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련미 (可憐美) [가:련미]
한자: 可(옳을 가:), 憐(불쌍히여길 련), 美(아름다울 미(:))
가엾고 불쌍한 데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남자라면 한번쯤 청순하고 단아한 여인이 자기 곁에 있기를 꿈꿔 본다. 약간의 가련미까지 갖추면 금상첨화겠다.≪서울신문 2006년 2월≫
- 여주인공들은 극단적인 가련미를 자랑해야 했고, 이를 가능케 하는 소재로 불치병이 쓰였다.≪주간동아 2009년 12월≫
2. 각선미 (脚線美) [각썬미]
한자: 脚(다리 각), 線(줄 선), 美(아름다울 미(:))
다리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매끈한 각선미.
3. 간결미 (簡潔美) [간결미]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潔(깨끗할 결), 美(아름다울 미(:))
글이나 말 따위에 군더더기가 없이 간단하고 깔끔한 데서 볼 수 있는 아름다움.
용례:
문장이 간결미가 있다.
4. 개방미 (開放美) [개방미]
한자: 開(열 개), 放(놓을 방(:)), 美(아름다울 미(:))
탁 트인 공간이나 자유롭게 드나들거나 교류하는 곳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개방미는 바다를 낀 국제 항구 도시의 특징에서 기인한다.≪매일신문 2008년 11월≫
- 부산미의 뿌리는 생각보다 간단하고 명료하다. 그것은 곧 ‘민중미’와 ‘실질미’, ‘저항미’, ‘개방미’라는 네 갈래 범주로 정리됐다.≪부산일보 2008년 11월≫
5. 개성미 (個性美) [개:성미]
한자: 個(낱 개(:)), 性(성품 성:), 美(아름다울 미(:))
다른 사람이나 개체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이 드러나는 아름다움.
용례:
- 수목은 각각의 개성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고유의 성질과 특성을 파악하여 그 지역에서 적응할 수 있는 수종을 선정해야 한다.≪연합뉴스 1990년 2월≫
- 사람들은 ‘나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추구하면서 개성미를 맘껏 뽐내고 싶어 한다.≪매일신문 2010년 12월≫
6. 건강미 (健康美) [건:강미]
한자: 健(굳셀 건:), 康(편안 강), 美(아름다울 미(:))
건강한 몸에 나타나는 육체의 아름다움.
용례:
- 건강미가 넘치다.
- 난 한마디로 말해 그녀의 건강미에 반하였다.
- 오히려 볕에 탄 갈색 피부가, 그녀에게는 뜻밖에도 싱싱한 건강미로 돋보이는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7. 건축미 (建築美) [건:충미]
한자: 建(세울 건:), 築(쌓을 축), 美(아름다울 미(:))
건축물이 지닌 아름다움.
용례:
- 남대문의 우아하면서도 날렵한 건축미.
- 건축미를 자랑하다.
8. 경건미 (敬虔美) [경:건미]
한자: 敬(공경 경:), 虔(공경할 건:), 美(아름다울 미(:))
삼가고 엄숙한 분위기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 고딕 양식으로 지어진 교회는 누가 봐도 성스러움과 경건미를 한눈에 느낄 수 있다.
- 현관 맞은편 벽에 걸려 있는 그림은 전시 효과와 함께 경건미를 풍겨 주었다.
9. 계곡미 (溪谷美) [계공미]
한자: 溪(시내 계), 谷(골 곡), 美(아름다울 미(:))
개울이 흐르는 골짜기들이 지니는 아름다운 풍경.
용례:
그 골짜기는 계곡미와 단풍이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곳이다.
10. 고전미 (古典美) [고:전미]
한자: 古(예 고:), 典(법 전:), 美(아름다울 미(:))
고전적인 아름다움.
용례:
- 고전미를 지니다.
- 고전미를 풍기다.
