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歌 노래 가 - 1

1. 개가 (凱歌) [개:가]

한자: 凱(개선할 개:), 歌(노래 가)

「1」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올 때에 부르는 노래.
「2」이기거나 큰 성과가 있을 때의 환성.

용례:

  • 「2」이순신은 오랑캐를 묶은 채 군사들을 휘동하여 개가를 높이 부르면서 북병사가 있는 병영으로 들어갔다.
  • 「2」간신히 화초밭 새에 숨어 쌔근거리는 새를 덥석 뒤집어씌워서 잡고 말았다. 아이들의 입에서는 ‘으아’ 하고 개가가 올랐다.

2. 개선가 (凱旋歌) [개:선가]

한자: 凱(개선할 개:), 旋(돌[廻] 선), 歌(노래 가)

「1」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올 때에 부르는 노래.
「2」이기거나 큰 성과가 있을 때의 환성.

용례:

  • 「1」개선가를 소리 높여 부르다.
  • 「2」장기는 세 판을 두어 두 판은 이기고 한 판은 지고 해서, 삼 판 양 승으로 정 주사가 개선가를 올렸다.

3. 격양가 (擊壤歌) [겨걍가]

한자: 擊(칠[打] 격), 壤(흙덩이 양:), 歌(노래 가)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용례:

  • 격양가를 부르다.
  • 풍년이 들어 백성들이 격양가를 친다 하니 고려의 흥복이고 나의 즐거움이오.

4. 경기체가 (景幾體歌) [경기체가]

한자: 景(볕 경(:)), 幾(몇 기), 體(몸 체), 歌(노래 가)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조선 초기까지 계속되었던 시가 장르. 주로 양반 귀족들의 향락적인 생활 양식과 그들의 심상(心像)을 읊었다. 일반적으로 각 연(聯)은 전소절과 후소절로 나뉘며, 각 소절의 끝에 ‘경기하여(景幾何如)’ 또는 ‘경(景)긔 엇더니잇고’라는 구절이 반복된다. <한림별곡>, <죽계별곡>, <상대별곡> 따위가 있다.

5. 고성방가 (高聲放歌) [고성방:가]

한자: 高(높을 고), 聲(소리 성), 放(놓을 방(:)), 歌(노래 가)

술에 취하여 거리에서 큰 소리를 지르거나 노래를 부르는 짓.

용례:

  • 술에 잔뜩 취한 남자가 한밤중에 고성방가로 골목길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
  • 거기에는 장돌뱅이들이 얼쩡거리며 고성방가와 욕질로 파장 분위기를 돋우고 있을 뿐이었다.

6. 광가 (狂歌) [광가]

한자: 狂(미칠 광), 歌(노래 가)

곡조나 가사와 상관없이 마구 소리쳐 부르는 노래.

용례:

그가 술 취해 부르는 노래는 광가에 가깝다.

7. 교가 (校歌) [교:가]

한자: 校(학교 교:), 歌(노래 가)

학교를 상징하는 노래. 학교의 교육 정신, 이상, 특성 따위를 담고 있다.

용례:

  • 교가 제창.
  • 뒤쪽에서는 학생들이 고래고래 악을 쓰듯 교가를 합창하고 있었다.

8. 구가 (謳歌) [구가]

한자: 謳(노래 구), 歌(노래 가)

「1」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칭송하여 노래함.
「2」행복한 처지나 기쁜 마음 따위를 거리낌 없이 나타냄. 또는 그런 소리.

용례:

  • 「2」인생의 신음 소리보다는 인생의 구가가 듣고 싶은 욕망이 더욱 끓어올랐다.
  • 「2」행복의 송가를 높이 외는 이나 성공의 구가를 길게 부르짖는 사람이나 이 시간이란 시내에서 뱃놀이하지 않는 사람이 누구입니까?

