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인조미 (人造美) [인조미]
한자: 人(사람 인), 造(지을 조:), 美(아름다울 미(:))
사람의 손길로 만들어진 아름다움.
용례:
- 2번 홀은 심한 내리막, 4번 홀은 내려가다가 다시 오르막으로 이어지는 등 코스 전체가 인조미보다 자연미를 살린 것이 특징이다.≪경향신문 2005년 6월≫
- 그녀는 더구나 성형 중독의 심각성은 자각하지 못한 채 티 나게 고치는 인조미를 찬양하며, 자신의 변해 가는 얼굴 모습을 연도별로 미니 홈피에 올려 보는 사람들을 더욱 경악게 했다.≪한국일보 2012년 9월≫
82. 입체미 (立體美) [입체미]
한자: 立(설 립), 體(몸 체), 美(아름다울 미(:))
조각, 건축, 공예 따위의 입체 형상에 나타난 아름다움.
83. 자연미 (自然美) [자연미]
한자: 自(스스로 자), 然(그럴 연), 美(아름다울 미(:))
「1」사람의 손길이 가지 아니한 본래의 아름다움.
「2」자연 경치의 아름다움.
용례:
- 「1」자연미가 넘치다.
- 「1」그 여자는 꾸미지 않은 자연미가 매력이다.
- 「2」하늘가에는 낙조에 물든 저녁놀이 영롱하게 피어오른다. 갑숙이는 한동안 홀린 듯이 산수의 자연미를 바라보았다.≪이기영, 고향≫
84. 장중미 (莊重美) [장중미]
한자: 莊(씩씩할 장), 重(무거울 중:), 美(아름다울 미(:))
장중한 느낌. 또는 장중한 아름다움.
용례:
30분 남짓, 북벽교를 건너게 되는데 그 일대가, 깎아지른 절벽이 장중미를 더하는 북벽(北壁)이다.≪경향신문 2006년 11월≫
85. 재료미 (材料美) [재료미]
한자: 材(재목 재), 料(헤아릴 료(:)), 美(아름다울 미(:))
예술적 표현물에서, 가공하지 아니한 재료 그대로의 아름다움.
용례:
이 조형물은 재료미를 잘 살린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86. 재미 (在美) [재:미]
한자: 在(있을 재:), 美(아름다울 미(:))
미국에 살고 있음.
용례:
- 재미 한국인.
- 재미 동포.
- 재미 과학자.
- 재미 작가.
87. 전통미 (傳統美) [전통미]
한자: 傳(전할 전), 統(거느릴 통:), 美(아름다울 미(:))
전통적으로 전하여 내려오는 아름다움.
용례:
전통미를 살린 건축물.
88. 절제미 (節制美) [절쩨미]
한자: 節(마디 절), 制(절제할 제:), 美(아름다울 미(:))
정도에 넘지 아니하고 알맞은 가운데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절제미를 갖추다.
- 이 풍경화에는 고풍스럽고 소박한 절제미가 담겨 있다.
89. 정신미 (精神美) [정신미]
한자: 精(정할 정), 神(귀신 신), 美(아름다울 미(:))
정신적인 아름다움.
