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準 준할 준:

1. 가격수준 (價格水準) [가격쑤준]

한자: 價(값 가), 格(격식 격), 水(물 수), 準(준할 준:)

개별 재화나 용역 가격의 높고 낮은 정도.

용례:

현재 국제 기름값은 배럴당 35~40달러로 지난해 6월과 같은 가격 수준을 보이고 있다.

2. 고용수준 (雇傭水準) [고용수준]

한자: 雇(품팔 고), 傭(품팔 용), 水(물 수), 準(준할 준:)

한 나라의 경제에서 이용 가능한 생산 자원이 실제로 어느 정도 이용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준. 일반적으로 인적 자원에 대하여 사용되는데, 어떤 시점의 한 사회에서 취업하고 있는 노동의 총량을 가리킨다.

3. 고준 (考準) [고준]

한자: 考(생각할 고(:)), 準(준할 준:)

베낀 책이나 서류를 원본과 맞추어 봄.

4. 공업표준 (工業標準) [공업표준]

한자: 工(장인 공), 業(업 업), 標(표할 표), 準(준할 준:)

광공업 제품의 규격, 품질, 등급 및 그 생산 방법, 시험 분석 방법, 포장 방법 따위를 통일시키는 기준.

5. 과세표준 (課稅標準) [과세표준]

한자: 課(공부할/과정 과(:)), 稅(세금 세:), 標(표할 표), 準(준할 준:)

과세의 기준이 되는 것. 물건의 수량, 가격, 품질. 소득세에서는 소득액, 주세(酒稅)에서는 주류의 용량 따위를 이른다.

6. 교준 (校準) [교:준]

한자: 校(학교 교:), 準(준할 준:)

교정쇄와 원고를 대조하여 오자, 오식, 배열, 색 따위를 바르게 고침.

7. 교준 (較準) [교:준]

한자: 較(견줄/비교할 교), 準(준할 준:)

계기류의 정밀도 따위를 표준기와 비교하여 바로잡음.

8. 규준 (規準) [규준]

한자: 規(법 규), 準(준할 준:)

「1」실천하는 데 모범이 되는 표준.
「2」신앙이나 사유, 인식, 평가, 행동 따위에 있어서 규범이 되는 표준.

용례:

  • 「1」작업 규준을 따르다.
  • 「1」이번에 열리는 인권 위원회는 인류가 지향해야 할 인권의 규준을 세워 나가는 토론의 장이었다.

9. 급여기준 (給與基準) [그벼기준]

한자: 給(줄 급), 與(더불/줄 여:), 基(터 기), 準(준할 준:)

한 사람에게 매월 주는 평균 급여 액수.

10. 기계준 (機械準) [기계준]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準(준할 준:)

교정을 마친 인쇄물을 인쇄판에 올려 인쇄하기 전에 시험 인쇄를 하여 마지막으로 보는 교정.

11. 기준 (基準) [기준]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Ⅰ]기본이 되는 표준.
[Ⅱ]제식 훈련에서, 대오(隊伍)를 정렬하는 데 기본이 되는 표준을 대원들에게 알리는 구령.

용례:

  • [Ⅰ]심사 기준.
  • [Ⅰ]평가 기준.
  • [Ⅰ]기준을 세우다.
  • [Ⅰ]기준을 잡다.
  • [Ⅰ]기준을 강화하다.
  • [Ⅰ]기준을 바꾸다.
  • [Ⅰ]새로운 기준을 적용하다.
  • [Ⅰ]가스 배출량이 기준을 초과하다.
  • [Ⅰ]세금은 그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Ⅰ]하루아침에 지금까지 내려온 가치 기준과 관습을 뒤엎을 수는 없다.
  • [Ⅰ]가해자와 피해자를 얼른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체격이었다.≪윤흥길, 비늘≫
  • [Ⅰ]시간급제는 종업원이 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임금이 지급되는 것이다.
  • [Ⅱ]우측 일 번 선두 기준!

12. 대장준 (臺狀準) [대장준]

한자: 臺(대 대), 狀(문서 장:), 準(준할 준:)

신문이나 대형 인쇄면을 조판한 뒤에 박아 낸 대장에 대하여 교정을 보아 놓은 종이를 가지고 다시 대어 보는 교정.

13. 배수기준 (排水基準) [배수기준]

한자: 排(밀칠 배), 水(물 수), 基(터 기), 準(준할 준:)

공장이나 사업소에서 배출하는 폐수의 오염 상태에 대한 기준. 중금속, 유기 물질 따위의 오염 물질과 화학적 산소 요구량 따위에 관한 기준이다.

14. 배출기준 (排出基準) [배출기준]

한자: 排(밀칠 배), 出(날[生] 출), 基(터 기), 準(준할 준:)

공장이나 사업소에서 배출하는 매연, 폐수 따위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 물질의 최대 허용량 또는 최대 허용 농도. 수질과 대기의 보전을 위한 공해 방지 관련 법률에 의하여 그 기준이 정해진다.

용례:

  • 오염 물질 배출 기준.
  • 폐수 배출 기준을 위반하다.

