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 (近) [근:]
한자: 近(가까울 근:)
그 수량에 거의 가까움을 나타내는 말.
용례:
- 근 한 시간이 지나서야 그가 나타났다.
- 근 열흘 동안 계속 내린 촉촉한 단비를 맞고….≪김춘복, 쌈짓골≫
2. 근가 (近家) [근:가]
한자: 近(가까울 근:), 家(집 가)
근처에 있는 집.
용례:
경찰은 범인이 근가에 숨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색을 벌였다.
3. 근가하다 (近可하다) [근:가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可(옳을 가:)
좋거나 옳다고 할 정도에 거의 가깝다.
4. 근간 (近刊) [근:간]
한자: 近(가까울 근:), 刊(새길 간)
최근에 출판함. 또는 그런 간행물.
용례:
- 근간 서적.
- 근간 신문에 이따금씩 나는 그의 이름으로 뚜렷하게 기억이 되살아나게 되었는데….≪이문열, 변경≫
5. 근간 (近間) [근:간]
한자: 近(가까울 근:), 間(사이 간(:))
이제까지의 매우 짧은 동안.
용례:
- 근간의 사정.
- 근간에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하다.
6. 근강 (近江) [근:강]
한자: 近(가까울 근:), 江(강 강)
가까이 있는 강.
7. 근거리 (近距離) [근:거리]
한자: 近(가까울 근:), 距(상거(相距)할 거:), 離(떠날 리:)
어느 한곳에서 다른 곳까지의 짧은 거리.
용례:
- 근거리 통근.
- 훈련 도중 포탄이 근거리에 있던 마을에 떨어져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8. 근경 (近景) [근:경]
한자: 近(가까울 근:), 景(볕 경(:))
「1」가까이 보이는 경치. 또는 가까운 데서 보는 경치.
「2」사진이나 그림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것으로 찍히거나 그려진 대상.
9. 근경 (近境) [근:경]
한자: 近(가까울 근:), 境(지경 경)
「1」가까운 부근의 일대.
「2」어떤 사실과 비슷한 경우.
용례:
- 「1」그 도시의 근경이 쓰레기로 덮여 있다.
- 「2」이번 사건은 사상 초유의 일이어서 그 근경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10. 근경 (近頃) [근:경]
한자: 近(가까울 근:), 頃(이랑/잠깐 경)
바로 얼마 전부터 이제까지의 무렵.
용례:
이만저만한 이유로, 그 윤 초시 어른께서도 이 근경에 여러모로 재산에 손실이 들었어.≪김남천, 대하≫
11. 근고 (近古) [근:고]
한자: 近(가까울 근:), 古(예 고:)
「1」그리 오래되지 않은 옛날.
「2」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중고와 근세(近世) 사이의 시기. 상고(上古)·중고(中古)에 대응하여 이르는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를 가리킨다.
용례:
- 「1」근고에 없는 일.
- 「1」꺽정이 같은 근고에 없는 큰 도둑놈을 조정에서 얼른 잡아 없앨 도리를 차리지 않는 것이 웬일이오니까?≪홍명희, 임꺽정≫
- 「2」근고의 귀족 정치 시대, 근세의 군주 독재 시대라는 정치 체제의 변화.
12. 근고사 (近古史) [근:고사]
한자: 近(가까울 근:), 古(예 고:), 史(사기(史記) 사:)
근고 시대의 역사.
13. 근교 (近郊) [근:교]
한자: 近(가까울 근:), 郊(들[野] 교)
도시의 가까운 변두리에 있는 마을이나 들.
용례:
- 대도시 근교의 인구가 증가하다.
- 할아버지의 묘소를 근교의 공원묘지에 마련했다.
14. 근교계 (近交系) [근:교계]
한자: 近(가까울 근:), 交(사귈 교), 系(이어맬 계:)
근친 교배를 되풀이하여 같은 형질을 가진 것만을 분리하여 만들어 낸 순계(純系).
15. 근구 (近口) [근:구]
한자: 近(가까울 근:), 口(입 구(:))
푸지게 먹지 아니하고 먹는 체만 함. 또는 조금 먹음.
