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자증 (茄子蒸) [가자증]
한자: 茄(가지 가), 子(아들 자), 蒸(찔 증)
가지를 쪼개고 그 안에 소를 넣어 찐 반찬.
2. 골증 (骨蒸) [골쯩]
한자: 骨(뼈 골), 蒸(찔 증)
음기(陰氣)와 혈기(血氣)가 부족하여 골수가 메말라서 뼛속이 후끈후끈 달아오르고 몹시 쑤시는 증상. 기침과 미열이 나고 식은땀이 많이 나며 마른다. 결핵 따위의 만성 소모성 질환에 나타난다.
3. 과증 (瓜蒸) [과증]
한자: 瓜(외 과), 蒸(찔 증)
오이의 꼭지를 따고 세 쪽으로 짜개어 씨를 빼고, 다진 고기에 파, 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장을 친 다음 밀가루를 조금 섞어 무쳐 오이 속에 넣고 맑은장국에 삶은 음식.
4. 과증 (裹蒸) [과증]
한자: 裹(쌀 과:), 蒸(찔 증)
찹쌀을 쪄서 설탕을 치고 대추 따위를 넣은 다음 댓잎에 싸서 다시 찐 음식.
5. 구증 (狗蒸) [구증]
한자: 狗(개 구), 蒸(찔 증)
개고기를 쪄서 만든 음식.
6. 기증 (氣蒸) [기증]
한자: 氣(기운 기), 蒸(찔 증)
온몸에 열이 나고 코가 마르며 숨결이 급하고 콧김이 뜨거운 병.
7. 내증 (內蒸) [내:증]
한자: 內(안 내:), 蒸(찔 증)
속에 열이 있는 병증. 몸은 차고 속에는 열이 있다. 점차 여위고 음식 맛이 없어지며, 살이 거칠어지면서 윤기가 없어진다.
8. 뇌증 (腦蒸) [뇌증]
한자: 腦(골/뇌수 뇌), 蒸(찔 증)
머리가 어지럽고 가슴이 답답하며 열이 나는 병.
9. 둔증 (臀蒸) [둔증]
한자: 臀(볼기 둔), 蒸(찔 증)
팔다리가 가늘어지고 발등이 부으면서 열이 나는 병증.
10. 변증 (變蒸) [변:증]
한자: 變(변할 변:), 蒸(찔 증)
갓난아이가 발육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몸에 열과 땀이 나고 맥이 고르지 못한 증상.
11. 북어증 (北魚蒸) [부거증]
한자: 北(북녘 북), 魚(고기/물고기 어), 蒸(찔 증)
북어의 대가리와 꼬리를 잘라 버리고 세로로 칼집을 내어 펼친 뒤 갖은양념을 하여 증편틀에 쪄 낸 반찬.
12. 사증 (沙蒸) [사증]
한자: 沙(모래 사), 蒸(찔 증)
더운 모래를 이용하는 찜질. 몸에 열이 나게 하고 땀을 흘리게 하며 피부에 자극을 주어 단련하는 효과가 있다.
13. 생선증 (生鮮蒸) [생선증]
한자: 生(날 생), 鮮(고울 선), 蒸(찔 증)
토막 친 생선을 데친 미나리로 감은 다음 밀가루나 녹말을 묻히고 달걀을 씌워서 지진 후에, 맑은장국을 조금 치고 그 위에 온갖 고명을 얹은 반찬.
14. 수어증 (秀魚蒸) [수:어증]
한자: 秀(빼어날 수), 魚(고기/물고기 어), 蒸(찔 증)
숭어의 내장을 빼내고 두 쪽으로 쪼개어 밀가루를 묻히고 달걀을 씌워 갖은양념을 한 쇠고기와 함께 끓인 찜.
15. 숭심증 (菘心蒸) [숭심쯩]
한자: 菘(배추 숭), 心(마음 심), 蒸(찔 증)
배추속대에 쇠고기를 썰어 넣고 양념을 하여 국물이 바특하도록 끓인 음식.
16. 아저증 (兒豬蒸) [아저증]
한자: 兒(아이 아), 豬(돼지 저), 蒸(찔 증)
내장을 뺀 어린 돼지의 배 속에 꿩고기나 닭고기와 두부, 배추에 장과 기름을 치고 파, 마늘, 후추 따위를 다져 반쯤 볶아서 넣고 실로 꿰맨 것을 푹 찐 음식.
17. 암증 (暗蒸) [암:증]
한자: 暗(어두울 암:), 蒸(찔 증)
생선 따위를 말릴 때에, 낮에 말린 것을 밤에 쟁임으로써 겉면 증발을 막아 수분을 내부에서 확산시켜 다시 말리는 일.
18. 압증 (鴨蒸) [압쯩]
한자: 鴨(오리 압), 蒸(찔 증)
오리고기로 만든 찜. 오리의 털과 내장을 뽑아 버리고 삶아 뼈를 추린 뒤에, 그 국물에 녹말을 풀어 고기와 소금, 후춧가루를 넣고 익혀 그 위에 여러 가지 고명을 얹는다.
19. 양증 (羊蒸) [양증]
한자: 羊(양 양), 蒸(찔 증)
양고기로 만든 찜. 어린양을 끓는 물에 넣었다 빼내어 배를 갈라 고기, 파, 생강, 후춧가루, 배추, 장, 기름, 깨소금 따위를 섞어 주물러서 감자와 함께 양의 배 속에 넣고 실로 꿰매어서 시루에 찐다.
