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2

41. 백치미 (白癡美) [백치미]

한자: 白(흰 백), 癡(어리석을 치), 美(아름다울 미(:))

지능이 낮은 듯하고, 단순한 표정을 지닌 사람이 풍기는 아름다움.

용례:

  • 백치미가 흐르다.
  • 백치미를 풍기다.
  • 그 배우에게선 묘한 백치미마저 느낄 수 있었다.

42. 복식미 (服飾美) [복씽미]

한자: 服(옷 복), 飾(꾸밀 식), 美(아름다울 미(:))

옷의 색깔, 문양, 꾸밈새 따위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올해 한복은…과감한 문양과 자수, 색동 잇기, 화려한 궁중 금박 장식 등이 살아나면서 전통 한복의 화려한 복식미를 뽐내는 것이 트렌드다.≪한국일보 2003년 9월≫
  • 18세기 영국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로코코 후기의 세련되고 우아한 복식미를 철저한 고증으로 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문화일보 2009년 6월≫

43. 북미 (北美) [붕미]

한자: 北(북녘 북), 美(아름다울 미(:))

아메리카 대륙의 북부.

44. 북중미 (北中美) [북쭝미]

한자: 北(북녘 북), 中(가운데 중), 美(아름다울 미(:))

‘북미’와 ‘중미’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미국 달러화를 중심으로 한 북중미 국가들의 경제권이 대두되고 있다.

45. 불미 (不美) [불미]

한자: 不(아닐 불), 美(아름다울 미(:))

아름답지 못하고 추잡함.

용례:

  • 눈에 보이기 시작하는 냉대와 반발이 생긴다는 것은 결국 우리들의 지나간 행동에 불신할 수 있는 불미가 있었던 탓일 것이다.≪정한숙, IYEU도≫
  • 나는 하는 수 없이 나의 불미와 불찰을 사과하고 집으로 돌아가겠다고….≪변영로, 명정 40년≫

46. 비극미 (悲劇美) [비:긍미]

한자: 悲(슬플 비:), 劇(심할 극), 美(아름다울 미(:))

슬프고 애달픈 데서 느끼는 아름다움.

용례:

  • 가느다란 목, 가느다란 몸매에서 어떻게 저런 광역(廣域)의 노래가, 야성의 열창이 빚어져 나올까 의심하는 사이 그의 목에 시퍼렇게 돋아나는 동맥은 우리를 처절 바로 그런 따위의 비극미에까지 끌고 간다.≪동아일보 1978년 4월≫
  • 이승에서 못다 한 인연과 사랑을 맺어 주기 위해 죽은 후에 합장을 해 주어 해원했다는 이야기는 비극미의 극치이긴 하다.≪경향신문 2006년 7월≫

47. 비례미 (比例美) [비:례미]

한자: 比(견줄 비:), 例(법식 례:), 美(아름다울 미(:))

대상의 각 부분 상호 간 또는 전체와 부분 간에 양적으로 일정한 관계가 될 때 드러나는 아름다움.

용례:

  • 여인들의 섬세한 손끝에서 태어난 보자기는 색채와 비례미, 공간 구성에서 가히 유럽의 추상 미술을 뛰어넘는다.≪연합뉴스 2002년 9월≫
  • OOO 작가의 그릇에는 탁월한 비례미와 세련되면서도 힘이 넘치는 선의 아름다움, 절제된 가운데 두드러지는 색감이 담겨 있다.≪스포츠조선 2009년 4월≫

48. 비애미 (悲哀美) [비:애미]

한자: 悲(슬플 비:), 哀(슬플 애), 美(아름다울 미(:))

비애 속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O 소장은 일본의 민속학자 야나기 무네요시가 일제 강점기에 한국의 미를 ‘쓸쓸한 비애미’로 표현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점을 다양한 색채를 사용해 보여 주려 했다.≪프레시안 2005년 7월≫
  • 우리나라의 문화재 보호를 위해 애쓴 약간의 공로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 일본인은 조선 공예의 미를 ‘애상미, 비애미’라고 정의했다.≪오마이뉴스 2008년 3월≫

49. 산악미 (山岳美) [사낭미]

한자: 山(메 산), 岳(큰산 악), 美(아름다울 미(:))

산악의 아름다움.

용례:

장엄한 산악미.

50. 상품미 (商品美) [상품미]

한자: 商(장사 상), 品(물건 품:), 美(아름다울 미(:))

상품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 소비자의 구매욕을 불러일으킨다.

용례:

  •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대중문화에서 대중에게 미의 기준이 되는 것은 예술미라기보다는 상품미이다.≪한국경제 2009년 9월≫
  • O 공예가는 ‘상품미’의 가치로 미니어처와 아기자기한 작품을 선보인다.≪천지일보 2011년 3월≫

51. 성숙미 (成熟美) [성숭미]

한자: 成(이룰 성), 熟(익을 숙), 美(아름다울 미(:))

「1」나이가 들거나 생각이 깊어지면서 어른스럽게 되어 나타나는 아름다움.
「2」경험이나 훈련이 쌓이면서 익숙하게 되어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 「1」성숙미를 풍기다.
  • 「1」그는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성숙미를 더해 갔다.
  • 「2」성숙미가 드러나는 연기.
  • 「2」그는 해가 갈수록 업무에서 성숙미를 발휘하였다.

