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橫 가로 횡

1. 횡 (橫) [횡]

한자: 橫(가로 횡)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 있는 방향. 또는 그 길이.

용례:

횡으로 길게 늘어서다.

2. 횡간 (橫看) [횡간]

한자: 橫(가로 횡), 看(볼 간)

「1」글을 가로로 읽어 감.
「2」가로로 그은 줄 안에 벌여 적은 표(表).
「3」조선 시대의 재정 세출표(歲出表). 세조 때에 완비하였으며 세출의 비목은 상공(上供), 국용(國用), 녹봉(祿俸), 군자(軍資), 의창(義倉), 의료 따위이다.

3. 횡격막 (橫膈膜) [횡경막]

한자: 橫(가로 횡), 膈(가슴 격), 膜(꺼풀/막 막)

배와 가슴 사이를 분리하는 근육.

4. 횡관 (橫貫) [횡관]

한자: 橫(가로 횡), 貫(꿸 관(:))

가로나 동서로 꿰뚫음.

용례:

횡관 도로.

5. 횡단 (橫斷) [횡단]

한자: 橫(가로 횡), 斷(끊을 단:)

「1」도로나 강 따위를 가로지름.
「2」대륙이나 대양 따위를 동서의 방향으로 가로 건넘.
「3」가로 끊거나 자름.

용례:

  • 「1」도로 무단 횡단.
  • 「2」대륙 횡단 여행.
  • 「3」횡단 절단.

6. 횡단로 (橫斷路) [횡단노]

한자: 橫(가로 횡), 斷(끊을 단:), 路(길 로:)

「1」도로 따위를 건너질러 가는 길.
「2」바다나 대륙 따위를 가로질러 가는 길. 뱃길, 항공로 따위를 이른다.

용례:

「1」적어도 다섯 개의 지하도와 두 개의 육교를 지난 위에 또 여러 개의 횡단로를 건너온 셈이었다.

7. 횡단막 (橫斷幕) [횡단막]

한자: 橫(가로 횡), 斷(끊을 단:), 幕(장막 막)

건물의 외벽(外壁)이나 큰 방의 벽에 내건 가로로 긴 막. 표어 따위가 적혀 있다.

8. 횡단면 (橫斷面) [횡단면]

한자: 橫(가로 횡), 斷(끊을 단:), 面(낯 면:)

물체를 그 길이에 직각이 되게 가로로 잘라 생긴 면.

용례:

횡단면 투시.

9. 횡단보도 (橫斷步道) [횡단보:도]

한자: 橫(가로 횡), 斷(끊을 단:), 步(걸음 보:), 道(길 도:)

사람이 가로로 건너다닐 수 있도록 안전표지나 도로 표지를 설치하여 차도 위에 마련한 길.

용례:

  •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리며 서 있었다.
  • 육교를 하나 지나고, 지하도를 하나 지나고 다시 횡단보도를 건넜다.
  • 비탈길을 내려와 큰길로 나온 희규는, 횡단보도를 바쁘게 건너 다시 번잡한 역전 광장으로 걸어갔다.

10. 횡대 (橫帶) [횡대]

한자: 橫(가로 횡), 帶(띠 대(:))

「1」관을 묻은 뒤에 구덩이 위에 덮는 널조각.
「2」가로로 두르거나 뻗친 띠.

용례:

「1」하관 후에 횡대를 덮다.

11. 횡대 (橫隊) [횡대]

한자: 橫(가로 횡), 隊(무리 대)

가로로 줄을 지어 늘어선 대형(隊形).

용례:

  • 횡대 비행.
  • 횡대로 정렬하다.
  • 횡대를 짓다.

12. 횡도 (橫道) [횡도]

한자: 橫(가로 횡), 道(길 도:)

「1」가로 나간 길.
「2」바른길에서 벗어난 옳지 못한 길.

용례:

「2」횡도에 빠져들다.

13. 횡렬 (橫列) [횡녈]

한자: 橫(가로 횡), 列(벌릴 렬)

가로로 줄을 지음. 또는 그 줄.

용례:

횡렬로 줄을 서다.

14. 횡렬 (橫裂) [횡녈]

한자: 橫(가로 횡), 裂(찢어질 렬)

「1」가로 찢어지거나 벌어짐.
「2」꽃밥의 열개 방법의 하나. 꽃밥이 익으면 가로 벌어져 화분이 날린다. 무궁화 따위에서 볼 수 있다.

15. 횡령 (橫領) [횡녕]

한자: 橫(가로 횡), 領(거느릴 령)

공금이나 남의 재물을 불법으로 차지하여 가짐.

용례:

  • 그는 횡령 혐의로 구속되었다.
  • 세 번씩 놓았다는 전보가 한 장도 들어오지 않은 것도 이상하거니와, 돈 부친 것까지 중간에서 횡령을 당하지 않았나 의심이 드는 것이었다.

16. 횡목 (橫木) [횡목]

한자: 橫(가로 횡), 木(나무 목)

가로질러 놓은 나무.

용례:

대신 논에서 돌아와 그 광경을 본 두만 아비는 성난 황소처럼 외양간의 횡목을 뽑아 달려왔다.

17. 횡사 (橫死) [횡사]

한자: 橫(가로 횡), 死(죽을 사:)

뜻밖의 재앙으로 죽음.

용례:

비명에 횡사를 당하다.

18. 횡서 (橫書) [횡서]

한자: 橫(가로 횡), 書(글 서)

글씨를 가로로 쓰는 일. 또는 그런 방식. 국어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가는 방식과 히브리 문자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 나가는 방식이 있다.

