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기기 (氣機) [기기]
한자: 氣(기운 기), 機(틀 기)
기의 기능 활동.
42. 기낭 (氣囊) [기낭]
한자: 氣(기운 기), 囊(주머니 낭)
「1」기구나 비행선 따위에서 가스를 넣는 주머니.
「2」새의 가슴과 배에 있어 허파와 통하는 얇은 막의 주머니. 그 안에 공기를 드나들게 하여 몸이 뜨는 일을 도우며 호흡 작용을 왕성하게
한다.
「3」갈조류에서 지엽(枝葉)의 일부에 달려 있는 기포(氣胞). 안에 공기가 들어 있어 몸이 물에 뜨게 하며, 모자반 따위에서 볼 수 있다.
43. 기단 (氣團) [기단]
한자: 氣(기운 기), 團(둥글 단)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수평 방향으로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진 공기 덩어리. 발원지에 따라 적도 기단, 열대 기단, 한대 기단, 북극 기단 따위가 있다.
44. 기단하다 (氣短하다) [기단하다]
한자: 氣(기운 기), 短(짧을 단(:))
「1」사람의 체질이 약하고 기력이 미약하다.
「2」숨을 쉬는 시간이 짧다.
45. 기달 (氣疸) [기달]
한자: 氣(기운 기), 疸(황달 달)
담즙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여 온몸과 눈 따위가 누렇게 되는 병. 온몸이 노곤하고 입맛이 없으며 몸이 여위게 된다.
46. 기담 (氣痰) [기담]
한자: 氣(기운 기), 痰(가래 담:)
칠정(七情)이 울결하여 생기는 담. 가래가 목에 걸려서 가슴이 답답하고 거북하다.
47. 기도 (氣道) [기도]
한자: 氣(기운 기), 道(길 도:)
호흡할 때 공기가 지나가는 길. 콧구멍, 코안,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로 이루어져 있다.
용례:
- 연기로 기도가 막혀서 숨을 쉴 수가 없다.
- 뜨거운 공기가 기도의 중간에서 딱 멈추는 기분이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48. 기도 (氣度) [기도]
한자: 氣(기운 기), 度(법도 도(:))
기개와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49. 기라 (氣癩) [기라]
한자: 氣(기운 기), 癩(문둥이 라:)
목의 좌우측에 생긴 나력(癩癧).
50. 기량 (氣量) [기량]
한자: 氣(기운 기), 量(헤아릴 량)
「1」기체의 양.
「2」기상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51. 기력 (氣力) [기력]
한자: 氣(기운 기), 力(힘 력)
「1」사람의 몸으로 활동할 수 있는 정신과 육체의 힘.
「2」압착한 공기의 힘.
용례:
- 「1」기력을 잃다.
- 「1」기력이 쇠하다.
- 「1」기력이 다하다.
- 「1」기력이 솟다.
- 「1」기력이 좋다.
- 「1」기력이 왕성하다.
- 「1」그녀는 살아갈 기력조차 없다.
- 「1」그는 기력이 부치는 모양이다.
52. 기류 (氣類) [기류]
한자: 氣(기운 기), 類(무리 류(:))
「1」마음이 맞는 사람.
「2」만물은 모두 천지(天地)의 기(氣)를 받아 생겨난다는 생각에서, 사람과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53. 기류 (氣流) [기류]
한자: 氣(기운 기), 流(흐를 류)
「1」온도나 지형의 차이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공기의 흐름.
「2」어떤 일이 진행되는 추세나 분위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환절기의 스산한 기류를 타고 낮게 드리워져 있는 하늘은 아직도 물기를 머금은 듯했다.≪이동하, 도시의 늪≫
- 「2」이번 사건은 정치 문제로 비화될 듯한 기류가 감돈다.
- 「2」검찰 내부에서는 수사 주체를 놓고 미묘한 기류가 형성되었다.
54. 기류형 (氣流型) [기류형]
한자: 氣(기운 기), 流(흐를 류), 型(모형 형)
물이나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앞부분을 곡선으로 만들고, 뒤쪽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한 형태. 자동차, 비행기, 배 따위의 형에 이용한다.
