:)), 請(청할 청)

굳이 청함.

7. 관청 (關請) [관청]

한자: 關(관계할 관), 請(청할 청)

청구하여 받음.

8. 구청 (求請) [구청]

한자: 求(구할[索] 구), 請(청할 청)

남에게 돈이나 물건 따위를 달라고 요구함.

용례:

  • 그가 구청을 한다면 무엇이든 들어주기로 했다.
  • 어려운 구청이 있는데 들어주시겠소?≪한용운, 흑풍≫

9. 권청 (勸請) [권:청]

한자: 勸(권할 권:), 請(청할 청)

「1」신령이 내림(來臨)하기를 빎.
「2」신령의 영을 청하여 맞이함.
「3」지극한 정성으로 부처님께 설법해 주기를 청함.
「4」열반에 들려는 부처에게 오래도록 이 세상에 남아 있기를 청함.
「5」부처 또는 보살의 영이나 상(像)을 절에 봉안함.

10. 궤청 (跪請) [궤:청]

한자: 跪(꿇어앉을 궤:), 請(청할 청)

지체가 높고 귀한 사람을 무릎을 꿇고 앉아 뵙기를 청함.

11. 근청 (謹請) [근:청]

한자: 謹(삼갈 근:), 請(청할 청)

삼가 청함. 또는 그런 청.

12. 기청 (祈請) [기청]

한자: 祈(빌 기), 請(청할 청)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빎.

13. 긴청 (緊請) [긴청]

한자: 緊(긴할 긴), 請(청할 청)

꼭 들어달라고 긴하게 부탁함. 또는 그런 부탁.

14. 넋청 (넋請) [넉청]

한자: 請(청할 청)

집 밖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고 집으로 데려오기 위하여 하는 앉은굿.

15. 뇌청 (牢請) [뇌청]

한자: 牢(우리[畜舍] 뢰), 請(청할 청)

간절히 청함. 또는 그런 청.

16. 도청 (都請) [도청]

한자: 都(도읍 도), 請(청할 청)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몰아서 청구함.

17. 도청 (禱請) [도청]

한자: 禱(빌 도), 請(청할 청)

신(神)이나 부처께 기도하여 소원 성취를 빎.

18. 면청 (面請) [면:청]

한자: 面(낯 면:), 請(청할 청)

마주 대하고 있는 자리에서 청함.

19. 박청 (迫請) [박청]

한자: 迫(핍박할 박), 請(청할 청)

다그쳐 요청함.

20. 복청 (伏請) [복청]

한자: 伏(엎드릴 복), 請(청할 청)

엎드려 청함.

21. 불감청 (不敢請) [불감청]

한자: 不(아닐 불), 敢(감히/구태여 감:), 請(청할 청)

마음속으로는 간절하지만 감히 청하지 못함.

22. 삼청 (三請) [삼청]

한자: 三(석 삼), 請(청할 청)

청중들이 잇따라 세 번째 다시 하기를 요청함.

용례:

이 동의에 재청이 있고 삼청이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23. 상청 (上請) [상:청]

한자: 上(윗 상:), 請(청할 청)

「1」매우 긴한 청. 또는 으뜸가는 청.
「2」윗사람에게 청함.

용례:

「2」기분이 좋아 보이면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어려운 상청을 해야 된다. 그 눈치가 제대로 들어맞지 않으면 목이 달아나고 멸족까지 당하는 수가 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24. 소청 (所請) [소:청]

한자: 所(바 소:), 請(청할 청)

남에게 청하거나 바라는 일.

용례:

  • 부디 소녀의 소청을 들어주십시오.
  • 서로의 입장을 벗어나서 티 없는 소년 시절로 돌아가 만나 보는 뜻으로 꼭 나의 소청에 응해 주시기 바랍니다.≪이병주, 지리산≫
  • 민수는 맘속으로는 경애를 미워하자 하면서도 웬일인지 경애의 간절한 소청을 거절할 용기는 없는 것이다.≪김말봉, 찔레꽃≫

25. 소청 (疏請) [소청]

한자: 疏(소통할 소), 請(청할 청)

임금에게 상소하여 청함.

