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근사록 (近思錄) [근:사록]
한자: 近(가까울 근:), 思(생각 사(:)), 錄(기록할 록)
중국 송나라 때에, 주자와 그 제자인 여조겸이 함께 편찬한 책. 주무숙(周茂叔),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장재(張載) 등의 저서나 어록에서 일상 수양에 긴요한 장구(章句) 622조목을 추려서 14부로 분류하였다. 14권.
52. 근사성 (近似性) [근:사썽]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性(성품 성:)
거의 같은 특성.
용례:
통계 결과를 분석할 때는 서울이라는 지역적 근사성에도 유의해야 한다.
53. 근사식 (近似式) [근:사식]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式(법 식)
어떤 함수의 근삿값을 계산하는 데에 편리하게 만들어진 식.
54. 근사치 (近似値) [근:사치]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値(값 치)
근사계산에 의하여 얻어진 수치로 참값에 가까운 값.
55. 근사하다 (近思하다) [근:사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思(생각 사(:))
높고 먼 이상을 좇지 아니하고 자기 몸 가까운 곳을 생각하다.
56. 근사하다 (近似하다) [근:사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1」거의 같다.
「2」그럴듯하게 괜찮다.
용례:
- 「1」실전에 근사한 군사 훈련.
- 「1」계산이 예상과 근사하게 맞아떨어졌다.
- 「1」학생들의 작품이 개성이 부족하여 거의 근사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 「2」근사한 옷차림.
- 「2」근사한 정원.
- 「2」근사하게 보이다.
- 「2」다방에서 태영은 근사하게 말을 꾸몄다.≪이병주, 지리산≫
57. 근사해 (近似解) [근:사해]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解(풀 해:)
방정식의 정확한 풀이에 가까운 풀이.
58. 근사히 (近似히) [근:사히]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1」거의 같이.
「2」그럴듯하게 괜찮게.
용례:
「2」근사히 차린 상.
59. 근산 (近山) [근:산]
한자: 近(가까울 근:), 山(메 산)
가까이 있는 산.
용례:
허옇게 머리에 눈을 인 원산 근산엔 햇빛이 쨍하다.≪박종화, 임진왜란≫
60. 근삿값 (近似값) [근:사깝]
한자: 近(가까울 근:), 似(닮을 사:)
근사계산에 의하여 얻어진 수치로 참값에 가까운 값.
61. 근상 (近狀) [근:상]
한자: 近(가까울 근:), 狀(형상 상)
요즘의 형편.
62. 근서 (近西) [근:서]
한자: 近(가까울 근:), 西(서녘 서)
서쪽에 가까운 방향.
63. 근성점 (近星點) [근:성쩜]
한자: 近(가까울 근:), 星(별 성), 點(점 점(:))
쌍성(雙星)의 궤도에서, 주성(主星)과 동반성(同伴星)이 가장 근접하는 점.
64. 근세 (近歲) [근:세]
한자: 近(가까울 근:), 歲(해 세:)
요 몇 해 사이.
용례:
만일 근세에 국민 된 자로 오히려 국민의 지식이 없고 국민의 능력이 없어서….≪대한매일신보≫
65. 근세 (近勢) [근:세]
한자: 近(가까울 근:), 勢(형세 세:)
요사이의 정세(情勢)나 세력.
66. 근세 (近世) [근:세]
한자: 近(가까울 근:), 世(인간 세:)
「1」오래되지 않은 가까운 세상.
「2」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중세에 이어 근대가 시작되기 전의 시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유럽에서는 르네상스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이다.
용례:
「2」근세 구라파의 지식인들이 이탈리아에 보낸 동경과 광기.≪최인훈, 회색인≫
67. 근세사 (近世史) [근:세사]
한자: 近(가까울 근:), 世(인간 세:), 史(사기(史記) 사:)
근세 시대의 역사.
용례:
근세사 최대의 비극은 아마 청일 전쟁에서 중국이 패배한 그것이다.≪최인훈, 회색인≫
68. 근세조선 (近世朝鮮) [근:세조선]
한자: 近(가까울 근:), 世(인간 세:), 朝(아침 조), 鮮(고울 선)
1392년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세운 나라. 한양에 도읍하였으며, 불교를 배척하고 성리학을 사회의 지도 이념으로 삼아 중앙 집권적인 양반 관료 체제를 이루었다. 15세기에 전성기를 이루었으며,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쳐 내외적 혼란을 극복하고 18세기 이후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1897년에 대한 제국으로 국호를 개칭하였고, 19세기에 구미 열강과 일본의 압력을 받다가 1910년 일본에 국권을 강탈당하였다.