9. 국가 (國歌) [국까]

한자: 國(나라 국), 歌(노래 가)

나라를 대표ㆍ상징하는 노래. 그 나라의 이상이나 영예를 나타내며 주로 식전(式典)에서 연주ㆍ제창한다.

용례:

  • 각 나라의 국가를 연주하다.
  • 어린 학생들이 국악대의 취주에 맞추어 국가를 불렀다.

10. 군가 (軍歌) [군가]

한자: 軍(군사 군), 歌(노래 가)

군대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 주로 군대 생활과 전투 활동을 담은 가사에 행진곡풍의 선율을 붙인다.

용례:

  • 포성 소리가 멎고 군가가 들려왔다.
  • 나팔수가 나팔을 불고 고수가 북을 치자 행렬은 진군했다. 군가 부르는 소리가 요란했다.

11. 권농가 (勸農歌) [권:농가]

한자: 勸(권할 권:), 農(농사 농), 歌(노래 가)

농사짓는 일에 관련된 노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권농가를 부르다.
  • 밭을 갈며 흥얼대는 농부의 권농가가 흥겹다.

12. 권주가 (勸酒歌) [권:주가]

한자: 勸(권할 권:), 酒(술 주(:)), 歌(노래 가)

「1」술을 권하는 노래.
「2」조선 시대 십이 가사의 하나. 구가(舊歌)와 현행가(現行歌)의 두 종류가 있는데, 대개 현행가를 이른다. 허무한 인생을 탄식하고 부귀와 장수를 빌며 술을 권하는 내용으로, ≪가곡원류≫에 전한다.

용례:

  • 「1」권주가를 부르다.
  • 「1」맑은 물 푸른 숲 사이에서 기생들의 권주가를 들으면서 한 잔 한 잔 또 한 잔 잔들을 기울였다.

13. 권학가 (勸學歌) [권:학까]

한자: 勸(권할 권:), 學(배울 학), 歌(노래 가)

「1」조선 후기의 가사(歌辭). 학문을 권장하는 내용으로, 최석정이 지은 것을 비롯하여 여러 편이 전하고 있다.
「2」조선 철종 13년(1862)에 최제우가 지은 가사. 새해를 맞아 송구영신하면서 고향을 생각하며 회포를 읊는 내용이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다.

14. 농부가 (農夫歌) [농부가]

한자: 農(농사 농), 夫(지아비 부), 歌(노래 가)

「1」조선 시대의 가사. 모내기나 김매기를 할 때 불렀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농부들이 즐겨 부르는 노동요. 일할 때에 한 사람의 앞소리를 받아 여러 사람이 되풀이하면서 부른다. 황해도의 ‘김매기’, 평안도의 ‘호미타령’, 경상도의 ‘옹헤야’, 전라도의 ‘농부가’ 따위가 있다.

15. 단가 (團歌) [단가]

한자: 團(둥글 단), 歌(노래 가)

어떤 단체의 노래. 그 모임의 정신과 기풍을 나타내며, 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갖게 하기 위하여 부른다.

용례:

  • 소년단 단가.
  • 단가를 공모하다.
  • 우리 모임도 단가를 짓기로 회장단에서 결정했습니다.

16. 단심가 (丹心歌) [단심가]

한자: 丹(붉을 단), 心(마음 심), 歌(노래 가)

고려 말기에 정몽주가 지은 시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읊은 것으로,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하여 지었다.

17. 만가 (輓歌) [만가]

한자: 輓(끌/애도할 만:), 歌(노래 가)

「1」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구슬픈 소리.
「2」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나 가사.

용례:

  • 「1」상제도 없고 만장도 없는 초라한 상여였지만 이십여 명의 상두꾼이 만가 소리에 맞춰 천천히 매곡 다리를 넘어갔다.
  • 「2」영결식장에는 만가가 쓸쓸히 흘렀다.

18. 만가 (挽歌) [만가]

한자: 挽(당길 만:), 歌(노래 가)

「1」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구슬픈 소리.
「2」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노래나 가사.

