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花 꽃 화

1. 화강암 (花崗巖) [화강암]

한자: 花(꽃 화), 崗(언덕 강), 巖(바위 암)

석영, 운모, 정장석, 사장석 따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성암(深成巖). 완정질(完晶質)의 조직을 이루며, 흰색 또는 엷은 회색을 띤다. 닦으면 광택이 나는데, 단단하고 아름다워서 건축이나 토목용 재료, 비석 재료 따위에 쓴다. 함유된 운모의 종류에 따라 흑운모 화강암, 백운모 화강암 따위로 불린다.

2. 화개 (花蓋) [화개]

한자: 花(꽃 화), 蓋(덮을 개(:))

개나리, 백합, 붓꽃 따위처럼 꽃받침과 꽃부리가 빛깔이나 모양이 같아서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 이 둘을 통틀어 이르는 말. 꽃받침은 겉꽃뚜껑, 꽃부리는 안꽃뚜껑이라 한다.

3. 화관 (花冠) [화관]

한자: 花(꽃 화), 冠(갓 관)

「1」아름답게 장식한 관.
「2」칠보로 꾸민 여자의 관. 예장(禮裝)할 때에 쓴다.
「3」꽃잎 전체를 이르는 말. 꽃받침과 함께 꽃술을 보호한다. 꽃잎이 하나씩 갈라져 있는 것을 ‘갈래꽃부리’, 합쳐 있는 것을 ‘통꽃부리’라고 한다.
「4」예전에, 나라의 잔치 때 기녀, 여령, 무동 등이 쓰던 관(冠). 모양이 각기 달랐다.

용례:

「2」처음으로 여자의 화관을 벗기는 공자의 서투른 솜씨는 용이하게 얼른 화관을 벗겨 낼 수 없었다.

4. 화단 (花壇) [화단]

한자: 花(꽃 화), 壇(단 단)

꽃을 심기 위하여 흙을 한층 높게 하여 꾸며 놓은 꽃밭.

용례:

  • 화단을 가꾸다.
  • 화단에 물을 주다.
  • 가을의 화단은 온통 국화꽃 일색이다.
  • 화단에 함부로 들어가지 마라.
  • 그 집 뒤뜰에는 예쁜 꽃들을 심어 놓은 화단이 있다.

5. 화대 (花代) [화대]

한자: 花(꽃 화), 代(대신할 대:)

「1」잔치 때 기생이나 악사에게 놀아 준 대가로 주는 돈이나 물건.
「2」기생, 창기 따위와 관계를 가지고 그 대가로 주는 돈.

용례:

  • 「2」그녀가 댄에게 타 쓰는 돈은 생활비가 아니라 일종의 화대다.
  • 「2」나는 다소 많다 싶을 정도의 화대를 놓고 방을 나왔다.

6. 화대 (花臺) [화대]

한자: 花(꽃 화), 臺(대 대)

화분 따위를 올려놓는 받침.

용례:

  • 화분은 없고 화대만이 화단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었다.
  • 물이 새지 않도록 화대를 꼭 받쳐라.

7. 화도 (花道) [화도]

한자: 花(꽃 화), 道(길 도:)

나뭇가지나 화초 따위에 인공을 가하여 풍취(風趣)를 더하는 기술.

용례:

꽃에 화도를 하니 싱싱해 보였다.

8. 화랑 (花郞) [화랑]

한자: 花(꽃 화), 郞(사내 랑)

「1」신라 때에 둔, 청소년의 민간 수양 단체. 문벌과 학식이 있고 외모가 단정한 사람으로 조직하였으며, 심신의 단련과 사회의 선도를 이념으로 하였다.
「2」화랑의 지도자.
「3」광대와 비슷한 놀이꾼의 패. 옷을 잘 꾸며 입고 가무와 행락을 주로 하던 무리로 대개 무당의 남편이었다.

9. 화랑도 (花郞徒) [화랑도]

한자: 花(꽃 화), 郞(사내 랑), 徒(무리 도)

신라 때에 둔 화랑의 무리.

10. 화랑도 (花郞道) [화랑도]

한자: 花(꽃 화), 郞(사내 랑), 道(길 도:)

신라 때에, 화랑이 지켜야 했던 도리. 유(儒)ㆍ불(佛)ㆍ선(仙)의 삼교(三敎), 삼덕(三德), 오계(五戒)를 신조로 하였다.

