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탈 (強奪) [강:탈]
한자: 強(강할 강(:)), 奪(빼앗을 탈)
남의 물건이나 권리를 강제로 빼앗음.
용례:
- 강탈 사건.
- 그들은 기회만 있으면 강탈이나 약탈도 주저하지 않는 사람들이었다.
2. 거탈 (據奪) [거:탈]
한자: 據(근거 거:), 奪(빼앗을 탈)
거짓 문서로 남의 것을 빼앗음.
용례:
거탈로 남의 재산을 빼앗다.
3. 겁탈 (劫奪) [겁탈]
한자: 劫(위협할 겁), 奪(빼앗을 탈)
「1」위협하거나 폭력을 써서 빼앗음.
「2」위협하거나 폭력을 써서 성관계를 맺음.
용례:
- 「1」적은 숫자로 많은 적을 대적하지 못하고, 어찌 할 수 없이 전부 겁탈을 당하여….≪번역 태종실록≫
- 「2」남치마를 입은 계집은 겁탈을 당할 뻔했던 이 집 소첩의 몸종이었다.≪유현종, 들불≫
4. 견탈 (見奪) [견:탈]
한자: 見(볼 견:), 奪(빼앗을 탈)
남에게 빼앗김.
5. 경탈 (傾奪) [경탈]
한자: 傾(기울 경), 奪(빼앗을 탈)
앞다투어 빼앗아 가짐.
6. 공탈 (攻奪) [공:탈]
한자: 攻(칠[擊] 공:), 奪(빼앗을 탈)
공격하여 빼앗음.
용례:
무기 공탈.
7. 광탈 (狂奪) [광탈]
한자: 狂(미칠 광), 奪(빼앗을 탈)
미친 듯이 빼앗음.
8. 교탈 (矯奪) [교탈]
한자: 矯(바로잡을 교:), 奪(빼앗을 탈)
속이어 빼앗음.
9. 구탈 (寇奪) [구탈]
한자: 寇(도적 구), 奪(빼앗을 탈)
사람을 해치고 재물을 약탈함.
10. 늑탈 (勒奪) [늑탈]
한자: 勒(굴레 륵), 奪(빼앗을 탈)
폭력이나 위력을 써서 강제로 빼앗음.
용례:
- 늑탈을 당하다.
- 늑탈이 심하다.
- 관리들의 무자비한 늑탈과 폭압을 견디다 못해 농민들이 일어섰다.
11. 도탈 (盜奪) [도탈]
한자: 盜(도둑 도(:)), 奪(빼앗을 탈)
훔쳐 빼앗음.
12. 모탈 (謀奪) [모탈]
한자: 謀(꾀 모), 奪(빼앗을 탈)
꾀하여 빼앗음.
13. 박탈 (剝奪) [박탈]
한자: 剝(벗길 박), 奪(빼앗을 탈)
남의 재물이나 권리, 자격 따위를 빼앗음.
용례:
- 소유권 박탈.
- 선거권 및 피선거권 박탈.
14. 백탈 (白奪) [백탈]
한자: 白(흰 백), 奪(빼앗을 탈)
대낮에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음.
15. 삭탈 (削奪) [삭탈]
한자: 削(깎을 삭), 奪(빼앗을 탈)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16. 생사여탈 (生死與奪) [생사여:탈]
한자: 生(날 생), 死(죽을 사:), 與(더불/줄 여:), 奪(빼앗을 탈)
마음대로 살리고 죽이거나, 주고 빼앗는 행위를 하는 것을 이르는 말.
용례:
- 우리 회사의 생사여탈은 이번 신제품을 대하는 소비자가 쥐고 있다.
- 백성의 생사여탈을 말 한마디로 좌지우지했던 그는 결국 폭군으로 내몰렸다.
17. 생살여탈 (生殺與奪) [생살려:탈]
한자: 生(날 생), 殺(죽일 살), 與(더불/줄 여:), 奪(빼앗을 탈)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1」병사는 전쟁 중에 생살여탈의 권한을 잡은 사람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18. 수탈 (收奪) [수탈]
한자: 收(거둘 수), 奪(빼앗을 탈)
강제로 빼앗음.
용례:
- 경제적 수탈.
- 식민지 수탈 정책.
- 수탈에 시달리다.
- 수탈을 당하다.
- 일제의 토지 수탈은 우리 농민들을 소작농으로 전락시켰다.
- 수령들은…농민을 보호할 생각은 않고 되레 온갖 방법으로 수탈만 일삼을 뿐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9. 약탈 (掠奪) [약탈]
한자: 掠(노략질할 략), 奪(빼앗을 탈)
폭력을 써서 남의 것을 억지로 빼앗음.
용례:
- 약탈을 당하다.
- 약탈을 일삼다.
- 권력을 이용한 그들의 부정 축재는 약탈 행위나 다름없었다.
- 그들은 야밤을 이용하여 서슴없이 약탈을 감행했다.≪홍성원, 육이오≫
20. 양탈 (攘奪) [양:탈]
한자: 攘(물리칠 양:), 奪(빼앗을 탈)
폭력을 써서 남의 것을 억지로 빼앗음.
