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告 고할 고:

1. 간접광고 (間接廣告) [간접꽝:고]

한자: 間(사이 간(:)), 接(이을 접),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중간에 매개가 되는 사람이나 사물 따위를 통하여 공지 사항이나 상품 따위를 널리 알림.

용례:

  • 영화를 이용한 간접 광고.
  • 방송 드라마에서 간접 광고를 하는 일이 종종 문제가 되곤 한다.

2. 경고 (警告) [경:고]

한자: 警(깨우칠 경:), 告(고할 고:)

「1」조심하거나 삼가도록 미리 주의를 줌. 또는 그 주의.
「2」운동 경기나 조직 생활에서 규칙이나 규범을 어겼을 때 주는 벌칙의 하나.

용례:

  • 「1」접근하지 말라는 경고를 무시하고 가까이 다가갔다.
  • 「1」불법 어로 행위를 하는 자는 법에 따라 절도죄로 다스린다는 경고가 적혀 있었다.≪윤흥길, 완장≫
  • 「2」경고를 받다.
  • 「2」경고를 주다.
  • 「2」경고를 두 번 받으면 퇴장이다.

3. 경과보고 (經過報告) [경과보:고]

한자: 經(지날/글 경), 過(지날 과:), 報(갚을/알릴 보:), 告(고할 고:)

일정한 기간 중에 겪거나 진행된 일의 내용을 알리는 보고.

용례:

  • 경과보고를 하다.
  • 이것이 그간의 경과보고입니다.

4. 공고 (公告) [공고]

한자: 公(공평할 공), 告(고할 고:)

「1」세상에 널리 알림.
「2」국가 기관이나 공공 단체에서 일정한 사항을 일반 대중에게 광고, 게시, 또는 다른 공개적 방법으로 널리 알림.

용례:

  • 「1」구인 공고를 내다.
  • 「1」복도엔 학기말 고사 공고가 나붙었다.
  • 「1」그때 우연히 눈에 띈 것이 신문에 난 전투 경찰 모집 공고였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 「2」헌법 개정안 공고.

5. 공익광고 (公益廣告) [공익꽝:고]

한자: 公(공평할 공), 益(더할 익), 廣(넓을 광:), 告(고할 고:)

기업이나 단체가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광고.

6. 과대광고 (誇大廣告) [과:대광:고]

한자: 誇(자랑할 과:), 大(큰 대(:)),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상품의 내용을 실제보다 과장하여 광고하는 일. 공정 거래법의 규제 대상이 된다.

용례:

과대광고를 적발하여 처벌하다.

7. 광고 (廣告) [광:고]

한자: 廣(넓을 광:), 告(고할 고:)

「1」세상에 널리 알림. 또는 그런 일.
「2」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는 의도적인 활동. 또는 그 표현물.

용례:

  • 「1」아이가 달리기에서 우승을 했다고 동네방네 광고를 하고 다녔다.
  • 「2」신제품 광고.
  • 「2」15초짜리 광고.
  • 「2」신문에 광고가 나다.
  • 「2」인터넷에 일할 사람을 찾는다는 광고를 냈다.

8. 권고 (勸告) [권:고]

한자: 勸(권할 권:), 告(고할 고:)

어떤 일을 하도록 권함. 또는 그런 말.

용례:

  • 권고를 받다.
  • 그는 의사의 권고로 담배를 끊었다.
  • 그는 쉬라는 권고를 무시하고 무리를 하다 건강을 해치고 말았다.
  • 인숙이는 깜짝 놀라기는 하였으나 그 기미를 타서, 어서 집으로 가 보라는 작은딸의 권고에는 귀도 기울이려 하지 않았다.≪염상섭, 인플루엔자≫

9. 기업광고 (企業廣告) [기업꽝:고]

한자: 企(꾀할 기), 業(업 업), 廣(넓을 광:), 告(고할 고:)

기업의 경영 방침이나 업적 따위를 일반 대중에게 전함으로써 기업의 입장이나 현재의 상태를 이해하도록 하고, 기업에 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 주기 위한 광고.

