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칙 (各則) [각칙]
한자: 各(각각 각), 則(법칙 칙)
「1」여러 가지의 규칙이나 법칙.
「2」법률·명령·규칙·조약 따위에서, 특정한 경우에만 적용하는 규정이나 법규.
용례:
- 「1」각칙에 준하다.
- 「1」각칙을 준수하다.
2. 경제원칙 (經濟原則) [경제원칙]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原(언덕 원), 則(법칙 칙)
「1」인간의 효율적인 경제생활을 이루기 위하여 따라야 할 기준. 예를 들면, 재화의 생산에 대하여 사회의 총노동이 적당하게 배분되어야 한다는 것 따위이다.
「2」가장 적은 비용으로 가장 큰 효과를
얻으려는 경제상의 원칙.
용례:
- 「1」공정한 경제 원칙을 정립하고 도덕적 해이를 근절해야 한다.
- 「2」합리적인 선택의 기준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만족 최대화와 비용 최소화 같은 경제 원칙이라 할 수 있다.
3. 과즉 (過則) [과:즉]
한자: 過(지날 과:), 則(법칙 칙)
‘기껏해야’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용례:
- 이달이 적어서 스무아흐레이자 그믐이니 스무엿샛날 회갑 보신 뒤 과즉 이틀만 더 묵으시면 그믐 아닙니까.≪홍명희, 임꺽정≫
- 올라가는 것은 올라가다가 실수하여 떨어지면 과즉 제자리에 내린다.≪김동인, 광화사≫
4. 교칙 (校則) [교:칙]
한자: 校(학교 교:), 則(법칙 칙)
학생이 지켜야 할 학교의 규칙.
용례:
- 교칙을 준수하다.
- 교칙에 따라 교모와 교복을 착용해야 한다.
- 그런 애가 어떻게 여태 퇴학을 안 당했나요. 교칙이 엄하기로 이름난 학교인데…….≪전상국, 우상의 눈물≫
5. 교칙 (敎則) [교:칙]
한자: 敎(가르칠 교:), 則(법칙 칙)
「1」학교의 학과, 편제, 교과 과정, 입학, 졸업, 상벌 따위에 관한 규칙.
「2」종교적인 규칙. 또는 교회의 규칙.
용례:
- 「1」할아버지가 돌아가실 경우 장례를 치르는 동안은 결석 처리를 하지 않는 게 교칙인 줄 아는데 그게 맞지요?≪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2」그들의 교칙에 의하면, 안식일엔 병을 고치는 일도 죄가 되었던 것이다.≪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6. 규칙 (規則) [규칙]
한자: 規(법 규), 則(법칙 칙)
「1」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작정한 법칙. 또는 제정된 질서.
「2」헌법이나 법률에 입각하여 정립되는 제정법의 한 형식. 입법·사법·행정의 각 부에서 제정되며, 국회 인사 규칙·감사원 사무
처리 규칙·법원 사무 규칙 따위가 있다.
용례:
- 「1」규칙 위반.
- 「1」규칙을 어기다.
- 「1」규칙을 정하다.
- 「1」규칙을 지키다.
- 「1」주어진 규칙에 따르다.
- 「1」게임을 하기 전에 먼저 게임 규칙을 숙지해 주세요.
7. 대원칙 (大原則) [대:원칙]
한자: 大(큰 대(:)), 原(언덕 원), 則(법칙 칙)
근본이 되는 가장 중요한 원칙.
용례:
- 대원칙이 있다.
- 대원칙을 지키다.
- 노약자 보호라는 대원칙에 어긋나다.
8. 무원칙 (無原則) [무원칙]
한자: 無(없을 무), 原(언덕 원), 則(법칙 칙)
원칙이 없음.
용례:
무이론, 무원칙, 무사상이 그들 우익 성격이다.≪이병주, 지리산≫
9. 반칙 (反則) [반:칙]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則(법칙 칙)
법칙이나 규정, 규칙 따위를 어김.