20. 연계증 (軟鷄蒸) [연:계증]
한자: 軟(연할 연:), 鷄(닭 계), 蒸(찔 증)
어린 닭을 재료로 하여 만든 음식의 하나. 영계를 통째로 삶은 뒤 뼈를 추려 낸 것에다가, 끓인 밀가루와 녹말을 부어 양념을 치고 고명을 얹어 만든다.
21. 염증 (炎蒸) [염증]
한자: 炎(불꽃 염), 蒸(찔 증)
찌는 듯한 더위.
22. 운증 (雲蒸) [운증]
한자: 雲(구름 운), 蒸(찔 증)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 또는 그처럼 사물의 기세가 융성하는 것.
23. 음증 (淫蒸) [음증]
한자: 淫(음란할 음), 蒸(찔 증)
손위의 여자와 정을 통함.
24. 장증 (腸蒸) [장:증]
한자: 腸(창자 장), 蒸(찔 증)
소, 양, 돼지 따위의 창자 속에 제 살이나 물고기의 살을 다지고 이겨서 갖가지 고명을 하여 넣은 뒤에, 시루에 쪄 낸 음식.
25. 저장증 (豬腸蒸) [저장증]
한자: 豬(돼지 저), 腸(창자 장), 蒸(찔 증)
순대를 삶지 아니하고 쪄서 익힌 음식. 주로 술안주로 먹는다.
26. 조증 (鳥蒸) [조증]
한자: 鳥(새 조), 蒸(찔 증)
참새고기를 넣어서 만든 찜. 참새는 튀해서 깃털을 뜯고 내장과 함께 삶은 다음 소금을 뿌려 놓았다가 익힌 녹말 국물을 씌우고 후춧가루를 뿌린다. 이에 파 뿌리, 채를 친 도라지, 데친 미나리, 굵게 썬 목이, 황화(黃花), 표고버섯, 석이버섯을 기름에 볶아 넣고 알고명을 부쳐서 썬 것과 실백잣을 섞어 얹어서 함께 찐다.
27. 주증 (酒蒸) [주증]
한자: 酒(술 주(:)), 蒸(찔 증)
약을 술에 담갔다가 찌는 일.
28. 증 (蒸) [증]
한자: 蒸(찔 증)
「1」약물을 시루에 넣고 찌는 일.
「2」몸에서 찌듯이 열이 나는 증상.
29. 증증 (蒸蒸) [증증]
한자: 蒸(찔 증), 蒸(찔 증)
‘증증하다’
(「1」김 따위가 무럭무럭 피어오르거나 뭉게뭉게 나아가는 모양이 자옥하다.
「2」효성 따위가 지극하다.
「3」다른 것이 섞이지 아니하고 순수하다.)의 어근.
30. 청어증 (靑魚蒸) [청어증]
한자: 靑(푸를 청), 魚(고기/물고기 어), 蒸(찔 증)
비웃을 토막 쳐 밀가루와 달걀을 씌워 지져서, 국물이 적은 맑은장국에 넣어 끓인 음식.
31. 칠향계증 (七香鷄蒸) [칠향계증]
한자: 七(일곱 칠), 香(향기 향), 鷄(닭 계), 蒸(찔 증)
닭찜의 하나. 튀한 닭의 내장을 빼낸 배 속에 생강, 파, 천초(川椒), 간장, 초, 기름 따위를 섞어서 넣고, 도라지를 삶아 우린 물에 담가서 항아리에 넣어 물을 다시 조금 부어 솥에 안치고 중탕하여 익힌다.
32. 표증 (鰾蒸) [표증]
한자: 鰾(부레 표), 蒸(찔 증)
민어의 부레 속에 민어 살과 쇠고기를 이겨서 갖은양념과 고명을 하여 넣고 부리를 동여맨 뒤에 삶거나 쪄서 동글동글하게 썰어 먹는 술안주.
33. 하돈증 (河豚蒸) [하돈쯩]
한자: 河(물 하), 豚(돼지 돈), 蒸(찔 증)
복을 큼직하게 조각을 낸 뒤에 온갖 양념을 넣어 주물러 증편틀에 익힌 뒤 고명을 얹어 만든 음식.
34. 한증 (汗蒸) [한:증]
한자: 汗(땀 한(:)), 蒸(찔 증)
물리 요법의 하나로, 높은 온도로 몸을 덥게 하여 땀을 내어서 병을 다스리는 일.
용례:
노인의 생각으로는 병의 원인이 아무래도 풍으로 인해 생긴 것으로 믿고 있었기 때문에 한증을 하여 몸속의 풍기를 뽑아내야 한다는 결정을 내린 것이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35. 황과증 (黃瓜蒸) [황과증]
한자: 黃(누를 황), 瓜(외 과), 蒸(찔 증)
오이의 꼭지를 따고 세 쪽으로 짜개어 씨를 빼고, 다진 고기에 파, 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장을 친 다음 밀가루를 조금 섞어 무쳐 오이 속에 넣고 맑은장국에 삶은 음식.
36. 황증 (黃蒸) [황증]
한자: 黃(누를 황), 蒸(찔 증)
보리나 밀에 황(黃)이 내리어 누렇게 되는 병.
37. 훈증 (燻蒸) [훈증]
한자: 燻(연기치밀 훈), 蒸(찔 증)
「1」더운 연기를 쐬거나 그것에 찜.
「2」유독 가스로 살충·살균함.
용례:
「1」그의 지병을 위한 훈증 요법을 쓰고 나서야 살롱을 방문하는 것인데….≪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38. 훈증 (薰蒸) [훈증]
한자: 薰(향풀 훈), 蒸(찔 증)
‘훈증하다’
(찌는 듯이 무덥다.)의 어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