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刻 새길 각

1. 각 (刻) [각]

한자: 刻(새길 각)

「1」나무나 돌 따위에 글이나 그림을 새기는 일.
「2」재료를 새기거나 깎아서 입체 형상을 만듦. 또는 그런 미술 분야. 주로 나무, 돌, 금속 따위로 만든다.
「3」누호(漏壺) 안에 세운 누전(漏箭)에 새긴 눈금.

2. 각 (刻) [각]

한자: 刻(새길 각)

「1」국악에서, 일정한 박자 수에 따라 되풀이되는 한 장단.
「2」국악에서, 장단을 세는 단위.

3. 각 (刻) [각]

한자: 刻(새길 각)

시간의 단위. 1각은 약 15분 동안으로, 본래 시헌력(時憲曆)을 채택하기 이전에 하루의 100분의 1이 되는 14분 24초 동안을 나타내던 단위였다.

용례:

인화가 스승에게서 놓여나온 것은, 스승의 방에 불려 들어간 때부터 반 각이나 지나서였다.

4. 각각 (刻刻) [각깍]

한자: 刻(새길 각), 刻(새길 각)

매 시각. 또는 낱낱의 시각.

용례:

태풍이 다가오자 각각으로 비바람이 세어졌다.
재영이의 신상에 대한 불길한 예감은 각각으로 그의 마음에 무겁게 자리 잡기 시작했다.
시세는 일변하여 각각으로 해외의 신문명이 수입된다.

5. 각고 (刻苦) [각꼬]

한자: 刻(새길 각), 苦(쓸[味覺] 고)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어려움을 견디며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씀.

용례: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다.
나로 말하면 과갈 간에 모두 향반에 그쳐 출사나 해 볼까 하여 각고로 학문 닦고….

6. 각고면려 (刻苦勉勵) [각꼬멸려]

한자: 刻(새길 각), 苦(쓸[味覺] 고), 勉(힘쓸 면:), 勵(힘쓸 려:)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용례:

오늘의 영광은 각고면려의 결과이다.

7. 각고정려 (刻苦精勵) [각꼬정녀]

한자: 刻(새길 각), 苦(쓸[味覺] 고), 精(정할 정), 勵(힘쓸 려:)

어떤 일에 무척 애를 쓰면서 정성을 들임.

용례:

이번 일에 저희는 각고정려의 자세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8. 각골 (刻骨) [각꼴]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고마움이나 원한 따위가 잊을 수 없을 만큼 마음속에 깊이 새겨짐.

9. 각골난망 (刻骨難忘) [각꼴란망]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難(어려울 난(:)), 忘(잊을 망)

남에게 입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용례:

그동안 보살펴 주신 선생님의 은혜는 실로 각골난망입니다.

10. 각골명심 (刻骨銘心) [각꼴명심]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銘(새길 명), 心(마음 심)

어떤 일을 뼈에 새길 정도로 마음속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아니함.

11. 각골분한 (刻骨憤恨) [각꼴분한]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憤(분할 분:), 恨(한[怨] 한:)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

12. 각골지통 (刻骨之痛) [각꼴찌통]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之(갈 지), 痛(아플 통:)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함. 또는 그런 일.

13. 각골통한 (刻骨痛恨) [각꼴통한]

한자: 刻(새길 각), 骨(뼈 골), 痛(아플 통:), 恨(한[怨] 한:)

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

14. 각공 (刻工) [각꽁]

한자: 刻(새길 각), 工(장인 공)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15. 각급 (刻急) [각끕]

한자: 刻(새길 각), 急(급할 급)

‘각급하다’(상태가 매우 심각하고 급하다.)

16. 각기 (刻期) [각끼]

한자: 刻(새길 각), 期(기약할 기)

기한을 분명히 정함.

17. 각도 (刻刀) [각또]

한자: 刻(새길 각), 刀(칼 도)

글씨나 형상을 나무나 돌 따위에 파는 데 쓰는 칼.

18. 각려 (刻勵) [강녀]

한자: 刻(새길 각), 勵(힘쓸 려:)

어떤 일에 고생을 무릅쓰고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쓰면서 부지런히 노력함.

19. 각렴 (刻廉) [강념]

한자: 刻(새길 각), 廉(청렴할 렴)

‘각렴하다’(사람의 성품이 엄격하고 청렴하다.)