- 영춘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분매(盆梅)에는 담담한 가운데 창연한 고전미가 보이는 것이 말할 수 없이 청고해서 좋다.≪김진섭, 인생 예찬≫
11. 고졸미 (古拙美) [고:졸미]
한자: 古(예 고:), 拙(졸할 졸), 美(아름다울 미(:))
기교는 없으나 예스럽고 소박한 데서 나오는 아름다움.
용례:
- 우리가 현란한 단청이나 거창한 규모보다는 약간 퇴락함으로써 역사성과 고졸미를 지닌 사찰을 찾아보기를 원한다면 바로 봉정사 대웅전이 제격이다.≪매일신문 2007년 1월≫
- 이번 전시에서는 백자 달항아리에 담겨 하얗게 꽃망울을 터뜨는 봄꽃, 고졸미가 넘치는 야생화 등을 담아낸 작품 50여 점이 소개된다.≪한국경제 2007년 3월≫
12. 곡선미 (曲線美) [곡썬미]
한자: 曲(굽을 곡), 線(줄 선), 美(아름다울 미(:))
곡선에 나타나는 아름다움. 또는 곡선으로 표현되는 아름다움.
용례:
- 한국 도자기에 나타나는 우아하고 아름다운 곡선미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 이 차는 세계적인 유행에 맞게 곡선미를 강조하고 있다.
- 산과 산의 연봉이 뚜렷한 곡선미를 그린다.
13. 공간미 (空間美) [공간미]
한자: 空(빌 공), 間(사이 간(:)), 美(아름다울 미(:))
천연물이나 그림, 조각, 건축 따위에서 공간적 형식으로 나타나는 미.
14. 공포미 (恐怖美) [공:포미]
한자: 恐(두려울 공(:)), 怖(두려워할 포), 美(아름다울 미(:))
공포 속에서 느끼는 아름다움.
용례:
- 그 형상을 직접 보는 사람은 돌로 변하는 그리스 신화 속의 메두사에게서는 공포미가 느껴진다.
- 섹시미와 공포미를 동시에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 앵커 우먼이 화제의 인물로 떠올랐다.≪팝뉴스 2012년 2월≫
15. 과즙미 (果汁美) [과:즘미]
한자: 果(실과 과:), 汁(즙 즙), 美(아름다울 미(:))
상큼하고 발랄해 보이는 아름다움을 신선한 과즙에 빗대어 이르는 말.
용례:
- OOO의 상큼한 과즙미가 시선을 사로잡았다.≪충청일보 2016년 6월≫
- 이는 고등학교 졸업식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으로, 과즙미를 팡팡 터트리는 OOO의 교복 자태가 눈길을 끈다.≪매일경제 2019년 3월≫
16. 관능미 (官能美) [관능미]
한자: 官(벼슬 관), 能(능할 능), 美(아름다울 미(:))
성적인 쾌감을 자극하는 아름다움.
용례:
- 청순미와 관능미를 겸비한 여배우.
- 그녀는 관능미가 넘쳐흐른다.
17. 교양미 (敎養美) [교:양미]
한자: 敎(가르칠 교:), 養(기를 양:), 美(아름다울 미(:))
교양이 있어 저절로 풍기는 아름다움.
용례:
- 새로 부임한 선생님은 교양미가 넘친다.
- 진정한 아름다움은 교양미와 같은 정신적인 데에 있다.
18. 구미 (歐美) [구미]
한자: 歐(구라파/칠 구), 美(아름다울 미(:))
「1」유럽주와 아메리카주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유럽과 미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그는 젊은 시절 구미의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서양 문화를 몸으로 체험했다.