52. 세공미 (細工美) [세:공미]

한자: 細(가늘 세:), 工(장인 공), 美(아름다울 미(:))

잔손을 많이 들여 정밀하게 만든 작품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세공미와 웅장미에서도 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한국일보 2003년 3월≫
  • 영화는…음악적 요소뿐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뛰어난 세공미를 보여 준다.≪한국일보 2008년 1월≫

53. 소년미 (少年美) [소:년미]

한자: 少(적을 소:), 年(해 년), 美(아름다울 미(:))

외모나 분위기 따위에서 소년만이 갖는 특유의 아름다움.

용례:

날카로운 남성미와 장난기 짙은 소년미를 동시에 드러내며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신예 OOO이 보여 줄 활약에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조선일보 2016년 11월≫

54. 소박미 (素朴美) [소방미]

한자: 素(본디/흴[白] 소(:)), 朴(성(姓) 박), 美(아름다울 미(:))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수수한 아름다움.

용례:

조선의 백자에는 고려의 청자와는 다른 수수하고 서민적인 소박미가 깃들어 있었다.

55. 숭고미 (崇高美) [숭고미]

한자: 崇(높을 숭), 高(높을 고), 美(아름다울 미(:))

숭고한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

용례:

그에게서는 다른 사람이 쉽게 근접할 수 없는 숭고미가 느껴진다.

56. 심미 (審美) [심미]

한자: 審(살필 심(:)), 美(아름다울 미(:))

아름다움을 살펴 찾음.

용례:

이번 동아시아 예술 박람회의 목적은 아시아 고유의 심미 체계를 회복하는 데에 있다.

57. 아재미 (아재美) [아재미]

한자: 美(아름다울 미(:))

중년 남성의 외모나 태도 등에서 풍기는 아름다움.

용례:

  • OOO의 매력으로는 ‘아재미’가 꼽혔다.≪스포츠경향 2016년 5월≫
  • 그중 노래방 에피소드에서는 OOO의 아재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뉴스컬처 2019년 2월≫

58. 압축미 (壓縮美) [압충미]

한자: 壓(누를 압), 縮(줄일 축), 美(아름다울 미(:))

압축하여 좋은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

용례:

  • 잦은 멤버 교체는 작품의 압축미, 일관된 음악적 지향을 찾는 데 걸림돌이 되기도 했다.≪세계일보 2010년 5월≫
  • 한 권의 책에 할애된 지면은 그리 많지 않지만, 압축미는 강력하다.≪경향신문 2010년 12월≫

59. 애상미 (哀傷美) [애상미]

한자: 哀(슬플 애), 傷(다칠 상), 美(아름다울 미(:))

슬프고 감상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아름다움.

용례:

애상미로 관객을 사로잡는 영화.

60. 야성미 (野性美) [야:성미]

한자: 野(들[坪] 야:), 性(성품 성:), 美(아름다울 미(:))

자연 또는 본능 그대로의 모습에서 풍기는 멋.

용례:

  • 야성미가 넘치는 사나이.
  • 야성미가 흐르다.
  • 그녀는 햄버거를 오물거리며 귀엽게 먹었고, 황만돌은 야성미가 풍기는 몸짓으로 쩝쩝거리며 그것을 먹었다.≪김주영, 이장 동화≫

61. 엄숙미 (嚴肅美) [엄숭미]

한자: 嚴(엄할 엄), 肅(엄숙할 숙), 美(아름다울 미(:))

분위기나 의식 따위가 장엄하고 정숙한 데서 느끼는 아름다움.

용례:

  • 태극기의 중심이 하트로 변형되고, 반창고를 붙이거나, 눈을 흘기는 등 다양한 표정을 하고 있는 O 씨의 작품들은 국가의 상징이라는 엄숙미를 떨쳐 버림으로써 관람객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로 다가선다.≪연합뉴스 2005년 8월≫
  • 바다에서 만나는 엄숙미의 세계를 창조해 낸 장본인은 감독 OOO다.≪부산일보 2011년 2월≫

62. 여백미 (餘白美) [여뱅미]

한자: 餘(남을 여), 白(흰 백), 美(아름다울 미(:))

어떠한 공간에 글씨나 그림, 사물 따위를 채우고 남은 빈자리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특정 상황을 연출해 극적 효과를 꾀하면서 인물과 소품 사이의 여백미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한국경제 2000년 10월≫
  • 여백미가 도드라진 신작에선 달빛 머금은 장독대의 은은함도 느껴진다.≪서울경제 2010년 1월≫

63. 여성미 (女性美) [여성미]

한자: 女(계집 녀), 性(성품 성:), 美(아름다울 미(:))

체격이나 성질에서 여성만이 갖는 특유의 아름다움.

용례:

이런 머리형은 얼굴을 작아 보이게 하면서 다사롭고 감미로운 여성미를 잘 표현해 준다.