21. 어탈 (漁奪) [어탈]
한자: 漁(고기잡을 어), 奪(빼앗을 탈)
어부가 물고기를 잡듯이 백성의 재물을 빼앗음.
22. 억탈 (抑奪) [억탈]
한자: 抑(누를 억), 奪(빼앗을 탈)
억지로 빼앗음.
용례:
김 참봉의 아들이 순박한 촌백성을 위협이나 하는 듯이 한 손에 몽둥이를 들고 억탈로 경계도 없이 이 논 수통 저 논 수통을 막으며….≪조명희, 농촌 사람들≫
23. 여탈 (與奪) [여:탈]
한자: 與(더불/줄 여:), 奪(빼앗을 탈)
주는 일과 빼앗는 일.
24. 오탈 (五奪) [오:탈]
한자: 五(다섯 오:), 奪(빼앗을 탈)
기혈(氣血)과 진액(津液)이 몹시 줄어들고 허약해진 다섯 가지 경우. 곧 살이 과도하게 빠진 경우, 피를 많이 흘린 경우, 땀이 몹시 난 경우, 설사를 심하게 한 경우, 해산 후에 출혈이 과도한 경우를 이른다.
25. 쟁탈 (爭奪) [쟁탈]
한자: 爭(다툴 쟁), 奪(빼앗을 탈)
서로 다투어 빼앗음.
용례:
- 왕위 쟁탈.
- 대통령 배 쟁탈 전국 고교 야구 대회.
- 사람들이 모였다 하면 이권 쟁탈에만 열을 올렸다.
26. 점탈 (占奪) [점탈]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奪(빼앗을 탈)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아 차지함.
용례:
일제의 토지 조사 사업이라는 것은 전국적인 토지 점탈이나 마찬가지였다.
27. 정탈 (定奪) [정:탈]
한자: 定(정할 정:), 奪(빼앗을 탈)
「1」임금의 재결(裁決).
「2」신하들이 올린 논의나 계책 가운데 임금이 가부를 결정하여 그 가운데 한 가지만 택하던 일.
28. 찬탈 (簒奪) [찬:탈]
한자: 簒(빼앗을[篡] 찬:), 奪(빼앗을 탈)
왕위, 국가 주권 따위를 억지로 빼앗음.
용례:
- 두 조직은 권력 찬탈을 둘러싼 암투극을 벌이고 있다.
- 선왕을 위에서 떨어뜨려 군(君)으로 강봉하고, 종친 중의 한 사람이 위에 오른 것─말하자면 왕위 찬탈이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29. 창탈 (搶奪) [창탈]
한자: 搶(빼앗을 창), 奪(빼앗을 탈)
폭력을 써서 남의 것을 억지로 빼앗음.
30. 추탈 (追奪) [추탈]
한자: 追(쫓을/따를 추), 奪(빼앗을 탈)
죽은 사람의 죄를 논하여 살았을 때의 벼슬 이름을 깎아 없앰.
31. 취탈 (取奪) [취:탈]
한자: 取(가질 취:), 奪(빼앗을 탈)
빼앗아 가짐.
32. 치탈 (褫奪) [치탈]
한자: 褫(옷벗길/빼앗을 치), 奪(빼앗을 탈)
벗겨 빼앗아 들임.
33. 침탈 (侵奪) [침:탈]
한자: 侵(침노할 침), 奪(빼앗을 탈)
침범하여 빼앗음.
용례:
- 일제의 경제 침탈.
- 왜구에게 침탈을 당하다.
- 경제적 침탈에 대항하다.
- 나라가 생민을 보호해 주기는커녕 봉세관을 내려보내…침탈을 일삼는 마당에 백성이 살 도리가 있습니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34. 폭탈 (暴奪) [폭탈]
한자: 暴(사나울 폭), 奪(빼앗을 탈)
폭력을 써서 억지로 빼앗음.
35. 표탈 (剽奪) [표탈]
한자: 剽(겁박할 표), 奪(빼앗을 탈)
남을 협박하여 빼앗음.
36. 피탈 (被奪) [피:탈]
한자: 被(입을 피:), 奪(빼앗을 탈)
억지로 빼앗김.
37. 핍탈 (逼奪) [핍탈]
한자: 逼(핍박할 핍), 奪(빼앗을 탈)
「1」협박하여 빼앗음.
「2」임금을 협박하여 그 지위를 빼앗음.
38. 협탈 (脅奪) [협탈]
한자: 脅(위협할 협), 奪(빼앗을 탈)
협박하여 빼앗음.
39. 확탈 (攫奪) [확탈]
한자: 攫(움킬 확), 奪(빼앗을 탈)
홱 갈겨서 빼앗아 가짐.
40. 환탈 (換奪) [환:탈]
한자: 換(바꿀 환:), 奪(빼앗을 탈)
「1」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에
나오는 말이다.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이 됨.
41. 횡탈 (橫奪) [횡탈]
한자: 橫(가로 횡), 奪(빼앗을 탈)
함부로 남의 물건을 가로채어 빼앗음.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