15. 비준 (比準) [비:준]

한자: 比(견줄 비:), 準(준할 준:)

둘 이상인 대상의 내용을 맞대어 같고 다름을 검토함.

16. 빙준 (憑準) [빙준]

한자: 憑(비길[依] 빙), 準(준할 준:)

「1」어떤 근거에 의하여 표준을 삼음.
「2」어떤 근거에 준하여 하여 나감.

17. 사준 (司準) [사준]

한자: 司(맡을 사), 準(준할 준:)

조선 시대에, 교서관에서 인쇄 원고를 교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종팔품의 벼슬. 후에 창준(唱准)으로 이름을 고쳤다.

18. 삼준 (三準) [삼준]

한자: 三(석 삼), 準(준할 준:)

인쇄물의 교정 과정에서 재교(再校) 다음 세 번째로 보는 교정. 또는 교정지.

19. 상준 (相準) [상준]

한자: 相(서로 상), 準(준할 준:)

‘상준하다’
(서로 비슷하다.)의 어근.

20. 상준 (詳準) [상준]

한자: 詳(자세할 상), 準(준할 준:)

자세히 살펴봄.

21. 색표준 (色標準) [색표준]

한자: 色(빛 색), 標(표할 표), 準(준할 준:)

비색용(比色用) 빛깔 표준으로 쓰기 위해서 화학 조성과 농도가 일정하게 만든 착색 용액. 농도를 알 수 없는 시료의 광학적 분석에 쓰인다.

22. 생활수준 (生活水準) [생활수준]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水(물 수), 準(준할 준:)

소득이나 소비 따위의 많고 적음에 의하여 측정하는 일반적인 생활의 내용이나 정도.

용례:

  • 생활 수준을 높이다.
  • 생활 수준이 향상되다.
  • 생활 수준이 높다.

23. 소득수준 (所得水準) [소:득쑤준]

한자: 所(바 소:), 得(얻을 득), 水(물 수), 準(준할 준:)

한 나라의 국민 소득의 크기. 국민의 생활 수준을 재는 지표로, 1인당 또는 한 가구당 실질 소득을 소비자 물가 지수나 생계비 지수로 나누어 구한다.

24. 수준 (水準) [수준]

한자: 水(물 수), 準(준할 준:)

「1」사물의 가치나 질 따위의 기준이 되는 일정한 표준이나 정도.
「2」수면(水面)의 위치. 주로 육지의 높이를 재는 기준이 된다.
「3」면이 평평한가 아닌가를 재거나 기울기를 조사하는 데 쓰는 기구. 양 끝을 막고 큰 원호(圓弧)의 일부를 이룬 유리관 속에 일정한 기포를 남겨 두고 에테르 또는 알코올을 넣어서 만든다. 기계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의 기포의 위치를 0점으로 하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용례:

  • 「1」수준 이하.
  • 「1」수준 높은 예술 작품.
  • 「1」수준이 같다.
  • 「1」수준이 맞다.
  • 「1」수준을 맞추다.
  • 「1」수준을 높이다.
  • 「1」그녀의 피아노 솜씨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랐다.
  • 「1」그는 판소리를 감상하는 수준이 꽤 높았다.
  • 「1」올해의 쌀 생산량은 여전히 평년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25. 시준 (視準) [시:준]

한자: 視(볼 시:), 準(준할 준:)

「1」망원경에서 반사 또는 굴절광을 이용하여 두 개의 렌즈 축을 일직선상에 올려놓는 일. 또는 평행하게 놓는 일.
「2」망원경의 축의 방향을 시준기를 써서 결정 또는 보정하는 일.

26. 안전기준 (安全基準) [안전기준]

한자: 安(편안 안), 全(온전 전), 基(터 기), 準(준할 준:)

어떤 유해한 환경 조건이 어느 한계까지만 안전할 때, 그 한계가 되는 값.

27. 영점조준 (零點照準) [영쩜조:준]

한자: 零(떨어질/영[數字] 령), 點(점 점(:)), 照(비칠 조:), 準(준할 준:)

표준 사격장에서, 정밀 사격을 통하여 소총 따위의 조준점과 탄착점이 일치하도록 가늠자와 가늠쇠를 조정하는 일.

28. 오조준 (誤照準) [오:조준]

한자: 誤(그르칠 오:), 照(비칠 조:), 準(준할 준:)

총이나 포 따위를 잘못 겨냥함.

용례:

  • 전장에서 포병의 오조준은 아군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 지원을 요청할 땐 한없이 늦장을 부리고, 겨우 지원이 올 땐 십중팔구는 오조준뿐이었어.≪홍성원, 육이오≫

29. 완준 (完準) [완준]

한자: 完(완전할 완), 準(준할 준:)

인쇄물의 교정을 끝냄.

30. 위준 (爲準) [위준]

한자: 爲(하/할 위(:)), 準(준할 준:)

기준으로 삼음.

31. 윤준 (允準) [윤:준]

한자: 允(맏[伯] 윤:), 準(준할 준:)

임금이 신하의 청을 허락함.