용례:
- 공격자 반칙.
- 반칙을 저지르다.
10. 방칙 (方則) [방칙]
한자: 方(모[棱] 방), 則(법칙 칙)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작정한 법칙. 또는 제정된 질서.
용례:
그것들을 겪어야만 되게끔 어떤 방칙의 순서가 생명 깊은 곳에 깃들어 있어….≪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11. 벌칙 (罰則) [벌칙]
한자: 罰(벌할 벌), 則(법칙 칙)
법규를 어긴 행위에 대한 처벌을 정하여 놓은 규칙.
용례:
- 벌칙을 정하다.
- 벌칙을 강화하다.
- 벌칙을 주다.
12. 범칙 (犯則) [범:칙]
한자: 犯(범할 범:), 則(법칙 칙)
규칙을 어김.
용례:
범칙에 대한 처벌을 받다.
13. 법칙 (法則) [법칙]
한자: 法(법 법), 則(법칙 칙)
「1」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규범.
「2」연산(演算)의 규칙.
「3」모든 사물과 현상의 원인과 결과 사이에 내재하는 보편적·필연적인 불변의 관계.
용례:
- 「1」법칙을 따르다.
- 「1」법칙을 지키다.
- 「1」법칙에 따라 행동하다.
- 「3」이 우주의 순환 법칙은 사람이나 만물이나 다 같아서, 오면 가고 가면 오고, 자꾸 변하는 것 아닌가.≪최명희, 혼불≫
14. 변칙 (變則) [변:칙]
한자: 變(변할 변:), 則(법칙 칙)
원칙에서 벗어나 달라짐. 또는 그런 법칙이나 규정.
용례:
- 그 기관이 예산을 변칙으로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 상속세를 피하려고 변칙으로 재산을 증여한 재벌에게 비난이 쏟아졌다.
15. 본칙 (本則) [본칙]
한자: 本(근본 본), 則(법칙 칙)
「1」어떤 행동이나 이론 따위에서 일관되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규칙이나 법칙.
「2」법령의 본체가 되는 부분.
용례:
「1」본칙에 따라 회의를 주재하십시오.
16. 부칙 (附則) [부:칙]
한자: 附(붙을 부(:)), 則(법칙 칙)
「1」어떠한 규칙을 보충하기 위하여 덧붙인 규칙.
「2」법률이나 명령의 끝에 붙여서 경과 규정, 시행 기일, 구법의 폐지, 세칙을 정하는 법 따위를 정하여 놓은 것.
17. 불규칙 (不規則) [불규칙]
한자: 不(아닐 불), 規(법 규), 則(법칙 칙)
규칙에서 벗어나 있음. 또는 규칙이 없음.
18. 사칙 (社則) [사칙]
한자: 社(모일 사), 則(법칙 칙)
회사나 결사 단체의 규칙.
용례:
한 달에 하루를 쉴 수 있도록 사칙에 규정되어 있다.
19. 세칙 (細則) [세:칙]
한자: 細(가늘 세:), 則(법칙 칙)
으뜸이나 기본이 되는 규칙을 다시 나누어 자세하게 만든 규칙.
용례:
한글 맞춤법 각 항에 세칙을 마련하다.
20. 수칙 (守則) [수칙]
한자: 守(지킬 수), 則(법칙 칙)
행동이나 절차에 관하여 지켜야 할 사항을 정한 규칙.
용례:
- 근무 수칙.
- 안전 수칙을 지키다.
- 수칙을 어기다.
- 생활 수칙으로 삼다.
21. 연즉 (然則) [연즉]
한자: 然(그럴 연), 則(법칙 칙)
‘그러면’, ‘그런즉’의 뜻을 나타내는 접속 부사.
용례:
무허가 집들을 철거하려 한다니 연즉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가 살란 말인가.
