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古 예 고:

1. 고고 (考古) [고:고]

한자: 考(생각할 고(:)), 古(예 고:)

옛 유물과 유적으로 고대(古代)의 역사적 사실을 연구함.

용례:

고고 인류학.

2. 고고 (高古) [고고]

한자: 高(높을 고), 古(예 고:)

‘고고하다’
(세속을 초월하여 고상하고 고풍스럽다.)의 어근.

3. 근고 (近古) [근:고]

한자: 近(가까울 근:), 古(예 고:)

「1」그리 오래되지 않은 옛날.
「2」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중고와 근세(近世) 사이의 시기. 상고(上古)ㆍ중고(中古)에 대응하여 이르는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를 가리킨다.

용례:

  • 「1」근고에 없는 일.
  • 「1」꺽정이 같은 근고에 없는 큰 도둑놈을 조정에서 얼른 잡아 없앨 도리를 차리지 않는 것이 웬일이오니까?≪홍명희, 임꺽정≫
  • 「2」근고의 귀족 정치 시대, 근세의 군주 독재 시대라는 정치 체제의 변화.

4. 긍만고 (亘萬古) [긍:만고]

한자: 亘(뻗칠 긍:), 萬(일만 만:), 古(예 고:)

아주 옛날에까지 두루 걸침.

용례:

독립문 세움이 국가에 자주독립하는 표준이라 긍만고 큰 경사이온바….≪독립신문≫

5. 만고 (萬古) [만:고]

한자: 萬(일만 만:), 古(예 고:)

「1」매우 먼 옛날.
「2」아주 오랜 세월 동안.
「3」세상에 비길 데가 없음.

용례:

  • 「1」만고로부터 내려오는 풍습.
  • 「2」만고의 진리.
  • 「2」만고에 망하지 아니한 나라가 없고 천하에 죽지 아니한 사람 있던가.≪김구, 백범일지≫
  • 「2」그 소리 한마디 나오기가 어렵기란, 아마도 만고를 두고 노소 없이, 또 사정과 예외를 통틀어 넣고 일반인가 봅니다.≪채만식, 태평천하≫
  • 「3」만고의 영웅.
  • 「3」만고의 충신.
  • 「3」그의 품속에 들어 있는 백서의 내용은 이 낭설을 뒷받침하는 것이 되어 그는 만고의 역적으로 능지처참을 당하고 말았다. ≪한무숙, 만남≫

6. 몽고 (蒙古) [몽고]

한자: 蒙(어두울 몽), 古(예 고:)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 몽골고원의 북쪽에 있는 공화국. 13세기 칭기즈 칸의 통솔 아래 세력이 커지기 시작하여, 중국 대륙과 주위 여러 지역을 평정하여 원(元) 제국을 이루었으나, 그 후 세력이 약화되어 중국의 지배를 받아 오다가 1921년 소련의 원조로 혁명을 일으켜 독립하고 1924년 공화국이 되었다. 집단 경영에 의한 농목업이 발달하였고, 양모ㆍ피혁 따위를 주로 생산하며, 주민은 몽골인이고 주요 언어는 몽골어이다. 수도는 울란바토르, 면적은 156만 5000㎢.

7. 복고 (復古) [복꼬]

한자: 復(회복할 복), 古(예 고:)

「1」과거의 모양, 정치, 사상, 제도, 풍습 따위로 돌아감.
「2」손실 이전의 상태로 회복함.

용례:

「1」소위 명치 왕정 복고 이후 백성들의 생활은 지금까지도 형편없었다.≪유현종, 들불≫

8. 상고 (上古) [상:고]

한자: 上(윗 상:), 古(예 고:)

「1」아주 오랜 옛날.
「2」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문헌을 통하여 알 수 있는 한에서 가장 오래된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고조선 때부터 삼한 시대까지의 시기를 이른다.

용례:

「1」제가 삼한 역대의 관제를 살펴보매 상고의 것은 아득하여 잘 알 길이 없었으나….≪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9. 상고 (尙古) [상:고]

한자: 尙(오히려 상(:)), 古(예 고:)

옛날의 문물이나 사상, 제도 따위를 귀하게 여김.

용례:

상고 정신에 투철하여 전 시대의 선비 풍모가 의연했던 조부와는 달리….≪김원일, 불의 제전≫

10. 숭고 (崇古) [숭고]

한자: 崇(높을 숭), 古(예 고:)

옛 문물을 높여 소중히 여김.