용례:
아무래도 먼저 살펴봐야 할 것은 근세조선의 의식 환경과 상부 구조이다.≪이문열, 영웅시대≫
69. 근순 (近巡) [근:순]
한자: 近(가까울 근:), 巡(돌[廻]/순행할 순)
「1」가까이를 돌아다님.
「2」어떤 곳을 중심으로 하여 가까운 곳.
70. 근습 (近習) [근:습]
한자: 近(가까울 근:), 習(익힐 습)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던 신하.
71. 근시 (近視) [근:시]
한자: 近(가까울 근:), 視(볼 시:)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보아도 먼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시력.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각막이나 수정체의 굴절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먼 곳의 물체가 망막보다 앞에 상을 맺어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한다. 오목 렌즈의 안경을 써서 교정한다.
72. 근시 (近時) [근:시]
한자: 近(가까울 근:), 時(때 시)
「1」이제까지의 매우 짧은 동안.
「2」바로 얼마 전부터 이제까지의 무렵.
73. 근시 (近侍) [근:시]
한자: 近(가까울 근:), 侍(모실 시:)
「1」웃어른을 가까이 모심.
「2」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던 신하.
용례:
「2」다만 내시 몇 사람, 근시 몇 명이 지밀 궁녀들과 함께 왕을 모시어 있을 뿐이었다.≪박종화, 다정불심≫
74. 근시경 (近視鏡) [근:시경]
한자: 近(가까울 근:), 視(볼 시:), 鏡(거울 경:)
근시인 사람이 쓰는, 오목 렌즈로 만든 안경.
용례:
원시경을 가지고 멀리 보지 말고 근시경을 가지고 가까이 보면 가히 알지니라.≪대한매일신보≫
75. 근시관 (近侍官) [근:시관]
한자: 近(가까울 근:), 侍(모실 시:), 官(벼슬 관)
고려 시대에,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던 벼슬아치. 정삼품인 좌상시, 우상시, 어사대부, 육상서, 한림학사, 승지 학사와 종삼품인 상서도성의 좌승(左丞), 우승(右丞) 따위이다.
76. 근시안 (近視眼) [근:시안]
한자: 近(가까울 근:), 視(볼 시:), 眼(눈 안:)
「1」시력이 약하여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보아도 먼 데 있는 것은 잘 보지 못하는 눈. 굴절성과 축성(軸性)의 두 종류가 있다.
「2」눈앞의 일에만 사로잡혀 먼 앞날의 일을 짐작하는 지혜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근시안에는 안경이란 것이 있어서 시력의 약점을 어느 정도 조절해 준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 「2」그는 유능한 사회부 기자가 되어 혼탁한 사회상과 겨뤄 보겠다고 벼르고는 있으나 글쎄 그런 근시안으로서야 어디.≪유주현, 육인 공화국≫
77. 근시안적 (近視眼的) [근:시안적]
한자: 近(가까울 근:), 視(볼 시:), 眼(눈 안:), 的(과녁 적)
[Ⅰ]앞날의 일이나 사물 전체를 보지 못하고 눈앞의 부분적인 현상에만 사로잡히는 것.
[Ⅱ]앞날의 일이나 사물 전체를 보지 못하고 눈앞의 부분적인 현상에만 사로잡히는.
용례:
- [Ⅰ]근시안적인 교육 개혁안.
- [Ⅱ]근시안적 행정.
- [Ⅱ]근시안적 태도.
78. 근시하다 (近侍하다) [근:시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侍(모실 시:)
웃어른을 가까이 모시다.
용례:
군중이 대궐에서 나간 뒤에 혼자서 대조전을 지키고 있던 태공은, 근시하는 신하들을 불러들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79. 근신 (近信) [근:신]
한자: 近(가까울 근:), 信(믿을 신:)
「1」최근에 온 소식이나 편지.
「2」가까이하여 신용함.
80. 근신 (近臣) [근:신]
한자: 近(가까울 근:), 臣(신하 신)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던 신하.
용례:
근신 외에는 신하들이 임금을 면대할 기회가 드물었다.≪홍명희, 임꺽정≫
81. 근신하다 (近信하다) [근:신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信(믿을 신:)
가까이하여 신용하다.
82. 근안경 (近眼鏡) [그:난경]
한자: 近(가까울 근:), 眼(눈 안:), 鏡(거울 경:)
근시인 사람이 쓰는, 오목 렌즈로 만든 안경.
83. 근업 (近業) [그:넙]
한자: 近(가까울 근:), 業(업 업)
「1」근래에 지은 작품이나 저술.
「2」근래에 하는 사업.
용례:
「1」나는 저자의 근업에 대해 그 시대적 의의를 강조하려 한다.