용례:
- 산수화의 아름다움은 풍경미를 재현하는 정신미의 깊이에서 우러나는 것 같다.≪동아일보 1978년 9월≫
- 예술가는 건전한 정신의 소유자이고, 가장 건전한 정신미의 발휘자이다.≪국민일보 2001년 2월≫
90. 정원미 (庭園美) [정원미]
한자: 庭(뜰 정), 園(동산 원), 美(아름다울 미(:))
집 안에 있는 뜰이나 꽃밭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한국 정원미의 전형으로 꼽히는 창덕궁 후원은 1997년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동아일보 2004년 4월≫
- 이곳에 있는 OO 정원은 사쿠라지마 화산을 석가산으로, 가고시마 만을 연못으로 가정해 만든 차경 정원이다. 일본의 전통적 정원미가 돋보인다.≪국민일보 2009년 11월≫
91. 정형미 (定型美) [정:형미]
한자: 定(정할 정:), 型(모형 형), 美(아름다울 미(:))
일정한 형식이나 틀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그의 작품은 현대 발레이면서도 고전적 정형미를 간직한다.≪연합뉴스 2005년 2월≫
- 그러나 백조의 날개를 표현하는 팔의 각도처럼 세밀한 부분까지 일치하지는 않아 작품 특유의 정형미를 완벽히 구현하는 데는 부족했다.≪동아일보 2010년 12월≫
92. 조각미 (彫刻美) [조강미]
한자: 彫(새길 조), 刻(새길 각), 美(아름다울 미(:))
재료를 새기거나 깎아서 만든 입체 형상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석등은 통일 신라 시대 당시의 뛰어난 조각미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유물로 꼽힌다.≪매일경제 2002년 5월≫
- 온전하게 전하는 큰 조상(彫像)이 별로 없는 사정은 우리 고대 조각미의 원형을 그대로 확인시켜 주는 이 작은 것들을 더욱 귀하게 느끼게 한다.≪매일신문 2009년 1월≫
93. 조망미 (眺望美) [조망미]
한자: 眺(볼 조:), 望(바랄 망:), 美(아름다울 미(:))
멀리 펼쳐져 보이는 경치의 아름다움.
용례:
- 산행 팀은 암봉 타기와 동해를 보는 조망미, 옥계 계곡을 다 맛보는 3박자를 골고루 갖춘 코스를 꾸몄다.≪부산일보 2011년 7월≫
- 이 산은 높이가 낮은 데다, 산줄기가 부챗살처럼 펼쳐진 천성산에 비해 산행이 밋밋하다.… 하지만 정상의 확 트인 조망미는 결코 어느 산 못지않은 빼어난 매력이 있다.≪부산일보 2011년 8월≫
94. 조형미 (造形美) [조:형미]
한자: 造(지을 조:), 形(모양 형), 美(아름다울 미(:))
어떤 모습을 입체감 있게 예술적으로 형상하여 표현하는 아름다움.
용례:
도시의 조형미를 추구하는 작가의 실험 정신이 첨예하게 드러난 작품들.≪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95. 조화미 (調和美) [조화미]
한자: 調(고를 조), 和(화할 화), 美(아름다울 미(:))
서로 잘 어울려 모순됨이나 어긋남이 없이 잘 어울리는 아름다움.
용례:
젖빛으로 흰 둥근 항아리와 넘치게 꽂은 연보랏빛 들국화의 예사롭지 않은 조화미에 김범우의 눈은 놀라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96. 주미 (駐美) [주:미]
한자: 駐(머무를 주:), 美(아름다울 미(:))
직무상 임무를 맡아 미국에 머무름.
용례:
- 주미 대사.
- 주미 프랑스 대사관.
97. 중남미 (中南美) [중남미]
한자: 中(가운데 중), 南(남녘 남), 美(아름다울 미(:))
‘중미’(中美)와 ‘남미’(南美)를 아울러 이르는 말.
98. 중미 (中美) [중미]
한자: 中(가운데 중), 美(아름다울 미(:))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 대륙을 연결하는 좁은 지대. 지리적으로는 멕시코 남부의 테우안테펙 지협에서 파나마 지협까지의 지역을 이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멕시코 남부를 제외한 과테말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벨리즈를 이른다.
99. 지성미 (知性美) [지성미]
한자: 知(알 지), 性(성품 성:), 美(아름다울 미(:))
지적인 사고와 언행을 하는 사람에게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지성미가 넘치다.
- 옷은 비록 남루하게 입었으나, 사나이는 대화 속에 분명히 교양과 지성미를 풍기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 이지적인 코, 서늘하면서도 날카로운 눈이 듣던 대로 지성미를 풍겼다.≪최일남, 골방≫
100. 진선미 (眞善美) [진선미]
한자: 眞(참 진), 善(착할 선:), 美(아름다울 미(:))
참됨, 착함, 아름다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진선미를 모두 갖춘 여인.