10. 논고 (論告) [논고]

한자: 論(논할 론), 告(고할 고:)

「1」자기의 주장이나 믿는 바를 논술하여 알림.
「2」형사 재판에서, 증거 조사를 마치고 검사가 피고의 범죄 사실과, 그에 대한 법률 적용에 관한 의견을 진술하는 일.

용례:

  • 「1」논고를 펼치다.
  • 「1」그의 논고는 타당하나 몇 가지 오류가 있다.

11. 무고 (誣告) [무:고]

한자: 誣(속일 무:), 告(고할 고:)

사실이 아닌 일을 거짓으로 꾸미어 해당 기관에 고소하거나 고발하는 일.

용례:

무고 혐의.

12. 미신고 (未申告) [미:신고]

한자: 未(아닐 미(:)), 申(납[猿] 신), 告(고할 고:)

관련 기관 따위에 일정한 사실을 아직 보고하지 않음.

용례:

  • 미신고 사건.
  • 경찰은 폭력적인 미신고 집회를 철저하게 봉쇄하기로 결정하였다.

13. 밀고 (密告) [밀고]

한자: 密(빽빽할 밀), 告(고할 고:)

남몰래 넌지시 일러바침.

용례:

해방 전선의 탈주자들이 집에 돌아왔다가 주위 사람들의 밀고로 수용소에 끌려가는 수가 있었고….≪황석영, 무기의 그늘≫

14. 발고 (發告) [발고]

한자: 發(필 발), 告(고할 고:)

피해자나 고소권자가 아닌 제삼자가 수사 기관에 범죄 사실을 신고하여 수사 및 범인의 기소를 요구하는 일.

용례:

  • 화적을 숨겨 놓고 있다는 발고가 들어왔소이다.≪황석영, 장길산≫
  • 관가에 쫓아가 발고라도 했다면 되레 그것이 빌미가 되어 무사하지 못할 것같이 느껴지기도 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15. 번고 (煩告) [번고]

한자: 煩(번거로울 번), 告(고할 고:)

번거롭게 알려 바침.

용례:

쓸데없이 번고가 잦으면 오히려 윗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수 있다.

16. 보고 (報告) [보:고]

한자: 報(갚을/알릴 보:), 告(고할 고:)

「1」일에 관한 내용이나 결과를 말이나 글로 알림.
「2」보고하는 글이나 문서.

용례:

  • 「1」상황 보고.
  • 「1」보고를 받다.
  • 「1」보고를 드리다.
  • 「1」사건에 대한 보고가 상부에 들어갔다.
  • 「1」회의에 참석해서 결과 보고를 마쳤다.
  • 「2」현황 보고를 작성하다.
  • 「2」회계 보고를 제출하다.
  • 「2」일분기 중간 실적 보고를 제출합니다.

17. 부고 (訃告) [부:고]

한자: 訃(부고 부:), 告(고할 고:)

사람의 죽음을 알림. 또는 그런 글.

용례:

  • 부고를 내다.
  • 빨리 서울 사는 형에게 부고를 보내라.
  • 그는 부고를 받자마자 고향으로 달려왔다.
  • 고향에서 할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부고가 왔다.
  • 양만석은 그의 아버지 부고를 접하고 조문을 온 것이 아니고….≪문순태, 타오르는 강≫

18. 분실신고 (紛失申告) [분실신고]

한자: 紛(어지러울 분), 失(잃을 실), 申(납[猿] 신), 告(고할 고:)

분실한 사실을 관공서에 통고함. 또는 그런 서류.

용례:

운전면허증을 분실하면 경찰서에 분실 신고를 해야 한다.

19. 사고 (社告) [사고]

한자: 社(모일 사), 告(고할 고:)

회사에서 내는 광고.

용례:

  • 회사 정문에 사원 모집을 알리는 사고가 붙어 있다.
  • 우리 신문사는 3월이면 수습기자 모집 사고를 낸다.