11. 화로수 (花露水) [화로수]

한자: 花(꽃 화), 露(이슬 로(:)), 水(물 수)

꽃의 액을 짜내어 만든 향수. 지금은 주정(酒精)에 온갖 향료를 타서 만든다.

용례:

좋은 분도 있고 왜밀도 있고 비누, 화로수 다 있습니다. 좀 팔아 주십시오.

12. 화롱 (花籠) [화롱]

한자: 花(꽃 화), 籠(대바구니 롱(:))

꽃을 담는 광주리.

용례:

군사령관 안도 사다미가 은제 화롱 1개를 바쳤다. 모두 세의(歲儀)이다.

13. 화류계 (花柳界) [화류계]

한자: 花(꽃 화), 柳(버들 류(:)), 界(지경 계:)

기생 따위의 노는계집의 활동 분야.

용례:

  • 화류계를 전전하다.
  • 남희는 거의 화류계 계집애로 전락했습니다.
  • 꽃봉이로 말하면, 화류계 생활 오 년째다.

14. 화무십일홍 (花無十日紅) [화무시빌홍]

한자: 花(꽃 화), 無(없을 무), 十(열 십), 日(날 일), 紅(붉을 홍)

열흘 동안 붉은 꽃은 없다는 뜻으로, 한 번 성한 것이 얼마 못 가서 반드시 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화무십일홍이라, 있는 체하는 놈들 두고 보라지. 제 놈들은 언제까지 그럴 줄 알지.

15. 화문석 (花紋席) [화문석]

한자: 花(꽃 화), 紋(무늬 문), 席(자리 석)

꽃의 모양을 놓아 짠 돗자리. 강화도에서 만든 것이 유명하다.

용례:

길상은 마루 끝에 옆모습을 보이며 걸터앉았고 서희는 마루 복판에 깔아 놓은 화문석 위에 앉아 있었다.

16. 화밀 (花蜜) [화밀]

한자: 花(꽃 화), 蜜(꿀 밀)

식물의 꿀샘에서 분비되는 당(糖) 성분의 액체. 꽃의 수분(受粉)을 위해 곤충, 새, 또는 다른 동물들을 유인하는 기능을 한다.

17. 화반 (花盤) [화반]

한자: 花(꽃 화), 盤(소반 반)

「1」꽃을 담도록 만든 자기(瓷器). 운두가 낮고 위는 넓은 꽃 모양이다.
「2」초방 위에 장여를 받치기 위하여 끼우는 널조각. 화분, 연꽃, 사자 따위를 새긴다.

용례:

  • 「1」화반에 가득 담긴 꽃이 분위기를 더욱 운치 있게 한다.
  • 「2」

18. 화방 (花房) [화방]

한자: 花(꽃 화), 房(방 방)

「1」주로 생화나 조화 따위의 꽃을 파는 가게.
「2」기생이 거처하며 술과 유흥을 제공하는 집.

용례:

「2」한눈에 그자들이 예사 양인이 아님을 눈치챈 작부들은 화방 물림과는 원래가 한통속이라 더욱 즐거워하는 것이었다. 그들이 주막 안으로 들어가니 이미 선래자가 두엇 앉아서 계집들과 잡가를 흥얼거리고 있었다.

19. 화병 (花甁) [화병]

한자: 花(꽃 화), 甁(병 병)

꽃을 꽂는 병.

용례:

그녀는 친구가 선물한 장미를 화병에 꽂았다.

20. 화봉초 (花峯草) [화봉초]

한자: 花(꽃 화), 峯(봉우리 봉), 草(풀 초)

한쪽 끝을 뾰족하게 말아서 꽃봉오리처럼 만든 잎담배.

용례:

대원군은 마침 석반을 자신 후 어둑발이 내릴 즈음, 화봉초 피워 물고 정원을 한 바퀴 돌아서 막 행랑채의 대문 어름을 지날 때였다.

21. 화분 (花盆) [화분]

한자: 花(꽃 화), 盆(동이 분)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

용례:

  • 화분에 물을 주다.
  • 아이는 화분에 나팔꽃 씨를 심었다.
  • 그는 상을 그대로 놓기가 무미하다고 서양 백합을 심은 화분 한 개를 한가운데 올려놓았다.