16. 근구하다 (近口하다) [근:구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口(입 구(:))
푸지게 먹지 아니하고 먹는 체만 하다. 또는 조금 먹다.
17. 근국 (近國) [근:국]
한자: 近(가까울 근:), 國(나라 국)
가까운 이웃 나라.
18. 근근 (近近) [근:근]
한자: 近(가까울 근:), 近(가까울 근:)
머지않아. 또는 가까운 장래에.
용례:
근근 무슨 소식이 오겠지.
19. 근기 (近畿) [근:기]
한자: 近(가까울 근:), 畿(경기(京畿) 기)
서울에서 가까운 곳.
용례:
주인의 말은 청홍도 사람이 아니요 근기 사람이라고 하니….≪홍명희, 임꺽정≫
20. 근년 (近年) [근:년]
한자: 近(가까울 근:), 年(해 년)
요 몇 해 사이.
용례:
- 근년에 보기 드문 풍작.
- 근년에 없었던 추위.
21. 근대 (近代) [근:대]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1」얼마 지나가지 않은 가까운 시대.
「2」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중세와 현대 사이의 시대.
용례:
「1」근대의 풍조.
22. 근대극 (近代劇) [근:대극]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劇(심할 극)
19세기 말에 낭만주의에 대응하여 일어난 유럽의 사실주의 연극. 입센이 그 창시자로, 근대 시민의 사상과 감정을 반영하며 사실성을 바탕으로 사회와 인생 문제를 다루었다.
23. 근대법 (近代法) [근:대뻡]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法(법 법)
근대 국가에서, 경제생활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정된 시민 사회 및 자본주의 사회의 법. 추상적 평등과 형식적 합리성이 특징이다.
24. 근대사 (近代史) [근:대사]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史(사기(史記) 사:)
근대 시대의 역사.
25. 근대성 (近代性) [근:대썽]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性(성품 성:)
근대적인 성질이나 특징.
용례:
서구의 근대성과 합리성은 기독교라는 특정의 문화와 자본주의 산업화의 산물이다.
26. 근대식 (近代式) [근:대식]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式(법 식)
근대의 발전 수준에 맞는 방식.
용례:
근대식 공장.
27. 근대요 (近代謠) [근:대요]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謠(노래 요)
조선 후기 이후에 생긴 민요. 아리랑, 사발가, 태평가, 오돌또기 따위가 있다.
28. 근대인 (近代人) [근:대인]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人(사람 인)
근대의 특징인 개인주의적·합리적·과학적 경향이 있는 사람.
용례:
- 근대인의 생활의 중심 원리는 자유정신이다.
- 근대인은 과학을 가지는 그날부터 자연을 이용과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보게 되었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29. 근대적 (近代的) [근:대적]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的(과녁 적)
[Ⅰ]근대의 특징이 될 만한 것.
[Ⅱ]근대의 특징이 될 만한.
용례:
- [Ⅰ]근대적인 사고방식.
- [Ⅰ]근대적인 사회.
- [Ⅱ]근대적 설비.
- [Ⅱ]근대적 개혁.
30. 근대파 (近代派) [근:대파]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派(갈래 파)
19세기 이후에 낭만파 및 고전파의 예술에 반대하여 현실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예술 운동을 한 예술 유파.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문학, 근대극 및 인상주의 미술 따위를 창조하였다.
31. 근대화 (近代化) [근:대화]
한자: 近(가까울 근:), 代(대신할 대:), 化(될 화(:))
근대적인 상태가 됨. 또는 그렇게 함.
용례:
생산 설비의 근대화.
32. 근동 (近洞) [근:동]
한자: 近(가까울 근:), 洞(골 동:)
가까운 이웃 동네.
용례:
이 소문은 삽시간에 번져서 근동의 촌민들을 놀라게 했다.≪유현종, 들불≫
33. 근동 (近東) [근:동]
한자: 近(가까울 근:), 東(동녘 동)
유럽의 관점에서, 유럽과 가장 가까운 아시아의 서쪽 지역을 이르는 말.
