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貢 바칠 공

1. 공납 (貢納) [공:납]

한자: 貢(바칠 공:), 納(들일 납)

백성이 그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조정에 바치던 일. 또는 그 세제(稅制).

2. 공납품 (貢納品) [공:납품]

한자: 貢(바칠 공:), 納(들일 납), 品(물건 품:)

예전에, 나라나 종주국에 바치던 물품.

용례:

무거워진 노비공에 깔려 빈사 상태에 이른 사천들의 공납품을 반절로 줄여….

3. 공단 (貢緞) [공:단]

한자: 貢(바칠 공:), 緞(비단 단)

두껍고, 무늬는 없지만 윤기가 도는 비단. 고급 비단에 속한다.

용례:

짙은 검은색 공단 멱모의 안쪽에는 소름이 돋게 붉은 명주가 받쳐져 있다.

4. 공릉 (貢綾) [공:능]

한자: 貢(바칠 공:), 綾(비단 릉)

천의 짜임새가 공단과 비슷하면서 그보다는 얇고 보드라운 비단.

용례:

공릉 다섯 필.
서리 같은 칼날을 뽑아 들고 공릉 버선 위에 눌러 신은 목화로 터벅터벅 땅을 구르며….

5. 공물 (貢物) [공:물]

한자: 貢(바칠 공:), 物(물건 물)

중앙 관서와 궁중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여러 군현에 부과하여 상납하게 한 특산물. 전통 세제(稅制)인 조(租)ㆍ용(庸)ㆍ조(調) 가운데 조(調)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간 관리의 부정으로 문란해지자 16세기에 이이, 유성룡 등이 쌀로 받게 하는 수미법을 주장하였으나 실시되지 않았고 광해군 즉위년(1608)에 이르러 경기 지역부터 대동법이 처음 실시되었고, 숙종34년(1708)에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용례:

공물을 바치다.
공물을 징수하다.

6. 공미 (貢米) [공:미]

한자: 貢(바칠 공:), 米(쌀 미)

조선 후기에, 공물(貢物) 대신 바치던 쌀.

용례:

야간도주를 해 버린 백성들의 공미를 부담하기 위해 동네에서 여러 가호가 품 모아 농사를 지어….

7. 공사 (貢使) [공:사]

한자: 貢(바칠 공:), 使(하여금/부릴 사:)

공물(貢物)을 바치는 일을 맡아보던 사신(使臣).

용례:

제후들의 국왕은 중국 황제에게 표와 공을 바치며 황제는 이들 공사 일행에게 답례한다.

8. 공상 (貢上) [공:상]

한자: 貢(바칠 공:), 上(윗 상:)

나라에 특산물을 바치던 일.

용례:

경기에서 실농한 각 고을에는 각사에 노비의 공상을 면제하여 주었다.
제주 목사 윤창형(尹昌亨)이 정해진 공상 이외에 따로 좋은 말 10필을 바쳤다.

9. 공생 (貢生) [공:생]

한자: 貢(바칠 공:), 生(날 생)

조선 시대에, 향교에 다니던 생도. 원래 상민(常民)으로, 향교에서 오래 공부하면 유생(儒生)의 대우를 받았으며, 우수한 자는 생원 초시와 생원 복시에 응할 자격을 얻었다.

용례:

우이현(旴眙縣)이라 하는 땅에, 공생 손패(孫珮)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10. 공세 (貢稅) [공:세]

한자: 貢(바칠 공:), 稅(세금 세:)

공물을 하나의 조세로 이르는 말.

용례:

공세를 바치다.
그 나라의 막강한 위세에 다른 나라들은 싸우지도 못하고 화의를 청하여 공세를 바치기가 일쑤였다.
공세를 받을 때, 공세미 한 말에 종이 다섯 장, 열 말에는 스무 장이 한 권인 종이 책 두 권씩을 덧붙여 내게 하였다.

11. 공신 (貢臣) [공:신]

한자: 貢(바칠 공:), 臣(신하 신)

공물을 바치는 신하.

용례:

요동 도사가 강상의 관시(關市)를 혁파하기를 청한 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 회자하고 노여움을 공신의 행차에 옮기고 있습니다.

12. 공안 (貢案) [공:안]

한자: 貢(바칠 공:), 案(책상 안:)

조선 시대에, 공물(貢物)의 품목과 수량을 기록하던 문부(文簿).

용례:

각 고을의 공안에 기재된 공물은 각사에 명령하여 1년 동안 지출할 것과 현재의 수량을 계산하여 갑진년에 수납할 것을 적당히 견감하게 하라.

13. 공조 (貢租) [공:조]

한자: 貢(바칠 공:), 租(조세 조)

공물로 바치는 조세.

용례:

농민으로부터의 공조는 정부나 귀족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그로 인해 그들은 한가로움과 여유가 있었다.

14. 공포 (貢布) [공:포]

한자: 貢(바칠 공:), 布(베/펼 포(:) | 보시 보:)

조선 시대에, 외거(外居) 공노비가 신역(身役) 대신의 노비공으로 매년 국가에 바치던 베.

용례:

천인은 천역 혹은 공포, 그 밖에는 부득이한 경우의 부역을 1년에 3일 이내로 하였다.

15. 공헌 (貢獻) [공:헌]

한자: 貢(바칠 공:), 獻(드릴 헌:)

「1」힘을 써 이바지함.
「2」공물을 바치던 일.

용례:

「1」사회에 대한 공헌.
「1」오늘의 성과 뒤에는 숱한 희생과 이름 없는 시민들의 공헌이 있었다.



훈음 출처 :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자료 출처 :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