- 「1」이 호신부는 한국인만 쓰는 것이 아니다. 동양 문화권 내의 민족은 물론, 구미 각국의 겨레들도 형태는 다르지만 거의 쓰고 있은 상황이다.≪김성배, 한국의 민속, 집문당, 1980년≫
- 「1」지금은 국제적 거리가 단축되어 세계가 좁아졌고 손쉽게 외국엘 나갈 수가 있다 하건만 그 흔한 구미 여행을 한번 해 보지 못하고 늙는 나다.≪신석초, 시는 늙지 않는다, 융성 출판, 1985년≫
- 「1」구미 제국에서 정당의 성립이 많은 국민들의 공공 문제에의 참여 요구, 말하자면 민주화에의 요구가 비등해진 시기와 때를 같이했던 것은 우연이 아니다.≪김흥규 외, 함께 걷는 이 길은, 한샘 출판 주식회사, 1993년≫
- 「1」구미 선진국에는 예술가의 집이 오랜 세월 훼손됨이 없이 보존되어 있어 예술가의 작품뿐 아니라 그 생애마저 고스란히 보존되어 문화의 향기를 그윽하게 풍겨 주고 있는데….≪유재용, 아버지의 강, 문학 사상사, 1986년≫
- 「1」아버지는 딸이 구미가 아니라 동양에 눈을 돌리고 공부하려고 하는 자세가 반갑고 자랑스럽다고 하시며, 유학에 드는 모든 비용을 대주겠다고 하셨다.≪레이디경향 1994년 11월≫
- 「2」경제적인 성장 모형은 핵심에 해당하는 구미에서 구하면서, 정치적 형태는 주변인 제삼 세계적 부조리를 답습하거나….≪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2」구미 사람은 설보다 크리스마스를 크게 친다. 학생들의 새 학년도는 정월이 아니다.≪설창수, 설창수 전집, 시문학사, 1986년≫
- 「2」구미(歐美)에서는 웬만한 문학인은 각각 다 애호가회가 구성되어 있다. 이 애호가회가 모든 기념사업이나 행사를 주도하고 주관한다.≪김성우, 문화의 시대, 민음사, 1994년≫
- 「2」구미 기업들이 시장을 다양한 상품으로 꽉 채워진 사치와 낭비의 바구니로 본다면 일본 기업가들은 시장을 고객 자신들이 채워 갈 여백으로 본다.≪김찬호 외, 여백의 질서, 일굼, 1993년≫
- 「2」구미(歐美) 선진 민주 국가들은 모두 상향식 공천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중앙일보 2001년 1월≫
19. 구성미 (構成美) [구성미]
한자: 構(얽을 구), 成(이룰 성), 美(아름다울 미(:))
문학 작품, 미술 작품 따위의 구성이 조화로운 데서 느끼는 아름다움.
용례:
- 신화적 모티브를 단순 활용함에 그치지 않고 신화적 구조, 원형 등을 적절히 안배해 소설의 구성미를 돋보이게 하고 의미를 심오하게 했다.≪독서신문 2010년 6월≫
- 추사체는 한 글자 한 글자 형태보다 전체의 구성미가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전체의 짜임새를 주목해야 한다.≪시사저널 2006년 10월≫
20. 굴곡미 (屈曲美) [굴공미]
한자: 屈(굽힐 굴), 曲(굽을 곡), 美(아름다울 미(:))
이리저리 굽어 꺾여 있는 데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특히 가녀린 몸에 비해 풍만한 가슴선과 잘록한 허리는 여체의 굴곡미를 그대로 보여 주면서 네티즌들로부터 ‘최고의 비키니 몸매’라는 찬사를 듣고 있다.≪세계일보 2008년 6월≫
- 이번 전시에서는…다섯 명의 도예가가 나서 후덕한 선과 넉넉한 굴곡미가 아름다운 조선백자를 양구 백토로 재창조, 각자의 작품 세계 속에 담아내고 있다.≪강원일보 2009년 12월≫
21. 균형미 (均衡美) [균형미]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美(아름다울 미(:))
균형이 알맞게 잘 잡힌 데서 우러나오는 아름다움.
용례:
- 석굴암은 놀라운 정교함과 심오한 균형미를 자랑한다.