22. 화분대 (花盆臺) [화분대]

한자: 花(꽃 화), 盆(동이 분), 臺(대 대)

화분을 올려놓는 받침.

용례:

온실의 화분대 위에는 형형색색의 예쁜 꽃들이 피어 있었다.

23. 화세 (花洗) [화세]

한자: 花(꽃 화), 洗(씻을 세:)

화초에 물을 주는 기구.

용례:

새로 산 화세로 꽃에 물을 주었다.

24. 화수회 (花樹會) [화수회]

한자: 花(꽃 화), 樹(나무 수), 會(모일 회:)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이 친목을 위하여 이룬 모임이나 잔치.

25. 화신 (花信) [화신]

한자: 花(꽃 화), 信(믿을 신:)

꽃이 핌을 알리는 소식.

용례:

  • 서서히 북상하는 화신.
  • 화신을 전하다.

26. 화악 (花萼) [화악]

한자: 花(꽃 화), 萼(꽃받침 악)

「1」영예(榮譽)와 영위(榮位)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형제의 정(情).
「3」즐겁고 안온한 정(情).

용례:

「3」가족 간의 단란한 화악.

27. 화연 (花宴) [화연]

한자: 花(꽃 화), 宴(잔치 연:)

환갑날에 베푸는 잔치.

용례:

어머님의 화연을 못 해 드린 것이 황송하여 평생에 다시는 내 생일을 기념치 않기로 하고 이 글에서도 내 생일 날짜를 기입하지 아니한다.

28. 화용 (花容) [화용]

한자: 花(꽃 화), 容(얼굴 용)

꽃처럼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

용례:

아가씨들의 웃음소리가 귀에 쟁쟁하고 고운 화용이 눈에 선하다.

29. 화용신 (花容身) [화용신]

한자: 花(꽃 화), 容(얼굴 용), 身(몸 신)

꽃다운 얼굴을 가진 몸.

용례:

백옥 같은 저 미인의 화용신도 늙으면 소용없지.

30. 화원 (花園) [화원]

한자: 花(꽃 화), 園(동산 원)

「1」꽃을 심은 동산.
「2」꽃을 파는 가게.

31. 화월 (花月) [화월]

한자: 花(꽃 화), 月(달 월)

「1」꽃과 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꽃 위에 비치는 달빛.
「3」꽃이 피고 달이 밝은 그윽한 정취.

용례:

  • 「2」화월의 밝은 빛.
  • 「2」우리의 어깨 위로는 화월이 은은히 달그림자를 만들고 있었다.

32. 화잠 (花簪) [화잠]

한자: 花(꽃 화), 簪(비녀 잠)

새색시가 머리를 치장하는 데 쓰는 비녀. 잔새김을 한 옥판 위에 금, 은, 주옥 따위를 박아 꾸미고 떨새를 앉혔다.

용례:

화잠을 꽂은 새색시.

33. 화전 (花煎) [화전]

한자: 花(꽃 화), 煎(달일 전(:))

「1」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진달래나 개나리, 국화 따위의 꽃잎이나 대추를 붙여서 기름에 지진 떡.
「2」여러 가지 색으로 물들인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꽃 모양으로 만들어 지진 떡.

용례:

「1」진달래 꽃잎으로 화전을 부치다.

34. 화전 (花氈) [화전]

한자: 花(꽃 화), 氈(담(毯) 전:)

꽃무늬가 놓인 담요.

용례:

  • 화전과 양단 이불.
  • 화전에 어울리는 베갯잇.

35. 화점 (花點) [화쩜]

한자: 花(꽃 화), 點(점 점(:))

바둑판에서 기본이 되는 아홉 개의 점.

용례:

심찬수가 검은 돌 한 점을 상대편 좌측 화점에 기세 좋게 놓자, 안 천총이 조용히 자기 앞 우측 소목으로 응수해 왔다.

36. 화조 (花鳥) [화조]

한자: 花(꽃 화), 鳥(새 조)

「1」꽃과 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2」꽃을 찾아다니는 새.
「3」꽃과 새를 함께 그린 그림이나 조각.

용례:

「1」화조가 그려져 있는 병풍.