용례:

  • 「1」상제도 없고 만장도 없는 초라한 상여였지만 이십여 명의 상두꾼이 만가 소리에 맞춰 천천히 매곡 다리를 넘어갔다.
  • 「2」영결식장에는 만가가 쓸쓸히 흘렀다.

19. 망향가 (望鄕歌) [망:향가]

한자: 望(바랄 망:), 鄕(시골 향), 歌(노래 가)

고향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노래.

용례:

고향이 그리워 망향가를 부르다.

20. 무가 (巫歌) [무:가]

한자: 巫(무당 무:), 歌(노래 가)

무당의 노래.

용례:

  • 무가를 부르다.
  • 어미는 이름난 무당이었으므로 무가도 많이 정확하게 보유하고 있었다.
  • 무당이 무가를 끝내자, 피리와 아쟁이 애끓는 듯한 시나위 가락을 연주했다.

21. 무가 (舞歌) [무:가]

한자: 舞(춤출 무:), 歌(노래 가)

「1」춤과 노래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춤추며 노래함.

용례:

  • 「1」무가를 즐기다.
  • 「1」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무가에 능한 민족이었다.

22. 비가 (悲歌) [비:가]

한자: 悲(슬플 비:), 歌(노래 가)

「1」슬프고 애잔한 노래.
「2」슬픈 감정으로 엮은 서정 시가의 한 갈래.

용례:

「1」그녀의 넋두리는 한 자락 비가처럼 듣는 이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23. 사면초가 (四面楚歌) [사:면초가]

한자: 四(넉 사:), 面(낯 면:), 楚(초나라 초), 歌(노래 가)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쪽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용례:

성 밖에도 적, 성안에도 적, 그야말로 사면초가였다.

24. 상여가 (喪輿歌) [상여가]

한자: 喪(잃을 상(:)), 輿(수레 여:), 歌(노래 가)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구슬픈 소리.

용례:

상여에 올라가서 종을 치며 구성지게 상여가를 부르는 향도 패장의 가락은 인생무상을 느끼게 한다.

25. 성가 (聖歌) [성:가]

한자: 聖(성인 성:), 歌(노래 가)

「1」신성한 노래.
「2」천주와 천신과 성인을 칭송하는 노래.
「3」하나님의 은혜나 예수의 구원 따위를 칭송하는 노래. 찬송가나 복음 성가 따위가 있다.

용례:

  • 「2」성가를 부르다.
  • 「2」신자들이 성가를 합창하고 있었다.

26. 송가 (頌歌) [송:가]

한자: 頌(기릴/칭송할 송:), 歌(노래 가)

공덕을 기리는 노래.

용례:

  • 크리스마스 송가.
  • 환희의 송가.

27. 수궁가 (水宮歌) [수궁가]

한자: 水(물 수), 宮(집 궁), 歌(노래 가)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 고전 소설 <토끼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로, 토끼와 자라의 행동을 통하여 인간을 풍자한 내용이다.

28. 승전가 (勝戰歌) [승전가]

한자: 勝(이길 승), 戰(싸움 전:), 歌(노래 가)

싸움이나 경기에서 이기고 부르는 노래.

용례:

  • 승전가를 부르다.
  • 고싸움은 둘째 날 밤에도 승부가 나지 않았는지 승전가가 들려오지 않았다.

29. 시가 (詩歌) [시가]

한자: 詩(시 시), 歌(노래 가)

「1」가사를 포함한 시 문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시와 노래.

용례:

「1」시가 문학.

30. 심청가 (沈淸歌) [심:청가]

한자: 沈(잠길 침(:) | 성(姓) 심:), 淸(맑을 청), 歌(노래 가)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하나. 고전 소설 <심청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로, 효녀 심청의 효행에 관한 노래로 창법은 계면조가 많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歌 노래 가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