- 아무리 가치가 혼란해 있다고 해도 진선미의 가치는 부동한 게 아니겠나.≪이병주, 지리산≫
101. 찬미 (讚美) [찬:미]
한자: 讚(기릴 찬:), 美(아름다울 미(:))
아름답고 훌륭한 것이나 위대한 것 따위를 기리어 칭송함.
용례:
- 관객들은 훌륭한 연기를 한 배우에게 환호와 찬미를 아끼지 않았다.
- 우리 눈이 그것을 보는 때에, 우리의 귀는 생의 찬미를 듣는다.≪민태원, 청춘 예찬≫
102. 참신미 (斬新美) [참:신미]
한자: 斬(벨 참(:)), 新(새 신), 美(아름다울 미(:))
새롭고 산뜻한 데서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 정치 경력을 앞세운 노련미와 개혁과 전문성을 앞세운 참신미의 대결을 관전하는 것은 흥미롭다.≪머니투데이 2004년 4월≫
- 20세기 문학에 참신미를 가하고 비정한 문체를 구사, 인간의 절망이나 허무감을 기교적으로 묘파한 헤밍웨이는 만년에 창작 활동도 뜸해졌고 노이로제 증세로 인해 엽총으로 자살, 생을 마감했다.≪성낙수 외, 중학생이 알아야 할 동서양 고전, 신원문화사, 1998년≫
103. 청량미 (淸涼美) [청냥미]
한자: 淸(맑을 청), 涼(서늘할 량), 美(아름다울 미(:))
맑고 시원한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
용례:
- 윙크를 하며 브이를 그리는 모습에서 청량미가 물씬 풍긴다.≪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도 청량미를 발산할 수 있는 컬러감의 투피스다.≪비엔티뉴스 2022년 7월≫
104. 청순미 (淸純美) [청순미]
한자: 淸(맑을 청), 純(순수할 순), 美(아름다울 미(:))
깨끗하고 순수한 대상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그녀는 화장기 없는 얼굴에 긴 생머리를 유지하고 있어 청순미를 가진 여배우의 대명사로 불리기도 했다.
- 칠흑 같은 머릿결에 어울리는 겁먹은 어린아이 같은 눈동자는 40대 중반을 넘긴 나이에도 불구하고 어린 소녀의 청순미를 느끼게 한다.≪이원석, 성공을 부르는 관상성형, 열매출판사, 2004년≫
105. 체형미 (體形美) [체형미]
한자: 體(몸 체), 形(모양 형), 美(아름다울 미(:))
몸의 모양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체형미를 살리는 여성스러운 분위기와 섬세한 장식을 특징으로 하는 OOO 씨는 이 컬렉션에 약 3백 점의 작품을 출품할 계획이다.≪연합뉴스 1991년 3월≫
- 150년 후 전 세계의 젊은이들은 체형미가 강조된 진을 입으며 자신이 섹시하거나 터프하다고 믿는다.≪서울경제 2008년 5월≫
106. 축경미 (縮景美) [축꼉미]
한자: 縮(줄일 축), 景(볕 경(:)), 美(아름다울 미(:))
축경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내 주말의 유일한 도락인 돌 찾기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안겨 준다. 자연의 한 부분이 되어 서성거리는 시간의 조용한 기쁨이 그 하나요, 돌에서 배우는 자연의 축경미에 새로운 형상성을 느끼고 문득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것이 다른 하나다.≪동아일보 1988년 11월≫
- 특히 호수석은 축경미가 사람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고 요즘 같은 설 명절을 앞둔 때 고향의 정취를 느끼게 하는 수석이다.≪세계일보 2009년 1월≫
107. 친미 (親美) [친미]
한자: 親(친할 친), 美(아름다울 미(:))
미국과 친하게 지냄.
용례:
- ‘친일’에서 ‘친미’로 돌변한 모습을 보고 그를 ‘변절의 천재’인 것처럼 비난하는 것은 오히려 어리석다.≪프레시안 2010년 11월≫
- 리비아 반정부군 요직에 미국과 인연이 깊은 인물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친미’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세계일보 2011년 3월≫
108. 탈미 (脫美) [탈미]
한자: 脫(벗을 탈), 美(아름다울 미(:))
미국의 영향력이나 미국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남. 또는 미국 중심의 가치관에서 벗어남.
