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늠축 (廩蓄) [늠:축]
한자: 廩(쌀곳간 름(늠)), 蓄(모을 축)
창고에 쌀을 간직함. 또는 그 쌀.
2. 비축 (備蓄) [비:축]
한자: 備(갖출 비:), 蓄(모을 축)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갖추어 모아 두거나 저축함.
용례:
군사 작전에서는 군량미의 비축이 중요하다.
3. 사축 (私蓄) [사축]
한자: 私(사사(私事) 사), 蓄(모을 축)
개인이 사사로이 저축함. 또는 그런 재물.
4. 솔축 (率蓄) [솔축]
한자: 率(거느릴 솔), 蓄(모을 축)
예전에, 여자 종을 첩으로 맞아 동거하던 일.
5. 여축 (餘蓄) [여축]
한자: 餘(남을 여), 蓄(모을 축)
쓰고 남은 물건을 모아 둠. 또는 그 물건.
용례:
- 조금의 여축도 없다.
- 어려운 일을 하면서 그렇게 큰 돈을 여축까지 했다니 장하이.≪문순태, 타오르는 강≫
6. 온축 (蘊蓄) [온:축]
한자: 蘊(쌓을 온:), 蓄(모을 축)
「1」속에 깊이 쌓아 둠. 또는 그런 것.
「2」오랫동안 학식 따위를 많이 쌓음. 또는 그 학식.
용례:
「2」유수한 학자들이 연단에 올라가 제각각 전문의 온축을 기울여 열변을 토한다.≪유진오, 화상보≫
7. 잠축 (潛蓄) [잠축]
한자: 潛(잠길 잠), 蓄(모을 축)
몰래 쌓아 둠.
8. 저축 (貯蓄) [저:축]
한자: 貯(쌓을 저:), 蓄(모을 축)
「1」절약하여 모아 둠.
「2」소득 중에서 소비로 지출되지 않는 부분.
용례:
「1」그는 노후를 대비하여 저축을 했다.
9. 적축 (積蓄) [적축]
한자: 積(쌓을 적), 蓄(모을 축)
지식, 경험, 자금 따위를 모아서 쌓음. 또는 모아서 쌓은 것.
10. 전축 (電蓄) [전:축]
한자: 電(번개 전:), 蓄(모을 축)
레코드판의 홈을 따라 바늘이 돌면서 받는 진동을 전류로 바꾸고, 이것을 증폭하여 확성기로 확대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장치. 모터, 픽업, 턴테이블 따위로 구성된다.
용례:
- 전축을 켜다.
- 전축을 틀다.
- 전축 옆의 벽장을 여는데 꽉 쌓여 있는 레코드가 눈에 띄었다. 그 가운데서 한 장을 골라내더니 전축에 걸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1. 함축 (含蓄) [함축]
한자: 含(머금을 함), 蓄(모을 축)
「1」겉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속에 간직함.
「2」말이나 글이 많은 뜻을 담고 있음.
「3」표현의 의미를 한 가지로 나타내지 아니하고 문맥을 통하여 여러 가지 뜻을 암시하거나 내포하는 일.
용례:
- 「2」그는 그 문제에 대해서 묘한 함축을 남긴 채 결코 단언하지 않았다.
- 「2」소문난 집안의 아들이란 말은 좋게도 나쁘게도 해석할 수 있는 함축을 가졌다.≪이병주, 지리산≫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