84. 근연 (近緣) [그:년]
한자: 近(가까울 근:), 緣(인연 연)
「1」가까이하여 인연을 맺음. 또는 가까운 인연.
「2」삼연(三緣)의 하나. 염불하는 중생이 부처 보기를 원하면, 부처가 그 마음에 응하여 그의 눈앞에 몸을 나타내는 일을 이른다.
용례:
「1」퉁구스어는 한국어, 일본어와의 근연 관계가 연구되고 있으나 구조상의 유사점에 비하여 비슷한 어휘가 적다.
85. 근연종 (近緣種) [그:년종]
한자: 近(가까울 근:), 緣(인연 연), 種(씨 종(:))
생물의 분류에서 유연관계가 깊은 종류. 예를 들면, 물까치는 까마귀의 근연종이다.
86. 근연하다 (近緣하다) [그:년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緣(인연 연)
가까이하여 인연을 맺다.
87. 근영 (近影) [그:녕]
한자: 近(가까울 근:), 影(그림자 영:)
근래에 찍은 인물 사진.
용례:
지은이의 근영.
88. 근영 (近詠) [그:녕]
한자: 近(가까울 근:), 詠(읊을 영:)
최근에 지은 시가.
89. 근우 (近憂) [그:누]
한자: 近(가까울 근:), 憂(근심 우)
눈앞에 닥쳐온 근심.
90. 근위 (近衛) [그:뉘]
한자: 近(가까울 근:), 衛(지킬 위)
임금을 가까이에서 호위함. 또는 그런 장병이나 부대.
용례:
궁성을 호위할 차로 근위 일 대만 두고….≪대한매일신보≫
91. 근위대 (近衛隊) [그:뉘대]
한자: 近(가까울 근:), 衛(지킬 위), 隊(무리 대)
「1」임금을 가까이에서 호위하던 부대.
「2」대한 제국 때에, 궁궐의 호위와 의장(儀仗)을 맡아보던 군대. 융희 원년(1907)에 강제로 군대가 해산되면서 황제의 친위병으로 편제된 것으로, 보병과
기병이 있었다.
용례:
「2」지방이 소요함을 진정하기 위하여 근위대 병정 이백 명을 파송하였다는데….≪대한매일신보≫
92. 근위병 (近衛兵) [그:뉘병]
한자: 近(가까울 근:), 衛(지킬 위), 兵(병사 병)
「1」임금을 가까이에서 호위하던 군인.
「2」대한 제국 때에, 근위대에 속한 군인.
용례:
「1」일렬종대는 영국 근위병의 행진처럼 일사불란이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93. 근위하다 (近衛하다) [그:뉘하다]
한자: 近(가까울 근:), 衛(지킬 위)
임금을 가까이에서 호위하다.
용례:
왕을 근위하다.
94. 근읍 (近邑) [그:늡]
한자: 近(가까울 근:), 邑(고을 읍)
가까운 고을이나 읍.
용례:
소문이 근읍에 널리 퍼지다.
95. 근인 (近姻) [그:닌]
한자: 近(가까울 근:), 姻(혼인 인)
가까운 인척.
96. 근인 (近因) [그:닌]
한자: 近(가까울 근:), 因(인할 인)
연관성이 가까운, 직접적인 원인.
용례:
도대체 나의 이 끊임없는 조울증의 원인과 근인은 무엇인가?≪김원우, 짐승의 시간≫
97. 근일 (近日) [그:닐]
한자: 近(가까울 근:), 日(날 일)
「1」미래의 매우 가까운 날. 또는 지금부터 여러 날 동안.
「2」과거의 매우 가까운 날. 또는 과거로부터 오늘까지의 여러 날 동안.
용례:
- 「1」근일 중에 발표하다.
- 「1」근일에 한번 만납시다.
- 「2」초가을의 입김이 서서히 번지고 있는 근일. 이른 아침 우물가에 가면 성급한 낙엽들이 흥건히 누워 있다.≪법정, 무소유≫
98. 근일점 (近日點) [그:닐쩜]
한자: 近(가까울 근:), 日(날 일), 點(점 점(:))
태양의 둘레를 도는 행성이나 혜성의 궤도 위에서 태양에 가장 가까운 점.
99. 근자 (近者) [근:자]
한자: 近(가까울 근:), 者(놈 자)
요 얼마 되는 동안.
용례:
- 근자에 와서 그는 악몽을 가끔 꾸었다.
- 근자에 들어서는 발걸음을 뚝 끊고 혼자 사랑방 거처를 해 오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00. 근작 (近作) [근:작]
한자: 近(가까울 근:), 作(지을 작)
최근의 작품.
용례:
역대 수상자들의 근작들이 전시되었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近 가까울 근: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近 가까울 근: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