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정 (殼頂) [각쩡]
한자: 殼(껍질 각), 頂(정수리 정)
조가비 꼭대기의 도드라진 부분. 보통 조개에서는 이가 있는 두드러진 부분을 이르며, 고둥류나 우렁이류에서는 뾰족한 부분을 가리킨다.
2. 관정 (灌頂) [관:정]
한자: 灌(물댈 관), 頂(정수리 정)
계(戒)를 받거나 일정한 지위에 오른 수도자의 정수리에 물이나 향수를 뿌리는 일. 또는 그런 의식.
3. 극정 (極頂) [극쩡]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頂(정수리 정)
산의 맨 꼭대기.
4. 노정 (路頂) [노:정]
한자: 路(길 로:), 頂(정수리 정)
길바닥에서 가장 높이 솟은 부분.
5. 대관정 (大灌頂) [대:관정]
한자: 大(큰 대(:)), 灌(물댈 관), 頂(정수리 정)
다섯 병의 물을 정수리에 붓는 법식. 불연(佛緣)을 맺거나 비밀한 법을 전하기 위하여 행한다.
6. 독정 (禿頂) [독쩡]
한자: 禿(대머리 독), 頂(정수리 정)
머리털이 많이 빠져서 벗어진 머리. 또는 그런 사람.
7. 등정 (登頂) [등정]
한자: 登(오를 등), 頂(정수리 정)
산 따위의 꼭대기에 오름.
용례:
히말라야 등정에 나서다.
8. 마정 (摩頂) [마정]
한자: 摩(문지를 마), 頂(정수리 정)
부처가 제자에게 교법을 전수할 때와 수기(授記)할 때에, 제자의 정수리를 손으로 만지는 일.
9. 무견정 (無見頂) [무견정]
한자: 無(없을 무), 見(볼 견:), 頂(정수리 정)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 인간이나 천상에서 볼 수 없는 일이므로 이렇게 이른다. 부처의 팔십수형호의 하나이다.
10. 봉정 (峯頂) [봉정]
한자: 峯(봉우리 봉), 頂(정수리 정)
산봉우리의 맨 꼭대기.
용례:
한라산의 봉정에 오르다.
11. 산정 (山頂) [산정]
한자: 山(메 산), 頂(정수리 정)
산의 맨 위.
용례:
- 산정을 올려다보다.
- 천오백 미터가 넘는 산정에 오르면 청명한 날씨엔 멀리 군산 앞바다가 보인다나.≪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12. 선정 (扇頂) [선정]
한자: 扇(부채 선), 頂(정수리 정)
선상지의 정점에 가까운 부분. 선상지에서 산지(山地)로부터 평지로 나가는 강의 출구 중심부를 이른다. 물을 구하기 쉬워서 일찍부터 취락이 발달하였다.
13. 외접정 (外接頂) [외:접쩡]
한자: 外(바깥 외:), 接(이을 접), 頂(정수리 정)
한 원이 다각형에 외접할 때에 다각형이 원과 맞닿는 각 꼭짓점.
14. 유정 (有頂) [유:정]
한자: 有(있을 유:), 頂(정수리 정)
구천(九天) 가운데 가장 높은 하늘. 욕계(慾界)와 색계(色界)의 가장 높은 곳에 있다.
15. 자극정 (刺戟頂) [자:극쩡]
한자: 刺(찌를 자:), 戟(창 극), 頂(정수리 정)
유기체가 반응할 수 있는 자극의 최대치. 그 이상의 자극을 가하면 감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16. 절정 (絕頂) [절쩡]
한자: 絕(끊을 절), 頂(정수리 정)
「1」산의 맨 꼭대기.
「2」사물의 진행이나 발전이 최고의 경지에 달한 상태.
「3」극(劇)이나 소설의 전개 과정에서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
「4」이육사가 1940년 ≪문장≫에
발표한 시. 민족 현실의 암담함을 노래하였다.
용례:
- 「1」우리는 갈데없이 물에 빠진 쥐 모양을 해 가지고 비로봉 절정에 있는 찻집으로 찾아드니….≪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 「2」인기 절정에 오르다.
- 「2」배고픔이 절정에 달하다.
- 「2」절정의 순간을 맞다.
- 「2」어느 곳을 둘러보아도 농민의 불평불만은 절정에 도달해 있다….≪이병주, 지리산≫
17. 정정 (征頂) [정정]
한자: 征(칠 정), 頂(정수리 정)
산의 꼭대기를 정복함.
18. 중정 (中頂) [중정]
한자: 中(가운데 중), 頂(정수리 정)
여럿 중의 한가운데의 꼭대기.
19. 천정 (天頂) [천정]
한자: 天(하늘 천), 頂(정수리 정)
지구 표면의 관측 지점에서 연직선을 위쪽으로 연장했을 때 천구(天球)와 만나는 점.
20. 탑정 (塔頂) [탑쩡]
한자: 塔(탑 탑), 頂(정수리 정)
탑의 꼭대기.
21. 학정 (鶴頂) [학쩡]
한자: 鶴(학 학), 頂(정수리 정)
탕건의 이마 윗부분.
22. 합각정 (合閣頂) [합깍쩡]
한자: 合(합할 합), 閣(집 각), 頂(정수리 정)
합각 박공이 용마루에서 ‘人’ 자 모양으로 맞닿는 부분.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