20. 사망신고 (死亡申告) [사:망신고]

한자: 死(죽을 사:), 亡(망할 망), 申(납[猿] 신), 告(고할 고:)

「1」사람이 죽었을 때에 사망 진단서 따위를 첨부하여 그 사실을 관청에 알리는 일.
「2」사망 신고를 할 때에 관청에 제출하는 서류.

21. 사형선고 (死刑宣告) [사:형선고]

한자: 死(죽을 사:), 刑(형벌 형), 宣(베풀 선), 告(고할 고:)

공판정에서 사형에 처한다는 판결 내용을 알리는 일.

22. 상고 (上告) [상:고]

한자: 上(윗 상:), 告(고할 고:)

「1」윗사람에게 알림.
「2」제이심 판결에 대한 상소(上訴). 원심(原審)의 판결에 불복하여 판결의 재심사를 상급 법원에 신청하는 일이다.

용례:

  • 「2」대법원은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의 판결을 유지하였다.
  • 「2」상고장에 상고의 이유를 자세히 기재하였다.

23. 상업광고 (商業廣告) [상업꽝:고]

한자: 商(장사 상), 業(업 업),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널리 알리는 의도적인 활동. 또는 그 표현물.

용례:

  • 상업 광고를 싣다.
  • 상업 광고를 유치하다.
  • 상업 광고를 허용하다.
  • 최근에는 버스를 이용한 상업 광고가 많이 늘었다.

24. 상품광고 (商品廣告) [상품광:고]

한자: 商(장사 상), 品(물건 품:),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상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팔려고 알리는 광고. 상품의 특징, 가격, 상표 이름 따위를 강조한다.

25. 선고 (宣告) [선고]

한자: 宣(베풀 선), 告(고할 고:)

「1」선언하여 널리 알림.
「2」공판정에서 재판장이 판결을 알리는 일. 이로써 재판의 효력이 생기며 판결 원본을 낭독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이유의 요지를 설명하여야 한다.

용례:

  • 「1」퇴장 선고.
  • 「1」그는 의사의 선고를 듣는 순간 병실이 울릴 정도로 어마어마한 고함을 내질렀다.≪홍성원, 육이오≫
  • 「2」벌금 선고.
  • 「2」무죄 선고.

26. 선전포고 (宣戰布告) [선전포:고]

한자: 宣(베풀 선), 戰(싸움 전:), 布(베/펼 포(:)), 告(고할 고:)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전쟁을 시작한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일.

용례:

정식 선전 포고 없이 침략하다.

27. 숙박신고 (宿泊申告) [숙빡씬고]

한자: 宿(잘 숙), 泊(머무를/배댈 박), 申(납[猿] 신), 告(고할 고:)

여관이나 호텔 따위에서 숙박인의 성명, 주소, 행선지 따위를 적음. 또는 그런 서류.

용례:

  • 숙박신고의 의무.
  • 범인은 자신의 행방을 감추기 위해 숙박신고를 하지 않았다.

28. 신고 (申告) [신고]

한자: 申(납[猿] 신), 告(고할 고:)

「1」국민이 법령의 규정에 따라 행정 관청에 일정한 사실을 진술ㆍ보고함.
「2」새로 발령받거나 승진된 사람이 소속 상관이나 지휘관에게 정식으로 자신의 성명과 계급 및 업무를 보고함.

용례:

  • 「1」습득물 신고.
  • 「1」경찰은 주민의 신고를 받고 긴급히 출동하였다.
  • 「2」모 중위가 정면으로 그들을 향하자 제일 우측의 깡마른 소위가 경례와 동시에 신고를 시작한다.≪홍성원, 육이오≫

29. 신문광고 (新聞廣告) [신문광:고]

한자: 新(새 신), 聞(들을 문(:)),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신문에 게재하는 상업 광고나 안내 광고.