용례:

삼가 바라옵건대, 전하께서는 한결같이 전에 올린 소청에 따르시어 신민(臣民)의 바람을 위로하소서.≪번역 세종실록≫

26. 소청 (訴請) [소청]

한자: 訴(호소할 소), 請(청할 청)

「1」하소연하여 청함.

「2」공무원법에서, 징계 처분이나 휴직·면직·직위 해제 따위의 불이익 처분을 받은 사람이 그 처분에 따르지 아니하고 취소나 변경 따위를 청구하는 일.
「3」귀속 재산 처리에 관하여 이해관계인이 이의 신청을 하는 일.
「4」예전에, 지방 자치법에서 지방 자치 단체의 조례(條例) 또는 그 장(長)의 명령이나 처분이 헌법 또는 법률을 위반하였을 때에, 주민 100인 이상이 서명을 하여 그의 취소 따위를 청구하던 일.

용례:

  • 「1」소청을 받다.
  • 「1」소청을 들어주다.

27. 신청 (申請) [신청]

한자: 申(납[猿] 신), 請(청할 청)

「1」단체나 기관에 어떠한 사항을 말이나 문서로써 밝혀 요청함.
「2」민사 소송법에서, 당사자가 법원에 대하여 일정한 소송 행위를 요구하는 행위.
「3」공법(公法)에서, 국가 기관이나 법원 또는 공공 단체 기관에 대하여 특정한 행위를 요구하기 위한 의사 표시.

용례:

  • 「1」신청을 받아들이다.
  • 「1」병실이 없어서 신청만 해 두었는데 내일은 입원할 수 있을 거요.
  • 「1」이번 학기에는 장학금 신청을 꼭 하겠어요.
  • 「1」휴가 신청은 어느 과에서 받습니까?
  • 「2」원고의 신청을 기각하다.

28. 앙청 (仰請) [앙:청]

한자: 仰(우러를 앙:), 請(청할 청)

우러러 청함.

29. 약청 (略請) [약청]

한자: 略(간략할/약할 략), 請(청할 청)

간략하게 대강 청함.

30. 연청 (延請) [연청]

한자: 延(늘일 연), 請(청할 청)

남을 청하여 맞이함.

31. 요청 (要請) [요청]

한자: 要(요긴할 요(:)), 請(청할 청)

「1」필요한 어떤 일이나 행동을 청함. 또는 그런 청.
「2」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의 공리 가운데 기하학적인 내용을 갖는 공리.
「3」공리(公理)처럼 자명하지는 않으나 증명이 불가능한 명제로서, 학문적 또는 실천적 원리로서 인정되는 것.

용례:

  • 「1」협력 요청.
  • 「1」지원 요청.
  • 「1」나는 사정이 있어서 그의 간곡한 요청을 거절했다.
  • 「1」항해 중인 선박에서 구조 요청이 왔다.
  • 「1」사람들의 요청에 못 이겨 그는 그 직책을 맡기로 했다.
  • 「1」합창을 하고 다시금 독창의 요청을 받았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32. 원청 (原請) [원청]

한자: 原(언덕 원), 請(청할 청)

발주처와 직접 계약하여 도거리로 맡은 일을 다른 하위 업체에 다시 나누어 맡기는 일. 또는 그런 기업이나 공장.

용례:

건설업체 근로자들은 원청을 상대로 임금 협상을 요구했다.

33. 읍청 (泣請) [읍청]

한자: 泣(울 읍), 請(청할 청)

눈물을 흘리면서 간절히 청함.

34. 자청 (自請) [자청]

한자: 自(스스로 자), 請(청할 청)

어떤 일에 나서기를 스스로 청함.

용례:

그는 그 일을 맡겠다고 자청을 하고 나섰다.

35. 장청 (狀請) [장:청]

한자: 狀(문서 장:), 請(청할 청)

임금에게 글을 올려 청원하던 일.