용례:
서양 사람들이 동양이라고 했을 때는 대체로 자기들과 지리적으로 가까웠던 근동을 가리킨다.
34. 근동염 (近東鹽) [근:동념]
한자: 近(가까울 근:), 東(동녘 동), 鹽(소금 염)
이집트나 홍해의 연안에서 염전법으로 만든 소금.
35. 근래 (近來) [글:래]
한자: 近(가까울 근:), 來(올 래(:))
가까운 요즈음.
용례:
- 근래에 보기 드문 일.
- 근래에 와서 전원주택이 부쩍 늘었다.
36. 근로 (近路) [글:로]
한자: 近(가까울 근:), 路(길 로:)
「1」가까운 길.
「2」뜻하는 바를 빠르게 이룰 수 있는 방법.
37. 근리하다 (近理하다) [글:리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理(다스릴 리:)
이치에 거의 맞다.
용례:
- 근리한 말.
- 서림의 말이 근리하여 천왕동이가 꺽정이를 돌아보며….≪홍명희, 임꺽정≫
38. 근린 (近鄰) [글:린]
한자: 近(가까울 근:), 鄰(이웃 린)
「1」가까운 이웃.
「2」가까운 곳.
용례:
- 「1」근린 관계를 유지하다.
- 「2」근린 명문 자제들을 모아 온양 석암사에서 함께 공부를 했었다.≪한무숙, 만남≫
39. 근린공원 (近鄰公園) [글:린공원]
한자: 近(가까울 근:), 鄰(이웃 린), 公(공평할 공), 園(동산 원)
도심지의 주택가 주변에 있어, 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조그마한 공원.
용례:
- 아파트 근처에 근린공원이 조성되었다.
- 주말이면 가까운 근린공원으로 산책을 가거나 자전거를 타러 가는 사람들이 많다.
40. 근민 (近民) [근:민]
한자: 近(가까울 근:), 民(백성 민)
이웃 나라의 국민.
41. 근반 (近泮) [근:반]
한자: 近(가까울 근:), 泮(얼음풀릴/학교 반)
반수(泮水)의 근처. 성균관의 부근을 이른다.
42. 근반 (近半) [근:반]
한자: 近(가까울 근:), 半(반(半) 반:)
절반에 가까운 것.
43. 근방 (近方) [근:방]
한자: 近(가까울 근:), 方(모[棱] 방)
가까운 곳.
용례:
- 이 근방에서 오랫동안 살았었다.
- 오늘도 그는 공원 근방을 배회하면서 하루를 보냈다.
44. 근방 (近傍) [근:방]
한자: 近(가까울 근:), 傍(곁 방:)
「1」가까운 주변.
「2」어떤 점에 대하여 그 점을 포함하는 개집합.
45. 근변 (近邊) [근:변]
한자: 近(가까울 근:), 邊(가[側] 변)
가까운 주변.
용례:
나는 연전에 이스라엘 근변의 하늘을 비행기로 날아 본 일이 있다.
46. 근비하다 (近鄙하다) [근:비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鄙(더러울 비:)
고상하지 못하고 더럽다.
47. 근사 (近事) [근:사]
한자: 近(가까울 근:), 事(일 사:)
삼보(三寶)를 가까이하여 받들어 섬기는 일. 또는 그런 사람. 우바새(優婆塞)와 우바니(優婆尼)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48. 근사 (近思) [근:사]
한자: 近(가까울 근:), 思(생각 사(:))
높고 먼 이상을 좇지 아니하고 자기 몸 가까운 곳을 생각함.
49. 근사남 (近事男) [근:사남]
한자: 近(가까울 근:), 事(일 사:), 男(사내 남)
「1」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
「2」불교를 믿는 남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50. 근사녀 (近事女) [근:사녀]
한자: 近(가까울 근:), 事(일 사:), 女(계집 녀)
「1」불교를 믿고 삼귀(三歸), 오계(五戒)를 받은 세속의 여자.
「2」불교를 믿는 여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近 가까울 근: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近 가까울 근: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