용례:

  • 신문 광고를 내다.
  • 겨울 방학 동안 아르바이트를 하기 위해 신문 광고를 샅샅이 뒤졌다.
  • 그녀는 신문 광고를 통하여 아버지의 죽음을 알 수가 있었다.≪윤흥길, 완장≫

30. 실물광고 (實物廣告) [실물광:고]

한자: 實(열매 실), 物(물건 물),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실물을 일반 사람들 앞에 보이고 알리는 광고.

31. 예고 (豫告) [예:고]

한자: 豫(미리 예:), 告(고할 고:)

미리 알림.

용례:

  • 예고 방송.
  • 아무런 예고도 없이 들이닥치다.

32. 옥외광고 (屋外廣告) [오괴광:고]

한자: 屋(집 옥), 外(바깥 외:),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옥외에 설치하는 광고.

용례:

올해에는 회사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옥외 광고에 치중할 계획이다.

33. 원고 (原告) [원고]

한자: 原(언덕 원), 告(고할 고:)

법원에 민사 소송을 제기한 사람.

용례:

  • 고등 재판소에서 시심 재판을 하여 본즉 원고도 피고와 같이 죄가 있기로 가두고….≪독립신문≫
  • 피고가 자기 일이 나타날까…원고를 내쫓았다 원고는 말하지마는 다른 일로 내보냈는지 어찌 아는가?≪김동인, 약한 자의 슬픔≫

34. 유고 (諭告) [유고]

한자: 諭(타이를 유), 告(고할 고:)

「1」타일러 훈계함.
「2」나라에서 결행할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려 줌. 또는 그런 알림.

용례:

「2」온 나라 백성에게는 유고를 내려 모두 다 각각 그 직분을 편안히 지킬 것을 이른 뒤에….≪박종화, 다정불심≫

35. 이실직고 (以實直告) [이:실직꼬]

한자: 以(써 이:), 實(열매 실), 直(곧을 직), 告(고할 고:)

사실 그대로 고함.

용례:

  • 저놈이 아직도 몽둥이맛을 덜 본 거로구나. 이실직고를 않으니.≪유주현, 대한 제국≫
  • 주부는 이실직고를 하고 말았으나, 이 사람이 어떻게 알았나 겁이 펄쩍 났다.≪염상섭, 무화과≫

36. 재항고 (再抗告) [재:항고]

한자: 再(두 재:), 抗(겨룰 항:), 告(고할 고:)

항고 법원의 결정과 고등 법원의 결정이나 명령이 법령에 위배됨을 이유로 대법원에 다시 항고하는 일. 또는 그런 항고.

37. 전입신고 (轉入申告) [저:닙씬고]

한자: 轉(구를 전:), 入(들 입), 申(납[猿] 신), 告(고할 고:)

거주지를 옮길 때에 새로 살게 된 곳의 관할 관청에 그 사실을 알리는 일. 또는 그 서류.

38. 중간보고 (中間報告) [중간보고]

한자: 中(가운데 중), 間(사이 간(:)), 報(갚을/알릴 보:), 告(고할 고:)

「1」최종의 결과가 나오기 전에 중도에 하는 보고.
「2」국회의 상임 위원회에서 심사 중인 의안(議案)에 관하여 상임 위원장이 그때까지의 심사 상황을 본회의에 보고하는 일.

용례:

  • 「1」중간보고가 들어오다.
  • 「1」중간보고를 받다.

39. 지정불고 (知情不告) [지정불고]

한자: 知(알 지), 情(뜻 정), 不(아닐 불), 告(고할 고:)

남의 범죄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고발하지 아니함.

용례:

지정불고 죄인으로 몰린 이긍선은 새남터에서 행형을 당하고….≪박종화, 전야≫

40. 직고 (直告) [직꼬]

한자: 直(곧을 직), 告(고할 고:)

바른대로 고하여 알림.

41. 출생신고 (出生申告) [출쌩씬고]

한자: 出(날[生] 출), 生(날 생), 申(납[猿] 신), 告(고할 고:)

사람이 태어났음을 관청에 알리는 일.

용례:

부모님이 출생 신고를 늦게 해서 나의 호적 나이는 실제 나이보다 두 살이나 어리다.