19. 횡서 (橫黍) [횡서]

한자: 橫(가로 횡), 黍(기장 서:)

율관(律管)을 만들 때 기장 낟알을 가로로 포개어 길이로 삼는 방법. 세종 때 박연(朴堧)이 율관을 만들 때에 해주에서 나는 기장알을 써서 척도로 삼았다.

20. 횡선 (橫線) [횡선]

한자: 橫(가로 횡), 線(줄 선)

좌우 방향으로 그은 줄.

21. 횡설수설 (橫說竪說) [횡설수설]

한자: 橫(가로 횡), 說(말씀 설), 竪(세울 수), 說(말씀 설)

조리가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

용례:

  • 체포된 청년 세 명은 제각기 다른 횡설수설로 수사에 혼란을 주었다.
  • 이 생원은 약주가 거나한 김에 횡설수설 되는대로 지껄이고 있을 뿐인지도 몰랐다.
  • 말을 하게 된다면 감정에 복받쳐서 횡설수설이 될 것 같았다.

22. 횡수 (橫手) [횡수]

한자: 橫(가로 횡), 手(손 수(:))

장기나 바둑 따위에서, 잘못 보고 둔 수.

용례:

이번 바둑에서 그는 단 한 번의 횡수로 지고 말았다.

23. 횡수 (橫數) [횡수]

한자: 橫(가로 횡), 數(셈 수:)

뜻밖의 운수.

용례:

  • 우리들에게 그런 신기한 횡수가 있었던가. 일찍이 없던 일이다.
  • 오늘날까지 산 것은 횡수였다. 부인의 통곡에 대하여 하전은 이렇게 고요히 위로하는 것이었다.

24. 횡액 (橫厄) [횡액]

한자: 橫(가로 횡), 厄(액 액)

뜻밖에 닥쳐오는 불행.

용례:

  • 사람은 좋은데 어쩌다가 그런 횡액을 만났을까.
  • 도리어 서북쪽에 가 있으니 이것은 별의 운행에 배치되는 일이므로 빨리 돌아오지 않으면 변괴와 횡액을 보게 되리라는 것이었다.
  • 줄초상이라는 말대로 횡액은 연거푸 일어나는 모양인지 계절까지 무더워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 이런 타향에 이런 어지러운 마음씨로 어정대다가 어떤 횡액을 당할지 모르겠다고 여겨졌다.

25. 횡요 (橫搖) [횡요]

한자: 橫(가로 횡), 搖(흔들 요)

배 따위가 좌우로 흔들림.

용례:

파도로 해서 선체는 마구 까불어 대고 한 번씩 횡요가 클 적에는 마치 용승류처럼 그의 몸뚱이에 부딪쳐 와 오히려 붕붕 뜨게 했다.

26. 횡재 (橫財) [횡재]

한자: 橫(가로 횡), 財(재물 재)

뜻밖에 재물을 얻음. 또는 그 재물.

용례:

  • 소금 장수는 횡재를 만났다 하였다. 이런 운수 좋은 날이 있을까 싶은 것이다.
  • 주머니 속에 들어온 지갑은 내 의사와는 상관없이 누군가 내 주머니 속에 찔러 넣은 횡재를 얻은 것뿐이다.

27. 횡재수 (橫財數) [횡재쑤]

한자: 橫(가로 횡), 財(재물 재), 數(셈 수:)

뜻밖에 재물을 얻는 좋은 운수.

용례:

  • 그는 복권에 당첨되는 횡재수를 얻었다.
  • 아닌 말로 꿩도 먹고 알도 먹을 수 있는 횡재수가 아니고 무엇이랴.

28. 횡적 (橫的) [횡쩍]

한자: 橫(가로 횡), 的(과녁 적)

[Ⅰ]어떤 일이나 사물의 관계가 가로로 연결되어 있는 것.
[Ⅱ]어떤 일이나 사물의 관계가 가로로 연결되어 있는.

용례:

  • [Ⅰ]강신무는 종적으로나 횡적으로나 조직적 유대가 없다.
  • [Ⅰ]오빠도 그때는 조직 생활을 할 때였기 때문에 비록 횡적인 관련은 없지만 서로 정체를 간파하고 있었다고 한다.
  • [Ⅱ]횡적 관계.
  • [Ⅱ]횡적 연락.
  • [Ⅱ]차구열이 표면에 나서서 좌익 활동을 하지 않았으므로 그 종적 횡적 계보를 파악하기에는 그를 잡아들이지 않고는 풀 수 없는 문제였다.

29. 횡포 (橫暴) [횡포]

한자: 橫(가로 횡), 暴(모질 포:)

제멋대로 굴며 몹시 난폭함.

용례:

  • 횡포가 심하다.
  • 횡포를 부리다.
  • 아이들의 불평불만이 은연중에 조금씩 무르익어 가게 되었던 것은 자칭 기율부장이라는 임종하와 총무 박은수의 횡포 때문이었다.
  • 자기네들도 매관매직과 토색과 뇌물을 가장 당연한 일로 여기고 행하는지라, 서원의 횡포를 금할 면목이 없을 것이었다.

30. 횡행 (橫行) [횡행]

한자: 橫(가로 횡), 行(다닐 행(:))

「1」모로 감.
「2」아무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함.

31. 횡화 (橫禍) [횡화]

한자: 橫(가로 횡), 禍(재앙 화:)

뜻하지 아니한 재난.

용례:

  • 횡화를 입다.
  • 횡화를 당하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