20. 각루 (刻漏) [강누]

한자: 刻(새길 각), 漏(샐 루:)

좁은 구멍을 통하여 물이 일정한 속도로 그릇에 떨어지게 하여, 고이는 물의 분량이나 줄어든 물의 분량을 헤아려서 시간을 재는 시계. 기원전 200년경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성덕왕 17년(718)에 처음으로 만들었는데, 양식이나 구조는 여러 가지이다.

21. 각루 (刻鏤) [강누]

한자: 刻(새길 각), 鏤(새길 루)

나무나 돌 따위에 글자나 그림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아로새김.

22. 각루원 (刻漏院) [강누원]

한자: 刻(새길 각), 漏(샐 루:), 院(집 원)

고려 시대에, 물시계의 관측을 위하여 서경에 둔 관아.

23. 각명 (刻銘) [강명]

한자: 刻(새길 각), 銘(새길 명)

「1」나무나 돌, 쇠붙이 따위에 글자나 그림을 새김. 또는 그 글자나 그림.
「2」화살의 깃 사이에 그 활 임자의 이름을 새기거나 씀. 또는 그 이름.

24. 각목 (刻木) [강목]

한자: 刻(새길 각), 木(나무 목)

나무를 오려 내어 깎거나 새김.

25. 각문 (刻文/刻紋) [강문]

한자: 刻(새길 각), 文(글월 문) / 刻(새길 각), 紋(무늬 문)

「1」새겨서 나타낸 무늬.
「2」인쇄용 목판ㆍ동판ㆍ연판ㆍ지형 따위의 원판.

26. 각박 (刻薄) [각빡]

한자: 刻(새길 각), 薄(엷을 박)

‘각박하다’(「1」인정이 없고 삭막하다.
「2」땅이 거칠고 기름지지 아니하다.
「3」돈 따위를 지나치게 아껴 넉넉하지 않다.)

27. 각박성가 (刻薄成家) [각빡썽가]

한자: 刻(새길 각), 薄(엷을 박), 成(이룰 성), 家(집 가)

남에게 인정을 베풀지 않는 인색한 짓으로 부자가 됨.

28. 각본 (刻本) [각뽄]

한자: 刻(새길 각), 本(근본 본)

목판으로 인쇄한 책.

29. 각부 (刻符) [각뿌]

한자: 刻(새길 각), 符(부호 부(:))

팔서체의 하나. 주로 부신(符信) 따위에 쓰던 서체이다.

30. 각비 (刻碑) [각삐]

한자: 刻(새길 각), 碑(비석 비)

비석 따위에 글이나 그림을 새김.

31. 각사 (刻絲) [각싸]

한자: 刻(새길 각), 絲(실 사)

수를 놓듯이 자유롭게 무늬를 넣는 중국의 명주 직조법.

32. 각삭 (刻削) [각싹]

한자: 刻(새길 각), 削(깎을 삭)

「1」나무나 돌 따위에 글이나 그림을 새기어 깎음.
「2」남을 참혹할 정도로 괴롭힘.

33. 각석 (刻石) [각썩]

한자: 刻(새길 각), 石(돌 석)

글자나 무늬 따위를 돌에 새김. 또는 그런 돌.

용례:

이 각석에 있는 글자는 닳아서 판독하기가 어렵다.

34. 각선구검 (刻船求劍) [각썬구검]

한자: 刻(새길 각), 船(배 선), 求(구할[索] 구), 劍(칼 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35. 각선문 (刻線文) [각썬문]

한자: 刻(새길 각), 線(줄 선), 文(글월 문)

새겨서 나타낸 무늬.

36. 각수 (刻手) [각쑤]

한자: 刻(새길 각), 手(손 수(:))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37. 각수장 (刻手匠) [각쑤장]

한자: 刻(새길 각), 手(손 수(:)), 匠(장인 장)

나무나 돌 따위에 조각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38. 각시조 (刻時調) [각씨조]

한자: 刻(새길 각), 時(때 시), 調(고를 조)

시조 창법의 하나. 가사의 자수에 따라 중장, 종장에 5박 또는 8박의 1각이 더 붙는 특수 창법으로, 대개 중장은 지름시조로 일정하고 다른 장은 평시조와 같다.

39. 각심 (刻心) [각씸]

한자: 刻(새길 각), 心(마음 심)

잊지 않도록 마음에 깊이 새겨 둠.

용례:

앞으로 살아갈 일도 막연하였다. 또 남자를 얻을 수는 없다는 각심이었다.

40. 각역 (刻役) [가격]

한자: 刻(새길 각), 役(부릴 역)

나무나 돌 따위에 글이나 그림을 새김.

41. 각연 (刻煙) [가견]

한자: 刻(새길 각), 煙(연기 연)

칼 따위로 썬 담배.