55. 기륜 (氣輪) [기륜]
한자: 氣(기운 기), 輪(바퀴 륜)
눈알의 흰자위.
56. 기륭 (氣癃) [기륭]
한자: 氣(기운 기), 癃(느른할 륭)
원기 허약으로 인하여 생긴 임질의 하나. 하복부가 뻐근하고 오줌이 잘 통하지 않아 지리기도 한다.(기림(氣淋),기림(氣痳))
57. 기리 (氣痢) [기리]
한자: 氣(기운 기), 痢(이질 리:)
기가 허하거나 체하는 따위의 이상으로 생기는 이질.
58. 기막히다 (氣막히다) [기마키다]
한자: 氣(기운 기)
「1」어떠한 일이 놀랍거나 언짢아서 어이없다.
「2」어떻다고 말할 수 없을 만큼 좋거나 정도가 높다.
용례:
- 「1」나는 그의 제안이 너무 기막혀 아무 말도 못 했다.
- 「1」너무나 기막힌 일이라서 입을 다물지 못하겠구나.
- 「1」오르르 몰려 선 우리들을 보며 일개 소대 병력이로구나 하며 기막히다는 듯 헛웃음을 쳤다.≪오정희, 중국인 거리≫
- 「2」음식 맛이 기막히다.
- 「2」종대는 교도관들의 얼굴을 기억해 두었다 그들의 초상화를 기막히게 그려 주었다.≪최인호, 지구인≫
59. 기만민 (氣滿悶) [기만민]
한자: 氣(기운 기), 滿(찰 만(:)), 悶(답답할 민)
호흡 장애로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한 증상.
60. 기맥상통하다 (氣脈相通하다) [기맥쌍통하다]
한자: 氣(기운 기), 脈(줄기 맥), 相(서로 상), 通(통할 통)
마음과 뜻이 서로 통하다.
용례:
- 그는 눈빛만으로도 그녀와 기맥상통하는 관계에 이르렀다.
- 기맥상통하는 사람끼리 어울리니 술맛이 절로 난다.
61. 기모 (氣貌) [기모]
한자: 氣(기운 기), 貌(모양 모)
풍채와 용모를 아울러 이르는 말.
62. 기문 (氣門) [기문]
한자: 氣(기운 기), 門(문 문)
절지동물의 체절 옆에 있는 숨을 쉬는 구멍. 체절마다 한 쌍씩 있는 것이 보통이다.
63. 기미 (氣味) [기미]
한자: 氣(기운 기), 味(맛 미:)
「1」냄새와 맛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생각하는 바나 기분 따위와 취미.
「3」약의 상태와 맛. 사기(四氣)와 오미(五味)로 나눈다.
용례:
「2」형님은 인간의 기미를 몰라서 그러는 겁니다. 이론이야 늘 빈틈없이 쏙 뽑아내는 것이 형님의 장기지만….≪박경리, 토지≫
64. 기미상적 (氣味相適) [기미상적]
한자: 氣(기운 기), 味(맛 미:), 相(서로 상), 適(맞을 적)
생각하는 바나 취미가 서로 맞음.
65. 기미상합 (氣味相合) [기미상합]
한자: 氣(기운 기), 味(맛 미:), 相(서로 상), 合(합할 합)
생각하는 바나 취미가 서로 맞음.
용례:
최 참판 댁의 은혜를 잊고 서울 그 양반 떠받쳐 줄 사람이면 기미상합이라.≪박경리, 토지≫
66. 기미상합하다 (氣味相合하다) [기미상하파다]
한자: 氣(기운 기), 味(맛 미:), 相(서로 상), 合(합할 합)
생각하는 바나 취미가 서로 맞다.
용례:
서울 그 양반이 삼수를 시켜 마을 사람들 내심을 염탐해 가지고 기미상합한 사람만 골라서….≪박경리, 토지≫
67. 기밀 (氣密) [기밀]
한자: 氣(기운 기), 密(빽빽할 밀)
「1」사방이 꽉 막혀 공기가 통하지 못하는 상태.