용례:

그곳 사람들은 그 4개 면의 결세를 재결로 처리하여 결세를 물지 않도록 감영에 장청을 해 달라고 조병갑이한테 호소를 했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36. 재청 (再請) [재:청]

한자: 再(두 재:), 請(청할 청)

「1」이미 한 번 한 것을 다시 청함.
「2」회의할 때에 다른 사람의 동의(動議)에 찬성하여 자기도 그와 같이 청함을 이르는 말.
「3」출연자의 훌륭한 솜씨를 찬양하여 박수 따위로 재연을 청하는 일.

용례:

  • 「2」금년 가을부터 어멈을 두자는 어머니의 동의와 아내의 재청에 나도 이의가 없었다.≪최서해, 갈등≫
  • 「3」오늘 밤의 연주회는 매우 감동적이어서 연주자는 거듭 재청을 요구받았다.
  • 「3」서봉애, 이혜정 두 여사의 자장가 합창은 역시 경험자라 실감이 있다 해서 재청을 받고 또 받고 하였다.≪유진오, 화상보≫

37. 전청 (電請) [전:청]

한자: 電(번개 전:), 請(청할 청)

전보나 전화로 청함.

용례:

청국 정부는 전청에 따라 조선 출병을 결정하고 때마침 육해군 합동 기동 작전 마치고….≪유현종, 들불≫

38. 전청 (轉請) [전:청]

한자: 轉(구를 전:), 請(청할 청)

다른 사람을 사이에 넣어 간접적으로 청함.

39. 제청 (提請) [제청]

한자: 提(끌 제), 請(청할 청)

어떤 안건을 제시하여 결정하여 달라고 청구함.

용례:

  •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장관이 임명된다.
  • 각료는 총리의 제청에 의하여 최고 회의에서 선출된다.

40. 주청 (奏請) [주:청]

한자: 奏(아뢸 주(:)), 請(청할 청)

임금에게 아뢰어 청하던 일.

용례:

  • 신하들이 주청을 들어주다.
  • 모든 국사는 총리대신의 주청을 기다려 국왕이 재결해야 하지만 그것은 형식이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 전하께서는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돌리어 사헌부의 주청에 좇으시고….≪번역 세종실록≫

41. 즉청 (卽請) [즉청]

한자: 卽(곧 즉), 請(청할 청)

그 자리에서 바로 청함.

42. 직청 (直請) [직청]

한자: 直(곧을 직), 請(청할 청)

직접 청함.

43. 진청 (陳請) [진:청]

한자: 陳(베풀 진:/묵을 진), 請(청할 청)

사정을 말하여 간청함.

44. 질청 (迭請) [질청]

한자: 迭(갈마들 질), 請(청할 청)

번갈아 청함.

45. 참청 (參請) [참청]

한자: 參(참여할 참), 請(청할 청)

참여하여 청함.

46. 초청 (招請) [초청]

한자: 招(부를 초), 請(청할 청)

사람을 청하여 부름.

용례:

  • 초청 강연.
  • 초청 인사.
  • 초청을 받다.
  • 어느 날 나는 진주 하영진 군의 초청으로 사동에 있던 천향원으로 갔었다.≪변영로, 명정 40년≫

47. 특청 (特請) [특청]

한자: 特(특별할 특), 請(청할 청)

특별히 청함. 또는 그런 청.

용례:

  • 그는 돈을 꾸어 달라는 친구의 특청을 뿌리칠 수 없었다.
  • 전라도 순상 각하께서 이조에 올린 특청을 잘 조처하여 주시기 바라옵나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48. 품청 (稟請) [품:청]

한자: 稟(여쭐 품:), 請(청할 청)

윗사람이나 관청 따위에 여쭈어 청함.

49. 하청 (下請) [하:청]

한자: 下(아래 하:), 請(청할 청)

도급으로 맡은 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시 맡거나 맡김. 또는 그렇게 맡거나 맡긴 일.

용례:

  • 하청 공장.
  • 하청을 주다.
  • 하청을 받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