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祝 빌 축

1. 감축 (感祝) [감:축]

한자: 感(느낄 감:), 祝(빌 축)

경사스러운 일을 함께 감사하고 축하함. 또는 받은 은혜에 대하여 축복하고 싶을 만큼 매우 고맙게 여김.

2. 경축 (慶祝) [경:축]

한자: 慶(경사 경:), 祝(빌 축)

경사스러운 일을 축하함.

용례:

  • 광복절 경축 행사.
  • 대통령 취임 경축 기념식.
  • 들뜬 경축 분위기.

3. 고축 (告祝) [고:축]

한자: 告(고할 고:), 祝(빌 축)

천지신명에게 고하여 빎.

용례:

하늘에 고축을 올리다.

4. 공축 (恭祝) [공축]

한자: 恭(공손할 공), 祝(빌 축)

공손히 축하함.

5. 금경축 (金慶祝) [금경축]

한자: 金(쇠 금), 慶(경사 경:), 祝(빌 축)

사제로 서품된 지 50년 되는 해를 기리는 일.

6. 기축 (祈祝) [기축]

한자: 祈(빌 기), 祝(빌 축)

빌고 바람.

7. 대축 (大祝) [대:축]

한자: 大(큰 대(:)), 祝(빌 축)

종묘나 문묘 제향 때에 초헌관(初獻官)이 술을 따르면 신위(神位) 옆에서 축문을 읽던 사람. 또는 그런 일을 맡아보던 벼슬.

8. 도축 (禱祝) [도축]

한자: 禱(빌 도), 祝(빌 축)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기를 빎.

9. 독축 (讀祝) [독축]

한자: 讀(읽을 독), 祝(빌 축)

축문(祝文)을 읽음.

10. 망축 (亡祝) [망축]

한자: 亡(망할 망), 祝(빌 축)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일.

용례:

단월의 청이 하 곡진하시니 산승은 또 망축의 구업을 짓나 보외다.≪김성동, 연꽃과 진흙≫

11. 묘축 (廟祝) [묘:축]

한자: 廟(사당 묘:), 祝(빌 축)

종묘를 지키는 사람.

12. 무축 (巫祝) [무:축]

한자: 巫(무당 무:), 祝(빌 축)

신령과 통한다고 하는 박수.

13. 복축 (伏祝) [복축]

한자: 伏(엎드릴 복), 祝(빌 축)

엎드려 삼가 축원함.

용례:

  • 천만 복축 발원이오.
  • 천만 복축이올시다.

14. 봉축 (奉祝) [봉:축]

한자: 奉(받들 봉:), 祝(빌 축)

공경하는 마음으로 축하함.

용례:

  • 봉축 행사.
  •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대법회.

15. 사축 (司祝) [사축]

한자: 司(맡을 사), 祝(빌 축)

제사 때에 축문을 맡은 사람.

16. 사축 (死祝) [사:축]

한자: 死(죽을 사:), 祝(빌 축)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일.

17. 상축 (上祝) [상:축]

한자: 上(윗 상:), 祝(빌 축)

임금을 위하여 불전(佛前)에 기도하는 일.

18. 생축 (生祝) [생축]

한자: 生(날 생), 祝(빌 축)

살아 있는 사람의 복을 비는 일.

19. 성축 (聖祝) [성:축]

한자: 聖(성인 성:), 祝(빌 축)

성탄을 축하함.

20. 송축 (頌祝) [송:축]

한자: 頌(기릴/칭송할 송:), 祝(빌 축)

경사를 기리고 축하함.

용례:

악장은 신왕조에 대한 찬양과 송축의 필요에 따라 나타난 양식이다.

21. 심축 (心祝) [심축]

한자: 心(마음 심), 祝(빌 축)

진심으로 축하함.

22. 암축 (暗祝) [암:축]

한자: 暗(어두울 암:), 祝(빌 축)

신에게 마음속으로 기원함.

용례:

왕이 예불을 막 마치고 다시 향을 살라 부처 앞에 무릎 꿇고 암축을 올리려 할 때….≪박종화, 다정불심≫

23. 앙축 (仰祝) [앙:축]

한자: 仰(우러를 앙:), 祝(빌 축)

우러러 축하함.

24. 야축 (夜祝) [야:축]

한자: 夜(밤 야:), 祝(빌 축)

밤에 하는 무당굿.

25. 예축 (豫祝) [예:축]

한자: 豫(미리 예:), 祝(빌 축)

미리 축하함.

26. 옹축 (顒祝) [옹:축]

한자: 顒(우러를 옹), 祝(빌 축)

「1」잘되게 해 달라고 크게 빎.
「2」크게 축하함.

27. 위축 (爲祝) [위축]

한자: 爲(하/할 위(:)), 祝(빌 축)

나라를 위하여 하는 기도.

28. 입춘축 (立春祝) [입춘축]

한자: 立(설 립), 春(봄 춘), 祝(빌 축)

입춘에 벽이나 문짝, 문지방 따위에 써 붙이는 글.

29. 자축 (自祝) [자축]

한자: 自(스스로 자), 祝(빌 축)

자기에게 생긴 좋은 일을 스스로 축하함.

용례:

  • 자축 행사.
  • 자축 모임.
  • 자축의 자리.
  • 그 집에서는 경사라도 난 듯 그해 칠석이나 백중에 동네 사람들한테 막걸리를 한 판 내어 자축 비슷하게 인사치레를 했다.≪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30. 절축 (切祝) [절축]

한자: 切(끊을 절), 祝(빌 축)

간절히 축원함.

31. 정축 (頂祝) [정축]

한자: 頂(정수리 정), 祝(빌 축)

이마를 땅에 대고 빎.

32. 제축 (祭祝) [제:축]

한자: 祭(제사 제:), 祝(빌 축)

제사 때에 읽어 신명(神明)께 고하는 글.

용례:

날이 잡혀야 그날의 간지를 알아서 제축을 준비할 수가 있었다.≪이문구, 산 너머 남촌≫

33. 춘축 (春祝) [춘축]

한자: 春(봄 춘), 祝(빌 축)

입춘에 집에 글을 붙여 행복을 축원하는 일. 대궐에서는 춘첩자를, 민가에서는 춘련을 붙여 봄을 송축했다.

34. 출주축 (出主祝) [출쭈축]

한자: 出(날[生] 출), 主(임금/주인 주), 祝(빌 축)

사당에서 신주를 모시어 낼 때 읽는 축문.

35. 파묘축 (破墓祝) [파:묘축]

한자: 破(깨뜨릴 파:), 墓(무덤 묘:), 祝(빌 축)

파묘할 때 읽는 축문.

용례:

삼봉이네는 그 보복으로 몰래 그 산소에 가서 봉분 네 귀의 혈을 짚어 놓고 파묘축을 고했다는 것….≪안수길, 북간도≫

36. 향축 (香祝) [향축]

한자: 香(향기 향), 祝(빌 축)

제사에 쓰는 향과 축문.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