32. 융준 (隆準) [융준]

한자: 隆(높을 륭), 準(준할 준:)

우뚝한 코.

용례:

이여송은 얼굴이 준수하고 위풍이 늠름하여 코는 우뚝이 솟아 융준이요, 눈은 봉황의 실쭉 올라 붙은 눈이었다.≪박종화, 임진왜란≫

33. 응절 (鷹準) [응절]

한자: 鷹(매 응(:)), 準(준할 준:)

매부리와 같이 코끝이 아래로 삐죽하게 숙은 코. 또는 그런 코를 가진 사람.

34. 의준 (依準) [의준]

한자: 依(의지할 의), 準(준할 준:)

「1」일정한 기준에 근거함.
「2」청원(請願)을 들어줌.

35. 임금수준 (賃金水準) [임:금수준]

한자: 賃(품삯 임:), 金(쇠 금), 水(물 수), 準(준할 준:)

국가, 산업, 직업, 기업 따위의 일정한 범위에 속하는 노동자의 평균적인 임금.

36. 재준 (再準) [재:준]

한자: 再(두 재:), 準(준할 준:)

초교 후에 다시 교정함. 또는 그런 교정.

37. 정조준 (正照準) [정:조준]

한자: 正(바를 정(:)), 照(비칠 조:), 準(준할 준:)

총알, 화살 따위를 목표물에 정확히 맞히기 위하여 방향과 거리를 잡아 똑바로 겨냥함. 또는 그런 겨냥.

용례:

적의 저격수들이 멀리서 정조준 저격을 하고 숲으로 달아났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38. 정준 (定準) [정:준]

한자: 定(정할 정:), 準(준할 준:)

정해진 표준.

39. 조준 (照準) [조:준]

한자: 照(비칠 조:), 準(준할 준:)

「1」총알, 화살 따위를 목표물에 맞히기 위하여 방향과 거리를 잡아 겨냥함. 또는 그런 겨냥.
「2」둘 이상을 대조하여 보는 표준.

용례:

  • 「1」조준 사격.
  • 「1」표적에 조준을 맞추다.
  • 「1」조준을 마친 사수는 호흡을 멈추고 방아쇠를 당겼다.
  • 「1」왜 술을 먹지 않고 누워 자느냐고 경동하려 목침을 찬다는 것이…조준이 맞지 않아서 그리 되었다는 것이다.≪변영로, 명정 40년≫

40. 지식수준 (知識水準) [지식쑤준]

한자: 知(알 지), 識(알 식), 水(물 수), 準(준할 준:)

알고 있는 내용의 정도. 또는 공부해서 배운 정도.

용례:

  • 학력이 지식수준과 같지는 않다.
  • 단순히 노역을 면하려고 예배에 참여한 잡범들은 말할 것도 없고, 상당한 지식수준을 가진 죄수들도 열에 아홉은 연방 하품을 하며 지루해할 정도였다.≪이문열, 영웅시대≫

41. 창준 (唱準) [창:준]

한자: 唱(부를 창:), 準(준할 준:)

「1」소리를 내어 읽어 가면서 교정을 봄. 또는 그렇게 보는 교정.
「2」조선 후기에, 교서관에 속하여 인쇄 원고를 소리 내어 읽으면서 교정을 담당하던 잡직. 사준(司準)을 고친 것이다.

42. 초준 (初準) [초준]

한자: 初(처음 초), 準(준할 준:)

조판한 뒤에 처음으로 보는 교정 또는 그 교정 인쇄.

43. 층준 (層準) [층준]

한자: 層(층[層階] 층), 準(준할 준:)

지층 가운데 특징이 있는 암상(巖相)을 가지며, 수평으로 널리 이어져 쉽게 추적할 수 있는 단층(單層). 어떤 지역 안에서 비교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그 지역의 층서(層序), 구조를 밝히는 실마리가 된다.

44. 평준 (平準) [평준]

한자: 平(평평할 평), 準(준할 준:)

「1」사물을 균일하게 조정함.
「2」수준기를 써서 재목이나 위치 따위를 수평으로 함. 또는 그런 일.
「3」면이 평평한가 아닌가를 재거나 기울기를 조사하는 데 쓰는 기구. 양 끝을 막고 큰 원호(圓弧)의 일부를 이룬 유리관 속에 일정한 기포를 남겨 두고 에테르 또는 알코올을 넣어서 만든다. 기계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의 기포의 위치를 0점으로 하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45. 표준 (標準) [표준]

한자: 標(표할 표), 準(준할 준:)

「1」사물의 정도나 성격 따위를 알기 위한 근거나 기준.
「2」일반적인 것. 또는 평균적인 것.
「3」물리량 측정을 위한 단위를 확립하려고 쓰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기준적 시료(試料).

용례:

  • 「1」표준 시간.
  • 「1」표준으로 삼다.
  • 「1」과학이 정한 표준에 의해서 판단하다.
  • 「2」그 사람 정도의 키면 한국 남자의 표준은 된다.
  • 「2」신생아의 몸무게가 표준에 약간 못 미쳤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