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器 그릇 기

1. 기 (器) [기]

한자: 器(그릇 기)

「1」‘도구’ 또는 ‘기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그러한 활동을 위한 기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용례:

  • 「1」녹음기.
  • 「1」주사기.
  • 「2」생식기.
  • 「2」소화기.
  • 「2」호흡기.

2. 기 (器) [기]

한자: 器(그릇 기)

음식을 그릇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3. 기계 (器械) [기계]

한자: 器(그릇 기), 械(기계 계:)

「1」연장, 연모, 그릇, 기구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구조가 간단하며 제조나 생산을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사용하는 도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의료 기계나 물리·화학의 실험용 기계 따위가 있다.

4. 기관 (器官) [기관]

한자: 器(그릇 기), 官(벼슬 관)

일정한 모양과 생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생물체의 부분. 형태적으로 독립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조직이 일정한 질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들이 모여 기관계를 형성하고 기관 혹은 기관계가 모여 개체를 구성한다.

5. 기관계 (器官系) [기관계]

한자: 器(그릇 기), 官(벼슬 관), 系(이어맬 계:)

기능적으로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협동하여 작용하는 기관의 집합체. 근육 계통, 소화 계통, 신경 계통, 생식 계통, 순환 계통, 내분비 계통, 호흡 계통 따위가 있다.

6. 기구 (器具) [기구]

한자: 器(그릇 기), 具(갖출 구(:))

「1」세간, 도구, 기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예법에 필요한 것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는 형세.
「3」어떤 일을 해결하는 데 수단이 되는 세력.

용례:

  • 「1」부엌 기구.
  • 「1」조리 기구.
  • 「1」실험 기구.
  • 「1」의료 기구.
  • 「1」전열 기구.
  • 「1」옛날얘기에 나오는 산적의 움막 같았다. 그래도 살림 사는 집이라고 절구통, 맷돌 등 기구가 갖추어져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 「2」기구 있게 장사를 지내다.
  • 「2」하인들이 들랑거리고 안팎 손님들이 번다해서 온통 집 안이 빡빡하게 인산인해를 이루었는데, 참 그 범절과 기구가 장하고 놀랍더란 말이야.≪이기영, 봄≫

7. 기국 (器局) [기국]

한자: 器(그릇 기), 局(판[形局] 국)

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그믐산이 알기에도 초여는 기국이 큰 빼어난 인물이었다.≪이문구, 오자룡≫

8. 기능 (器能) [기능]

한자: 器(그릇 기), 能(능할 능)

기량과 재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

9. 기대 (器臺) [기대]

한자: 器(그릇 기), 臺(대 대)

밑이 둥근 항아리 따위의 그릇을 올려놓는 데 쓰던 받침. 삼국 시대 특히 가야와 신라 지역에서 많이 나오며 굽구멍이 뚫려 있다.

10. 기량 (器量) [기량]

한자: 器(그릇 기), 量(헤아릴 량)

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윗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량.
  • 기량이 뛰어나다.

11. 기망 (器望) [기망]

한자: 器(그릇 기), 望(바랄 망:)

「1」재주와 지혜가 남달리 뛰어나다는 평판.
「2」기량과 명망을 아울러 이르는 말.

12. 기명 (器皿) [기명]

한자: 器(그릇 기), 皿(그릇 명:)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각색 생과와 조과, 밤, 대추, 은행, 실백 따위의 나무 열매, 전유어, 포, 면, 편 따위가 괴어 올려진 기명들이 배열된 큰 상을 앞에 하고 단정히 앉아 있었다.≪한무숙, 만남≫

13. 기물 (器物) [기물]

한자: 器(그릇 기), 物(물건 물)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

용례:

  • 기물을 파손하다.
  •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세가 기울자 어머니께서는 기물을 하나둘 내다 팔기 시작하셨다.
  • 대가 댁 사랑방만큼이야 할까마는 또 값지고 유서 깊은 기물이 있는 것도 아니었지만 청량수로 씻어 놓은 듯 방 안은 청결하였다.≪박경리, 토지≫

14. 기복부 (器腹部) [기복뿌]

한자: 器(그릇 기), 腹(배 복), 部(떼 부)

그릇의 몸통.

15. 기식 (器識) [기식]

한자: 器(그릇 기), 識(알 식)

기량과 식견을 아울러 이르는 말.

16. 기악 (器樂) [기악]

한자: 器(그릇 기), 樂(노래 악)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 연주자의 수에 따라 독주·중주·합주로 나누고, 표현 형식에 따라 교향곡·협주곡·소나타·실내악곡 따위로 나눈다.

용례:

음악 교사가 그렇게 쉬운 줄 아나? 악전이야 별게 없지만 몇 가지쯤 기악을 할 줄도 알아야 해.≪이병주, 지리산≫

17. 기완 (器玩) [기완]

한자: 器(그릇 기), 玩(즐길 완:)

감상하며 즐기기 위하여 모아 두는 기구나 골동품 따위를 이르는 말.

18. 기우 (器宇) [기우]

한자: 器(그릇 기), 宇(집 우:)

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19. 기장 (器仗) [기장]

한자: 器(그릇 기), 仗(의장(儀仗) 장)

전쟁에 쓰는 무기와 의식(儀式)에 쓰는 물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0. 기재 (器財) [기재]

한자: 器(그릇 기), 財(재물 재)

기물(器物)이나 도구.

21. 기재 (器才) [기재]

한자: 器(그릇 기), 才(재주 재)

기량(器量)과 재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능력과 기재를 갖춘 인재.
  • 영웅의 기재와 문사의 감상이 어찌 하나일 수 있으며 군부의 경국과 신자의 사환이 또한 같을 수 있겠는가.≪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2. 기재 (器材) [기재]

한자: 器(그릇 기), 材(재목 재)

기구와 재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실험 기재.
  • 의료 기재.

23. 기중 (器重) [기중]

한자: 器(그릇 기), 重(무거울 중:)

크게 될 인물로 보아 그의 재주와 기량을 소중히 여김.

24. 기질 (器質) [기질]

한자: 器(그릇 기), 質(바탕 질)

기량과 타고난 성질.

25. 기질화 (器質化) [기질화]

한자: 器(그릇 기), 質(바탕 질), 化(될 화(:))

혈병이 섬유 조직으로 대체됨. 또는 그 과정.

26. 기집 (器什) [기집]

한자: 器(그릇 기), 什(세간 집)

집 안이나 사무실에서 쓰는 온갖 기구.

27. 기편 (器片) [기편]

한자: 器(그릇 기), 片(조각 편(:))

사기그릇의 깨어진 작은 조각.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4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