- 그녀는 수영과 미용 체조로 단련해서인지 균형미가 돋보였다.
22. 근육미 (筋肉美) [그늉미]
한자: 筋(힘줄 근), 肉(고기 육), 美(아름다울 미(:))
잘 발달되어 있는 몸의 근육에 대해 느끼는 아름다움.
용례:
- 이 대리석 조각은 전체적으로 신체 곡선이 유연해 인체의 부드러움과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특히 팔다리가 유연하면서도 근육미를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동아일보 2001년 8월≫
- 이 할머니는 줄곧 헬스 업종에 종사해 왔으며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육두박근을 보유하며 멋진 근육미를 과시하고 있다.≪내일신문 2011년 5월≫
23. 기능미 (機能美) [기능미]
한자: 機(틀 기), 能(능할 능), 美(아름다울 미(:))
실용적으로 만들어진 물건이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드러나는 아름다움.
용례:
에밀레종의 독특한 양식과 기능미는 신라인의 공예술을 잘 말해 주고 있다.
24. 남미 (南美) [남미]
한자: 南(남녘 남), 美(아름다울 미(:))
아메리카 대륙의 남부.
25. 남성미 (男性美) [남성미]
한자: 男(사내 남), 性(성품 성:), 美(아름다울 미(:))
체격이나 성질에서 남성만이 갖는 특유의 아름다움.
용례:
남성미가 넘치다.
26. 내용미 (內容美) [내:용미]
한자: 內(안 내:), 容(얼굴 용), 美(아름다울 미(:))
글, 그림, 음악 따위가 내포하고 있는 아름다움. 예술품이 표현하는 감정, 힘 따위를 이른다.
용례:
이 작품은 형식적으로는 보잘것없으나 강렬한 내용미를 갖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27. 노숙미 (老熟美) [노:숭미]
한자: 老(늙을 로:), 熟(익을 숙), 美(아름다울 미(:))
오랜 경험을 통한 익숙함에서 드러나는 아름다움.
용례:
- 나이에 맞지 않는 옷으로 노숙미를 발산한다거나 지나치게 붙는 옷으로 감출 수 없는 ‘덩치발’이 강조되는 실수를 범하기도 한다.≪한국경제 2008년 5월≫
- 하지만 정신없는 레이스가 섹시미보다 노숙미를 발산했다.≪스포츠서울 2009년 11월≫
28. 노출미 (露出美) [노출미]
한자: 露(이슬 로(:)), 出(날[生] 출), 美(아름다울 미(:))
겉으로 드러나거나 드러냄으로써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 ‘그네의 행복한 우연자’란 말이 있듯이 남자들은 그네를 타는 여인들에게서 육체의 노출미를 즐길 수 있었기 때문이다.≪경향신문 1971년 12월≫
- 신인 여우상을 수상하면서 ‘대종상 시상식장은 처음’이라고 소감을 밝힌 OOO은 가슴을 조개 모양으로 가린 인어 드레스를 입고 등장, 은근한 노출미를 자랑했다.≪조이뉴스24 2008년 6월≫
29. 늠름미 (凜凜美) [늠:늠미]
한자: 凜(찰 름), 凜(찰 름), 美(아름다울 미(:))
생김새나 태도가 의젓하고 당당한 대상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두 사람은 폭풍 성장 한 모습으로 남다른 늠름미를 자랑했다.≪뉴스엔 2019년 8월≫
30. 단순미 (單純美) [단순미]
한자: 單(홑 단), 純(순수할 순), 美(아름다울 미(:))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데서 드러나는 아름다움.