42. 각연초 (刻煙草) [가견초]

한자: 刻(새길 각), 煙(연기 연), 草(풀 초)

칼 따위로 썬 담배.

43. 각의 (刻意) [가긔/가기]

한자: 刻(새길 각), 意(뜻 의:)

애를 씀.

44. 각인 (刻印) [가긴]

한자: 刻(새길 각), 印(도장 인)

「1」도장을 새김. 또는 그 도장.
「2」머릿속에 새겨 넣듯 깊이 기억됨. 또는 그 기억.

용례:

「2」그에 대한 각인은 좀체 지워지지 않는다.

45. 각인 (刻印) [가긴]

한자: 刻(새길 각), 印(도장 인)

동물이 본능적으로 가지는 학습 양식의 하나. 태어난 지 얼마 안 되는 한정된 시기에 습득하여 영속성을 가지게 되는 행동을 이른다.

46. 각일 (刻日) [가길]

한자: 刻(새길 각), 日(날 일)

날짜를 정함.

47. 각일각 (刻一刻) [가길각]

한자: 刻(새길 각), 一(한 일), 刻(새길 각)

시간이 지나감.

용례:

폭우로 인해 강물이 각일각으로 불어나고 있다.
마주 앉아서 엮어 내리는 이 화공의 이야기에 각일각 더욱 황홀하여 가는 처녀의 눈이었다.
어둠이 각일각으로 짙어 갈수록 정이 든 산천의 윤곽이 더욱 뚜렷이 드러난다.

48. 각자 (刻字) [각짜]

한자: 刻(새길 각), 字(글자 자)

글자를 새김. 또는 새긴 글자.

49. 각자장 (刻字匠) [각짜장]

한자: 刻(새길 각), 字(글자 자), 匠(장인 장)

「1」조선 시대에, 교서관에 속하여 글자를 새기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2」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 속하여 연장으로 어떤 형상이나 글자를 새기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50. 각잠 (刻簪) [각짬]

한자: 刻(새길 각), 簪(비녀 잠)

여러 가지 무늬를 새긴 비녀.

51. 각장 (刻匠) [각짱]

한자: 刻(새길 각), 匠(장인 장)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 속하여 연장으로 어떤 형상이나 글자를 새기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52. 각주구검 (刻舟求劍) [각쭈구검]

한자: 刻(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索] 구), 劍(칼 검:)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53. 각죽 (刻竹) [각쭉]

한자: 刻(새길 각), 竹(대 죽)

설대 부분에 무늬를 새긴 담뱃대.

용례:

그믐산이의 기척이 들리자 덧문과 미닫이가 열려 있던 사랑에서 각죽을 문 사내가 먼저 같은 목소리로 물었다.

54. 각즉 (刻卽) [각쯕]

한자: 刻(새길 각), 卽(곧 즉)

당장에 곧.

55. 각책 (刻責) [각책]

한자: 刻(새길 각), 責(꾸짖을 책)

매우 꾸짖음.

56. 각초 (刻草) [각초]

한자: 刻(새길 각), 草(풀 초)

칼 따위로 썬 담배.

57. 각촉부시 (刻燭賦詩) [각촉뿌시]

한자: 刻(새길 각), 燭(촛불 촉), 賦(부세 부:), 詩(시 시)

초에 눈금을 새기고 그 눈금이 타기 전까지 시를 짓는 놀이.

58. 각판 (刻板) [각판]

한자: 刻(새길 각), 板(널 판)

「1」서화(書畫)를 새기는 데 쓰는 널조각.
「2」서화를 널조각에 새김.

59. 각판 (刻版) [각판]

한자: 刻(새길 각), 版(판목 판)

목판으로 인쇄한 책.

60. 각판본 (刻版本) [각판본]

한자: 刻(새길 각), 版(판목 판), 本(근본 본)

목판으로 인쇄한 책.

61. 각하 (刻下) [가카]

한자: 刻(새길 각), 下(아래 하:)

시각이 다급한 이때.

62. 각한 (刻限) [가칸]

한자: 刻(새길 각), 限(한할 한:)

기한을 분명히 정함.

63. 각화 (刻花) [가콰]

한자: 刻(새길 각), 花(꽃 화)

꽃무늬를 새기는 일. 또는 그 꽃무늬.

64. 각화문기 (刻花文器) [가콰문기]

한자: 刻(새길 각), 花(꽃 화), 文(글월 문), 器(그릇 기)

꽃무늬를 새겨 만든 도자기.



훈음 출처 :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자료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