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錦 비단 금:

1. 금 (錦) [금:]

한자: 錦(비단 금:)

비단 자락과 같이, 오색(五色)으로 갖은 무늬를 써서 그린 단청.

2. 금가 (錦袈) [금:가]

한자: 錦(비단 금:), 袈(가사(袈裟) 가)

비단으로 만든 가사(袈裟).

3. 금강 (錦江) [금:강]

한자: 錦(비단 금:), 江(강 강)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계를 이루는 강.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에서 시작하여, 군산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상류는 산간 분지를 곡류하여 대전 분지를 이루고, 중류 부근은 내포평야를 이루며, 하류는 논산, 강경을 거쳐 전북평야를 이룬다. 길이는 397.79km.

4. 금강정 (錦江亭) [금:강정]

한자: 錦(비단 금:), 江(강 강), 亭(정자 정)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정자. 세종 10년(1428)에 김복항(金福恒)이 건립하였다는 설이 있다.

5. 금곡 (錦曲) [금:곡]

한자: 錦(비단 금:), 曲(굽을 곡)

충청남도 금산에서 나는 곡삼(曲蔘).

6. 금관 (錦冠) [금:관]

한자: 錦(비단 금:), 冠(갓 관)

비단에 아름다운 무늬를 수놓아 만든 관.

7. 금귀하다 (錦歸하다) [금:귀하다]

한자: 錦(비단 금:), 歸(돌아갈 귀:)

(비유적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오다.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용례:

그는 고향을 떠난 지 꼭 10년 만에 금귀하였다.

8. 금금 (錦衾) [금:금]

한자: 錦(비단 금:), 衾(이불 금:)

비단으로 만든 이불.

9. 금기 (錦綺) [금:기]

한자: 錦(비단 금:), 綺(비단 기)

「1」비단과 능직(綾織)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곱고 화려한 옷.

10. 금기방 (錦綺房) [금:기방]

한자: 錦(비단 금:), 綺(비단 기), 房(방 방)

고려 시대에, 지방 관아에 속하여 비단을 생산하던 공방.

11. 금낭 (錦囊) [금:낭]

한자: 錦(비단 금:), 囊(주머니 낭)

비단으로 만든 주머니.

12. 금단 (錦端) [금:단]

한자: 錦(비단 금:), 端(끝 단)

기둥머리에 그린 단청의 가장자리를 비단 자락 모양으로 돌린 무늬.

13. 금단청 (錦丹靑) [금:단청]

한자: 錦(비단 금:), 丹(붉을 단), 靑(푸를 청)

비단 자락과 같이, 오색(五色)으로 갖은 무늬를 써서 그린 단청.

14. 금린 (錦鱗) [금:닌]

한자: 錦(비단 금:), 鱗(비늘 린)

비단 같은 비늘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물고기를 이르는 말.

15. 금무늬 (錦무늬) [금:무니]

한자: 錦(비단 금:)

단청에서 양쪽 모서리 무늬 사이에 있는 비단결 같은 무늬.

16. 금뱃바닥 (錦뱃바닥) [금:배빠닥]

한자: 錦(비단 금:)

장여나 첨차의 뱃바닥에 비단 자락처럼 오색으로 그린 단청.

17. 금범 (錦帆) [금:범]

한자: 錦(비단 금:), 帆(돛 범:)

「1」비단으로 만든 돛.
「2」다른 사람이 타는 배를 높여 이르는 말.

18. 금사화 (錦賜花) [금사화]

한자: 錦(비단 금:), 賜(줄 사:), 花(꽃 화)

왕이 문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내리던, 비단으로 만든 꽃.

19. 금산군 (錦山郡) [금:산군]

한자: 錦(비단 금:), 山(메 산), 郡(고을 군:)

충청남도의 동남부에 있는 군. 농업이 주산업이며, 특히 인삼이 많이 난다. 보석사, 미륵사, 태고사, 칠백의총, 위성 통신 지구국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금산, 면적은 576.28㎢.

20. 금삼 (錦蔘) [금:삼]

한자: 錦(비단 금:), 蔘(삼 삼)

충청남도 금산에서 나는 인삼. 곡삼(曲蔘)이며 품질이 매우 좋다.