22. 원칙 (原則) [원칙]
한자: 原(언덕 원), 則(법칙 칙)
「1」어떤 행동이나 이론 따위에서 일관되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규칙이나 법칙.
「2」다른 여러 명제가 도출되는 기본 논제.
용례:
- 「1」원칙을 따르다.
- 「1」원칙을 세우다.
- 「1」근본 원칙에 어긋나다.
- 「1」결의한 사항은 필요한 시기, 필요한 사람에게 대해서가 아니면 절대로 발설해선 안 된다는 것이 조직의 원칙이었다.≪이병주, 지리산≫
23. 육하원칙 (六何原則) [유카원칙]
한자: 六(여섯 륙), 何(어찌 하), 原(언덕 원), 則(법칙 칙)
역사 기사, 보도 기사 따위의 문장을 쓸 때에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원칙.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의 여섯 가지를 이른다.
용례:
글을 간결하고 명확히 쓰기 위해서는 육하원칙에 따라야 한다.
24. 율칙 (律則) [율칙]
한자: 律(법칙 률), 則(법칙 칙)
규율과 규칙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율칙을 범하다.
- 실상인즉 담배도 능금과 같이 금단의 것이었으나 율칙을 어김은 인류의 조상이 끼쳐 준 아름다운 공덕이다.≪이효석, 수탉≫
25. 자연법칙 (自然法則) [자연법칙]
한자: 自(스스로 자), 然(그럴 연), 法(법 법), 則(법칙 칙)
자연계의 모든 사물을 지배하는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 법칙.
26. 정칙 (定則) [정:칙]
한자: 定(정할 정:), 則(법칙 칙)
일정한 규칙이나 법칙.
용례:
백 원 이상의 돈을 지출하는 때는 반드시 간부 회의를 경유하는 것이 정칙인데….≪한용운, 흑풍≫
27. 준칙 (準則) [준:칙]
한자: 準(준할 준:), 則(법칙 칙)
「1」준거할 기준이 되는 규칙이나 법칙.
「2」행위의 규범이나 윤리의 원칙.
용례:
「1」선배들이 만들어 놓은 준칙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게 아니겠습니까.≪이병주, 행복어 사전≫
28. 천칙 (天則) [천칙]
한자: 天(하늘 천), 則(법칙 칙)
우주의 원칙. 또는 대자연의 법칙.
용례:
사람이 태어나서 죽는 것은 천칙이니 누가 이것을 피할 수 있겠는가?
29. 철칙 (鐵則) [철칙]
한자: 鐵(쇠 철), 則(법칙 칙)
바꾸거나 어길 수 없는 중요한 법칙.
용례:
- 철칙을 엄격히 지키다.
- 간악도 힘이다. 힘 있는 자가 없는 자에게 이기는 것은 대자연의 철칙이다.≪김성한, 개구리≫
30. 총칙 (總則) [총:칙]
한자: 總(다[皆] 총:), 則(법칙 칙)
전체를 포괄하는 규칙이나 법칙.
용례:
- 한글 맞춤법 총칙.
- 먼저 총칙을 정하고 이에 맞춰 세부 규정을 정해 나갔다.
31. 통칙 (通則) [통칙]
한자: 通(통할 통), 則(법칙 칙)
일반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규칙.
용례:
약한 자 뒤떨어진 자에게는 까다롭고 오만한 것이 인간 사회의 통칙이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32. 학칙 (學則) [학칙]
한자: 學(배울 학), 則(법칙 칙)
학교의 학과, 편제, 교과 과정, 입학, 졸업, 상벌 따위에 관한 규칙.
용례:
- 학칙을 개정하다.
- 학칙에 따라 문제 학생을 징계했다.
33. 회칙 (會則) [회:칙]
한자: 會(모일 회:), 則(법칙 칙)
모임의 규칙.
용례:
엄격한 회칙을 만들어 회원 자격을 제한하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