「2」기계 따위가 외부 기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
68. 기백 (氣魄) [기백]
한자: 氣(기운 기), 魄(넋 백)
씩씩하고 굳센 기상과 진취적인 정신.
용례:
- 기백이 넘치다.
- 비록 가진 것은 별로 없었지만 기백만은 어느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
- 이만한 대담한 기백과 이만한 뜨거운 정열을 가지고서야 비로소 한 나라를 일으켜 놓는 제왕이 되는 것이다.≪박종화, 금삼의 피≫
69. 기벽 (氣癖) [기벽]
한자: 氣(기운 기), 癖(버릇 벽)
자부심이 많아서 남에게 지거나 굽히지 않으려는 성질.
용례:
죽고 싶어야 죽는다는 말에는 부친의 기벽이 유감없이 드러나 있어서….≪최인훈, 회색인≫
70. 기병 (氣病) [기병]
한자: 氣(기운 기), 病(병 병:)
기분이 울적하거나 근심, 걱정이 많아 생기는 병.
71. 기부족 (氣不足) [기부족]
한자: 氣(기운 기), 不(아닐 불), 足(발 족)
원기가 모자람. 또는 그런 이유로 생기는 병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
72. 기분 (氣分) [기분]
한자: 氣(기운 기), 分(나눌 분(:))
「1」대상·환경 따위에 따라 마음에 절로 생기며 한동안 지속되는, 유쾌함이나 불쾌함 따위의 감정.
「2」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이나 분위기.
「3」원기의 방면을 혈분(血分)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 「1」기분이 좋다.
- 「1」기분이 나쁘다.
- 「1」그는 친구의 냉담한 태도에 기분이 상했다.
- 「1」술 한잔 받으시고 기분 푸세요.
- 「1」그는 오랜만에 기분을 내기 위해 여행을 떠났다.
- 「2」거리는 온통 연말 기분에 휩싸여 북적거렸다.
- 「2」떠나는 전날 밤은 특별히 잔치를 벌여 다시 한번 사기 진작을 하고 잔치 기분에 들떴다.≪유현종, 들불≫
- 「3」위에 열이 많은 것은 기분에 열이 많으면 생기는 증상이다.
73. 기분 (氣奔) [기분]
한자: 氣(기운 기), 奔(달릴 분)
온몸의 살갗이 몹시 가렵고 긁으면 피가 나는 피부병.
74. 기분적 (氣分的) [기분적]
한자: 氣(기운 기), 分(나눌 분(:)), 的(과녁 적)
[Ⅰ]그때그때 마음 내키는 대로 하는 것.
[Ⅱ]그때그때 마음 내키는 대로 하는.
용례:
- [Ⅰ]일시 기분적으로 흰소리를 텅텅하던 그들의 기염은 그 후로 쑥 들어가고….≪이기영, 고향≫
- [Ⅱ]분위기에 휩싸여 기분적 행동을 하던 그런 때에 가졌던 반발이나 증오가 아니었다.≪최정희, 지맥≫
75. 기분파 (氣分派) [기분파]
한자: 氣(기운 기), 分(나눌 분(:)), 派(갈래 파)
순간적인 자기 기분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을 이르는 말.
용례:
그는 술만 취하면 술값을 내겠다고 우기는 기분파다.
76. 기비 (氣祕) [기비]
한자: 氣(기운 기), 祕(숨길 비:)
「1」기(氣)가 허하거나 체하여 생기는 변비.
「2」숨을 순조롭게 쉬지 못하는 증상.
77. 기사 (氣瀉) [기사]
한자: 氣(기운 기), 瀉(쏟을 사(:))
기가 막힌 것이 원인이 되어 생긴 설사증.
78. 기산 (氣疝) [기산]
한자: 氣(기운 기), 疝(산증(疝症) 산)
산증(疝症)의 하나로 허리와 음낭이 붓고 아픈 증상.
79. 기상 (氣相) [기상]
한자: 氣(기운 기), 相(서로 상)
마음의 작용으로 얼굴에 드러나는 빛.
80. 기상 (氣狀) [기상]
한자: 氣(기운 기), 狀(형상 상)
기체의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균일한 성질을 가지는 상태.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6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