11. 억만고 (億萬古) [엉만고]

한자: 億(억[數字] 억), 萬(일만 만:), 古(예 고:)

억만년 전의 옛날이라는 뜻으로, 매우 아득한 옛날이나 매우 오래된 세월을 이르는 말.

용례:

공자님과 맹자님이 누가 기운이 더 세었던지 모르겠다는 말은, 윤 직원 영감이 창조해 낸 억만고의 수수께끼랍니다.≪채만식, 태평천하≫

12. 전고 (前古) [전고]

한자: 前(앞 전), 古(예 고:)

지나간 옛날.

용례:

  • 전고에 드물다.
  • 전고에 듣지 못하다.
  • 전고에 없던 일이다.
  • 지금 우리는 전고에 일찍이 없던 국난을 당하고 있다.≪박종화, 임진왜란≫
  • 대장 같으신 전고에 드문 영웅을 하느님께서 이 세상에 내실 때 일생을 그렇게 허무하게 마치시라고 내셨을 리가 있습니까.≪홍명희, 임꺽정≫

13. 전만고 (前萬古) [전만고]

한자: 前(앞 전), 萬(일만 만:), 古(예 고:)

아주 먼 옛날부터 지금에 이르는 동안.

용례:

  • 그것은 전만고에 없던 희한한 사건이었다.
  • 잔약한 배로 삼백여 척의 적선을 거꾸러뜨렸다는 이 사실은 전만고 역사에 없는 일이다.≪박종화, 임진왜란≫

14. 중고 (中古) [중고]

한자: 中(가운데 중), 古(예 고:)

「1」이미 사용하였거나 오래됨.
「2」좀 오래되거나 낡은 물건.
「3」그리 오래지 아니한 옛날.
「4」역사의 시대 구분의 하나로, 상고(上古)와 근고(近古)의 중간 시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 때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의 시기를 이른다.

용례:

  • 「1」중고 가구.
  • 「1」중고 자동차.
  • 「2」그 피아노는 중고였지만 음색이 좋았다.
  • 「2」그는 중고이긴 하지만 차를 굴린다.

15. 천고 (千古) [천고]

한자: 千(일천 천), 古(예 고:)

「1」아주 먼 옛적.
「2」아주 오랜 세월 동안.
「3」오랜 세월을 통하여 그 종류가 드문 일.

용례:

  • 「1」천고의 전설.
  • 「1」천고의 비밀을 안고 흐르는 강물.
  • 「1」이에 경호는 천고의 의문을 푼 것 같은 가뜬한 마음으로 기회를 엿보았다.≪이기영, 고향≫
  • 「2」천고에 씻지 못할 한.
  • 「2」천고에 풀기 어려운 수수께끼.
  • 「2」천고에 없는 불효자.
  • 「2」천고에 길이 빛날 역사적인 사건.
  • 「2」봉숙은 천고에 얻기 어려운 지기를 얻은 듯이 혼자 기뻐하였다.≪한용운, 흑풍≫
  • 「2」날아갈 듯한 주란화각 위에는 푸른 기운이 흐를 듯한 청기와로 지붕을 덮으니, 백성들은 천고에 이만한 사치를 구경을 해 본 일이 없다. ≪박종화, 금삼의 피≫
  • 「3」천고의 미색.
  • 「3」천고의 영웅.

16. 천만고 (千萬古) [천만고]

한자: 千(일천 천), 萬(일만 만:), 古(예 고:)

아주 오랜 옛적.

용례:

그런 일은 천만고에도 없던 일이다.

17. 최고 (最古) [최:고]

한자: 最(가장 최:), 古(예 고:)

가장 오래됨.

용례: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

18. 태고 (太古) [태고]

한자: 太(클 태), 古(예 고:)

아득한 옛날.

용례:

  • 태고의 신비.
  • 태고의 비밀을 그대로 간직한 땅.
  • 그곳은 사람의 흔적이 전혀 없어 태고의 모습 그대로이다.
  • 이 땅은 태고 때부터 우리 민족이 살던 곳이다.

19. 회고 (懷古) [회고]

한자: 懷(품을 회), 古(예 고:)

옛 자취를 돌이켜 생각함.

용례:

그녀가 지향하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고풍한 세계-나와는 정반대로 과거의 세계, 회고의 세계-그런 것임을 어렴풋이 직감했기 때문이다.≪이제하, 유자약전≫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