42. 충고 (忠告) [충고]

한자: 忠(충성 충), 告(고할 고:)

남의 결함이나 잘못을 진심으로 타이름. 또는 그런 말.

용례:

  • 충고를 듣다.
  • 충고에 따르다.
  • 어머니의 간곡한 충고를 받아들이다.
  • 이미 결심이 굳어져 실행하고 있는 그녀에겐 더 이상의 충고나 조언이 필요 없었다.
  • 장익과 나는 그에게 몸을 좀 돌보라고 자주 충고를 주었으나, 그는 대답 없이 자기의 일에만 몰두했다.≪김원일, 어둠의 축제≫

43. 통고 (通告) [통고]

한자: 通(통할 통), 告(고할 고:)

서면(書面)이나 말로 소식을 전하여 알림.

용례:

  • 전사 통고.
  • 통고를 받다.
  • 그는…지서에는 한마디 통고도 없이 아침 첫 기차 편으로 서울로 줄행랑을 쳐 버렸던 것이다.≪김원일, 불의 제전≫
  • 그 애는 학생 신분이고 징집 연기자니까 무슨 사고가 생겼다면 벌써 가족에게 통고가 왔겠지요.≪황석영, 무기의 그늘≫

44. 파산선고 (破産宣告) [파:산선고]

한자: 破(깨뜨릴 파:), 産(낳을 산:), 宣(베풀 선), 告(고할 고:)

채권자나 채무자의 신청에 의하여, 또는 파산 법원의 직권으로 파산의 개시를 명하는 결정.

45. 포고 (布告) [포:고]

한자: 布(베/펼 포(:)), 告(고할 고:)

「1」일반에게 널리 알림.
「2」국가의 결정 의사를 공식적으로 널리 알림.
「3」국제법상에서, 한 나라가 상대국에 대하여 전쟁을 시작한다는 통고를 하고 그 뜻을 내외에 알림.

용례:

  • 「2」전시하에 개인은 금을 소유할 수 없다, 일본 정부의 그 같은 포고는 두말할 것도 없이 정부가 금을 회수하겠다는 것이며 공출해야 한다는 뜻이다.≪박경리, 토지≫
  • 「2」박태영이 그다음 신용우를 찾아간 것은 38선의 무허가 월경을 금지한 포고가 군정청으로부터 발표된 그 이튿날이었다.≪이병주, 지리산≫

46. 피고 (被告) [피:고]

한자: 被(입을 피:), 告(고할 고:)

민사 소송에서, 소송을 당한 측의 당사자.

용례:

피고가 손해액을 원고에게 배상했다.

47. 학사보고 (學事報告) [학싸보:고]

한자: 學(배울 학), 事(일 사:), 報(갚을/알릴 보:), 告(고할 고:)

학교의 교육, 경영 따위의 여러 일에 대하여 보고하는 일.

48. 항고 (抗告) [항:고]

한자: 抗(겨룰 항:), 告(고할 고:)

법원의 결정, 명령에 대하여 당사자 또는 제삼자가 위법임을 주장하고 상급 법원에 그 취소나 변경을 구하여 불복 상소를 함. 또는 그런 절차. 성질에 따라 즉시 항고와 보통 항고로 나누고 심급에 따라서는 최초 항고, 재항고로 나눈다.

49. 혼인신고 (婚姻申告) [혼인신고]

한자: 婚(혼인할 혼), 姻(혼인 인), 申(납[猿] 신), 告(고할 고:)

결혼한 사실을 행정 관청에 신고하는 일. 결혼 당사자 쌍방과 성인인 증인 두 명이 연서(連書)하고 가족 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한 사항을 기재한 혼인 신고서를 등록 기준지나 주소지 시, 읍, 면 등의 장에게 제출한다.

50. 흑색광고 (黑色廣告) [흑쌕꽝고]

한자: 黑(검을 흑), 色(빛 색), 廣(넓을 광:), 告(고할 고:)

사실무근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어 상대편을 모략하고 혼란과 무질서를 조장하는 정치적 술책.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