용례:
- 그간의 근중(近中)과 탈미는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결과 또한 비슷하게 부정적이다. 중국은 우리를 무시하게 됐고 미국은 저만큼 멀어졌다.≪동아일보 2004년 8월≫
- 북미 대륙의 만년 2인자인 캐나다가 탈미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캐나다는 우선 미국 의존 일변도의 경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애쓰는 눈치다.≪서울신문 2010년 12월≫
109. 퇴폐미 (頹廢美) [퇴폐미]
한자: 頹(무너질 퇴), 廢(폐할/버릴 폐:), 美(아름다울 미(:))
도덕이나 풍속 문화 따위를 벗어난 데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마른 몸매에서 노처녀의 성마름과 요부의 퇴폐미를 동시에 발산해 내는 OOO는 최근 가장 두드러지는 여배우다.≪문화일보 2004년 11월≫
- OOO은 단발 가발과 핫팬츠, 망사 스타킹 등으로 치명적인 퇴폐미를 드러냈다.≪뉴스엔 2012년 6월≫
110. 한국미 (韓國美) [한:궁미]
한자: 韓(한국/나라 한(:)), 國(나라 국), 美(아름다울 미(:))
한국의 아름다움. 또는 한국적인 아름다움.
용례:
한복에는 한국미가 잘 나타나 있다.
111. 함축미 (含蓄美) [함충미]
한자: 含(머금을 함), 蓄(모을 축), 美(아름다울 미(:))
겉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속에 간직하고 있는 아름다움.
용례:
이 시는 함축미가 뛰어나다.
112. 해학미 (諧謔美) [해항미]
한자: 諧(화할 해), 謔(희롱할 학), 美(아름다울 미(:))
미적 범주의 하나.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에서 미의식이 나타난다.
용례:
- 신(新) 시집가는 날은 원작의 해학미를 넘어 가문과 예물을 따지는 현(現) 결혼 풍습까지 일침을 놓는다.≪아주경제 2010년 10월≫
- 보통 17자 안팎으로 글자 수를 제한하는 하이쿠는 극도로 축약된 시이지만 암시적인 시 속에서 느껴지는 해학미는 읽는 이의 무릎을 치게 한다.≪동아일보 2011년 5월≫
113. 현대미 (現代美) [현:대미]
한자: 現(나타날 현:), 代(대신할 대:), 美(아름다울 미(:))
현대의 생활 및 문화 속에서 싹튼 미.
용례:
- 세련된 현대미.
- 현대미가 강조된 그림.
- 미술에서 구상을 거치지 않고 추상을 할 수 없듯이 현대미라는 것도 고유미가 그 축을 이루고 있다.
114. 형태미 (形態美) [형태미]
한자: 形(모양 형), 態(모습 태:), 美(아름다울 미(:))
사물의 겉모양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 형태미를 살리다.
- 기계로 뽑은 것과는 달리 어딘지 자연스럽게 일그러진 그 묘한 바가지의 형태미에는 사람의 손길조차 닿지 않았던 것 같은 원시 그대로의 자연성이 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115. 환상미 (幻想美) [환:상미]
한자: 幻(헛보일 환:), 想(생각 상:), 美(아름다울 미(:))
예술 작품에 나타난 환상적인 아름다움.
용례:
- 환상미를 추구하다.
- 세잔의 작품에는 독특한 환상미가 있다.
116. 희극미 (喜劇美) [히긍미]
한자: 喜(기쁠 희), 劇(심할 극), 美(아름다울 미(:))
미적 범주의 하나. 자연의 이치나 질서, 극의 인물이나 인물이 속한 사회를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비하함으로써 미의식이 나타난다.
용례:
- 시집 전체에 만개해 있는 미친 희극미의 일부분이다.≪한국일보 2005년 5월≫
- 이런 풍자를 통해 가면극의 희극미를 창출해 내며 성장하는 민중 의식을 보여 주는 것이다.≪한겨레 2009년 5월≫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