37. 화중 (花中) [화중]

한자: 花(꽃 화), 中(가운데 중)

꽃 속. 또는 여러 가지 꽃 가운데.

용례:

가뜩이나 초췌한 얼굴이 풀어 산발을 한 머리 때문에 더 해쓱하고 여기서 보기에는 처연한 화중의 미희같이 보인다.

38. 화채 (花菜) [화채]

한자: 花(꽃 화), 菜(나물 채:)

꿀이나 설탕을 탄 물이나 오미잣국에 과일을 썰어 넣거나 먹을 수 있는 꽃을 뜯어 넣고 잣을 띄운 음료.

용례:

여름에는 수박으로 시원한 화채를 만들어 먹곤 하였다.

39. 화채 (花債) [화채]

한자: 花(꽃 화), 債(빚 채:)

기생, 창기 따위와 관계를 가지고 그 대가로 주는 돈.

용례:

기생의 화채를 오십 냥으로 정하고….

40. 화초 (花草) [화초]

한자: 花(꽃 화), 草(풀 초)

「1」꽃이 피는 풀과 나무 또는 꽃이 없더라도 관상용이 되는 모든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실용적이지 못하고 그 물건이 장식품이나 노리개에 지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용례:

  • 「1」화초가 가득한 뜰.
  • 「1」화초가 만발하다.
  • 「1」화초를 심다.
  • 「1」화초를 가꾸다.
  • 「1」화초에 물을 주다.
  • 「1」그는 온실에 온갖 화초를 심어 기르고 있다.
  • 「2」얼굴은 솟아오른 보름달같이 훤한데 도무지 소견머리라곤, 그래 시집이나 가겠냐? 어디 부잣집에 화초 며느리로 데려간다면 모를까…….

41. 화투 (花鬪) [화투]

한자: 花(꽃 화), 鬪(싸움 투)

48장으로 된 놀이용 딱지. 또는 그것으로 행하는 오락이나 노름. 계절에 따른 솔, 매화, 벚꽃, 난초, 모란, 국화, 오동 따위 열두 가지의 그림이 각각 네 장씩 모두 48장이며, 짓고땡ㆍ육백ㆍ고스톱 따위의 노는 방법이 있다.

용례:

  • 화투 놀이.
  • 화투를 치다.
  • 친구들이 모이면 으레 화투로 고스톱을 한다.
  • 우리는 그날 저녁, 사환 애를 시켜서 사 온 화투를 치며 밤을 새웠다.
  • 영철은 좌중을 쭉 훑어보며 화투를 착착 치고 그것을 나누어 준다.

42. 화판 (花瓣) [화판]

한자: 花(꽃 화), 瓣(꽃잎/날름 판)

꽃을 이루고 있는 낱낱의 조각 잎.

43. 화포 (花砲) [화포]

한자: 花(꽃 화), 砲(대포 포:)

화약이 터지면서 여러 가지 꽃무늬를 하늘에 드러내는 중국식 딱총.

용례:

  • 화포가 터지는 소리.
  • 화포를 하늘 높이 쏘아 올리다.

44. 화향 (花香) [화향]

한자: 花(꽃 화), 香(향기 향)

「1」꽃의 향기.
「2」불전에 올리는 꽃과 향.

용례:

  • 「1」화향 가득한 꽃집.
  • 「1」삼천 궁녀들의 몸에서 나는 훈향과 꽃에 나는 화향에 취하여 나비는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고, 돌고 날고, 날고 돈다.

45. 화환 (花環) [화환]

한자: 花(꽃 화), 環(고리 환(:))

생화나 조화를 모아 고리같이 둥글게 만든 물건. 축하나 애도 따위를 표하는 데에 쓴다.

용례:

  • 화환을 목에 걸다.
  • 그는 초상집에 하얀 국화꽃 화환을 보냈다.
  • 1등을 한 선수에게 트로피와 화환이 수여되었다.

46. 화훼 (花卉) [화훼]

한자: 花(꽃 화), 卉(풀 훼)

「1」꽃이 피는 풀과 나무 또는 꽃이 없더라도 관상용이 되는 모든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화초를 주제로 하여 그린 그림.

용례:

  • 「1」대규모 화훼 단지를 조성하다.
  • 「1」서울 꽃 시장에서 진귀한 화훼 품평회가 열렸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