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 (器) [기]
한자: 器(그릇 기)
「1」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도구’ 또는 ‘기구’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생물체의 활동을 나타내는 몇몇 명사 뒤에 붙어)) ‘그러한 활동을 위한 기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용례:
- 「1」녹음기.
- 「1」주사기.
- 「2」생식기.
- 「2」소화기.
- 「2」호흡기.
2. 기구 (器具) [기구]
한자: 器(그릇 기), 具(갖출 구(:))
「1」세간, 도구, 기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예법에 필요한 것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는 형세.
「3」어떤 일을 해결하는 데 수단이 되는 세력.
용례:
- 「1」부엌 기구.
- 「1」조리 기구.
- 「1」실험 기구.
- 「1」의료 기구.
- 「1」전열 기구.
- 「1」옛날얘기에 나오는 산적의 움막 같았다. 그래도 살림 사는 집이라고 절구통, 맷돌 등 기구가 갖추어져 있었다.
- 「2」기구 있게 장사를 지내다.
- 「2」하인들이 들랑거리고 안팎 손님들이 번다해서 온통 집 안이 빡빡하게 인산인해를 이루었는데, 참 그 범절과 기구가 장하고 놀랍더란 말이야.
3. 기국 (器局) [기국]
한자: 器(그릇 기), 局(판[形局] 국)
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그믐산이 알기에도 초여는 기국이 큰 빼어난 인물이었다.
4. 기량 (器量) [기량]
한자: 器(그릇 기), 量(헤아릴 량)
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윗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량.
- 기량이 뛰어나다.
5. 기명 (器皿) [기명]
한자: 器(그릇 기), 皿(그릇 명:)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각색 생과와 조과, 밤, 대추, 은행, 실백 따위의 나무 열매, 전유어, 포, 면, 편 따위가 괴어 올려진 기명들이 배열된 큰 상을 앞에 하고 단정히 앉아 있었다.
6. 기물 (器物) [기물]
한자: 器(그릇 기), 物(물건 물)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
용례:
- 기물을 파손하다.
-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세가 기울자 어머니께서는 기물을 하나둘 내다 팔기 시작하셨다.
- 대가 댁 사랑방만큼이야 할까마는 또 값지고 유서 깊은 기물이 있는 것도 아니었지만 청량수로 씻어 놓은 듯 방 안은 청결하였다.
7. 기악 (器樂) [기악]
한자: 器(그릇 기), 樂(즐길 락 | 노래 악 | 좋아할 요)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 연주자의 수에 따라 독주ㆍ중주ㆍ합주로 나누고, 표현 형식에 따라 교향곡ㆍ협주곡ㆍ소나타ㆍ실내악곡 따위로 나눈다.
용례:
음악 교사가 그렇게 쉬운 줄 아나? 악전이야 별게 없지만 몇 가지쯤 기악을 할 줄도 알아야 해.
8. 기악곡 (器樂曲) [기악꼭]
한자: 器(그릇 기), 樂(즐길 락 | 노래 악 | 좋아할 요), 曲(굽을 곡)
기악을 위하여 작곡한 곡.
9. 기재 (器才) [기재]
한자: 器(그릇 기), 才(재주 재)
기량(器量)과 재능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능력과 기재를 갖춘 인재.
- 영웅의 기재와 문사의 감상이 어찌 하나일 수 있으며 군부의 경국과 신자의 사환이 또한 같을 수 있겠는가.
10. 기재 (器材) [기재]
한자: 器(그릇 기), 材(재목 재)
기구와 재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실험 기재.
- 의료 기재.
11. 기질 (器質) [기질]
한자: 器(그릇 기), 質(바탕 질)
기량과 타고난 성질.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