용례:
- 교수·의사 등 전문직은 절제와 단순미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매일경제 2000년 9월≫
- 세련되고 보기에 아름다운 라인은 단순미를 가미해 외출복은 물론 사무실 근무복으로도 손색이 없다.≪스포츠서울 2011년 2월≫
31. 단정미 (端正美) [단정미]
한자: 端(끝 단), 正(바를 정(:)), 美(아름다울 미(:))
얌전하거나 차분하고 바른 데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
용례:
- ‘2008 대한민국 아나운서 대상 시상식’을 찾은 아나운서들의 패션 코드는 바로 단정미와 세련미의 집합체였다.≪오에스이엔 2008년 12월≫
- 그런데…이러한 엄정한 규칙성의 기반에서 나오는 형식미는 균제된 질서에 의한 단정미를 보이기 마련이다.≪최몽룡, 한국 미술의 자생성, 한길아트, 1999년≫
32. 대미 (對美) [대:미]
한자: 對(대할 대:), 美(아름다울 미(:))
‘미국에 대한’의 뜻을 나타내는 말.
용례:
- 대미 무역.
- 대미 의존도.
- 대미 무역 적자.
- 대미 자동차 수출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33. 도미 (渡美) [도미]
한자: 渡(건널 도), 美(아름다울 미(:))
미국으로 건너감.
용례:
도미 유학.
34. 독창미 (獨創美) [독창미]
한자: 獨(홀로 독), 創(비롯할 창:), 美(아름다울 미(:))
다른 것에서는 드러나지 아니하는 새로운 아름다움.
용례:
이 작품에는 그 작가만의 독창미가 결여되어 있었다.
35. 동양미 (東洋美) [동양미]
한자: 東(동녘 동), 洋(큰바다 양), 美(아름다울 미(:))
동양의 특색을 지닌 아름다움.
용례:
담백한 수묵화나 분청자기에서 보이는 동양미에 심취하다.
36. 막내미 (막내美) [망내미]
한자: 美(아름다울 미(:))
말이나 행동 따위에서 막내만이 갖는 특유의 아름다움.
용례:
OOO은 특유의 귀여움과 막내미로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받고 있다.≪뉴스타운 2016년 6월≫
37. 멍뭉미 (멍뭉美) [멍뭉미]
한자: 美(아름다울 미(:))
외모나 분위기 따위에서 느껴지는 강아지 같은 귀여움.
용례:
- 사진 속에서 OOO은 귀여운 강아지를 연상시키는 사랑스러운 미소와 뽀얀 피부로 ‘멍뭉미’를 발산한다.≪아주경제 2016년 5월≫
- 동그란 눈망울과 강아지를 연상시키는 귀여운 표정으로 ‘멍뭉미’까지 자아내고 있다.≪스포츠투데이 2016년 8월≫
38. 반미 (反美) [반:미]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美(아름다울 미(:))
미국에 반대함. 또는 미국에 반대되는 것.
용례:
- 반미 감정.
- 반미 구호.
39. 반항미 (反抗美) [반:항미]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抗(겨룰 항:), 美(아름다울 미(:))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것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배우 OOO은 그동안 출연한 영화에서 톡톡 튀는, 살아 있는 듯한 반항미가 매력으로 느껴지는 배역으로 관객들과 만나 왔다.≪스포츠조선 2001년 1월≫
- 반항미 물씬한 청바지가 청년 패션의 주류로 등극한 것도 이때였다.≪한국경제 2003년 4월≫
40. 방미 (訪美) [방:미]
한자: 訪(찾을 방:), 美(아름다울 미(:))
미국을 방문함. 또는 그런 일.
용례:
- 하벨 대통령의 미국 방문은 정치적 의미도 중요하지만 지난번 바웬사 폴란드 자유 노조 지도자의 방미 때처럼 그동안 세계인을 놀라게 한 동구 정세 변화의 상징이라는 면에서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연합뉴스 1990년 2월≫
-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추이 부부장과 미국 정부 관계자들이 양국의 화해를 모색하고, 후진타오 국가 주석의 방미 문제도 협의할 것으로 예상했다.≪한겨레 2010년 8월≫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