21. 금삼 (錦衫) [금:삼]

한자: 錦(비단 금:), 衫(적삼 삼)

비단으로 만든 적삼.

용례:

화관 금삼에 거문고를 안은 궁녀들, 무르녹은 봄이다.≪박종화, 금삼의 피≫

22. 금송 (錦松) [금:송]

한자: 錦(비단 금:), 松(소나무 송)

소나무의 하나. 껍질이 매우 두껍고 거칠어 몇 해 자라지 않아도 늙은 나무처럼 보인다.

23. 금수 (錦繡) [금:수]

한자: 錦(비단 금:), 繡(수놓을 수:)

「1」수를 놓은 비단. 또는 아름답고 화려한 옷이나 직물.
「2」아름다운 시문(詩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1」몸에 금수를 두르다.

24. 금수강산 (錦繡江山) [금:수강산]

한자: 錦(비단 금:), 繡(수놓을 수:), 江(강 강), 山(메 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자연의 경관에 관한 한 우리나라는 언제나 금수강산이었다.≪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25. 금수의 (錦繡衣) [금:수이]

한자: 錦(비단 금:), 繡(수놓을 수:), 衣(옷 의)

수를 놓은 비단옷.

26. 금수장 (錦繡帳) [금:수장]

한자: 錦(비단 금:), 繡(수놓을 수:), 帳(장막 장)

비단에 수를 놓아 만든 장막.

27. 금수청산 (錦繡靑山) [금:수청산]

한자: 錦(비단 금:), 繡(수놓을 수:), 靑(푸를 청), 山(메 산)

아름다운 푸른 산.

28. 금의 (錦衣) [그:미]

한자: 錦(비단 금:), 衣(옷 의)

비단으로 지은 옷.

용례:

화려한 금의를 입다.

29. 금장 (錦帳) [금:장]

한자: 錦(비단 금:), 帳(장막 장)

비단으로 된 휘장이나 장막.

30. 금전 (錦殿) [금:전]

한자: 錦(비단 금:), 殿(전각 전:)

비단으로 꾸민 궁전이라는 뜻으로, 훌륭한 궁전을 이르는 말.

31. 금전두 (錦纏頭) [금:전두]

한자: 錦(비단 금:), 纏(얽을 전), 頭(머리 두)

머리에 쓰는 비단으로 된 수건.

32. 금지 (錦地) [금:지]

한자: 錦(비단 금:), 地(따 지)

상대편이 사는 곳을 높여 이르는 말.

33. 금채 (錦采) [금:채]

한자: 錦(비단 금:), 采(풍채 채:)

비단 옷감.

용례:

왕에게 금채 20필을 바치다.

34. 금천교 (錦川橋) [금:천교]

한자: 錦(비단 금:), 川(내 천), 橋(다리 교)

창덕궁 안 진선문 밖에 있는 금천(禁川)에 만들어진 돌다리. 우리나라 보물로, 보물 정식 명칭은 ‘창덕궁 금천교’이다.

35. 금패 (錦貝) [금:패]

한자: 錦(비단 금:), 貝(조개 패:)

호박(琥珀)의 하나. 빛깔이 누렇고 투명하며, 사치품으로 쓰인다.

36. 금포 (錦袍) [금:포]

한자: 錦(비단 금:), 袍(도포 포)

비단으로 만든 도포나 두루마기.

용례:

  • 금포를 씌우다.
  • 이여송은 붉은 금포를 입고 홍명교(紅明橋)를 타고 강을 건넜다.≪박종화, 임진왜란≫

37. 금향색 (錦香色) [금:향색]

한자: 錦(비단 금:), 香(향기 향), 色(빛 색)

붉은빛을 띤 검누런 색.

38. 금환 (錦還) [금:환]

한자: 錦(비단 금:), 還(돌아올 환)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는 뜻으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가거나 돌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9. 금휘 (錦휘) [금:휘]

한자: 錦(비단 금:)

여러 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그린 단청 무늬의 휘.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錦 비단 금: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