64. 여유미 (餘裕美) [여유미]

한자: 餘(남을 여), 裕(넉넉할 유:), 美(아름다울 미(:))

사물이나 작품 따위가 넉넉하고 남음이 있는 데서 느끼는 아름다움.

용례:

  • 한복 치마는 폭 넓은 한 장으로 전체를 감싸는 데서 한국 복식의 여유미를 찾을 수 있다.
  • 그림 표현이 우리 민화에서 보여 주는 대범하면서도 서정적인 감성과 우리 고유의 해학적 여유미를 소화한 수준이 뛰어나고 자연스럽다.≪문화일보 2005년 11월≫

65. 연자미 (軟紫美) [연:자미]

한자: 軟(연할 연:), 紫(자줏빛 자), 美(아름다울 미(:))

농촌 진흥청에서 개발한, 껍질을 벗긴 색깔이 연한 자색을 띤 고구마. 항암 효과가 크다.

용례:

  • 연자미는 기존에 보급된 자색고구마와는 달리 쓴맛이 없어 식용이나 식품 가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농민신문 2009년 1월≫
  • 신자미, 보라미, 연자미 품종의 자색고구마는 안토시안 함량이 많고 항산화력과 항암 효과가 높아 음료, 천연 색소, 와인 등 여러 분야에 활용도가 뛰어난 특색을 가지고 있다.≪공감코리아 2009년 10월≫

66. 영미 (英美) [영미]

한자: 英(꽃부리 영), 美(아름다울 미(:))

영국과 미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영미 문학.

67. 영상미 (映像美) [영상미]

한자: 映(비칠 영(:)), 像(모양 상), 美(아름다울 미(:))

영상을 통하여 드러나는 아름다움.

용례:

  • 영상미가 뛰어난 작품.
  • 그 감독의 작품은 영상미가 돋보인다.

68. 예민미 (銳敏美) [예:민미]

한자: 銳(날카로울 예:), 敏(민첩할 민), 美(아름다울 미(:))

차갑고 날카로운 분위기나 외모 따위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각각 예민미와 멍뭉미를 뿜어내며 정반대의 매력을 가진 두 사람 중에서 과연 OOO이 찾던 서방님은 누구인지 궁금증을 불어넣고 있다.≪매일경제 2018년 10월≫
  • 그는 환자들에게는 다정한 ‘천사’이지만 동기들에게는 ‘예민미’를 자주 보이는 반전 매력의 소유자다.≪일간스포츠 2020년 3월≫

69. 완미 (完美) [완미]

한자: 完(완전할 완), 美(아름다울 미(:))

완전하여 결함이 없음.

용례:

완미의 경지에 이르다.

70. 완성미 (完成美) [완성미]

한자: 完(완전할 완), 成(이룰 성), 美(아름다울 미(:))

이루어진 됨됨이가 주는 아름다움.

용례:

경주 불국사는 신라 불교 미술의 완성미를 보여 준다.

71. 웅장미 (雄壯美) [웅장미]

한자: 雄(수컷 웅), 壯(장할 장:), 美(아름다울 미(:))

웅장한 맛. 또는 웅장한 아름다움.

용례:

건축의 웅장미.

72. 원숙미 (圓熟美) [원숭미]

한자: 圓(둥글 원), 熟(익을 숙), 美(아름다울 미(:))

충분히 숙달되어 깊고 원만하게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원숙미를 더하다.
  • 경력 30년이 넘은 가수답게 그의 노래에는 원숙미가 깊게 배어 있다.

73. 유장미 (悠長美) [유장미]

한자: 悠(멀 유), 長(긴 장(:)), 美(아름다울 미(:))

급하지 않고 느긋한 것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용례:

  • 정가(正歌)는…이 때문에 절제미와 유장미는 뛰어나지만 일반인이 의미를 파악하거나 따라 부르기는 쉽지 않아 오늘날 일부 전통 계승자들에 의해서만 명맥을 이어 오고 있다.≪서울신문 2004년 6월≫
  • 그래서 이 노래는 이후 빠른 격정미와 느린 유장미를 아우르는 넓은 스펙트럼의 단조 행진곡풍 민중가요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매일경제 2009년 12월≫

74. 육감미 (肉感美) [육깜미]

한자: 肉(고기 육), 感(느낄 감:), 美(아름다울 미(:))

육체에서 드러나는 성적 느낌을 주는 아름다움.

용례:

  • OOO는…볼륨 있는 몸매로 육감미를 뽐내기도 하고 눈과 코를 찡긋하며 애교를 부리기도 한다.≪한국경제 2003년 10월≫
  • 국내에서도 OOO 등이 영화나 시에프 등을 통해 꼰 다리의 육감미를 유감없이 발휘했다.≪머니투데이 2010년 10월≫

75. 육체미 (肉體美) [육체미]

한자: 肉(고기 육), 體(몸 체), 美(아름다울 미(:))

사람 몸의 아름다움.

용례:

  • 육체미를 강조하다.
  • 육체미를 과시하다.

76. 율동미 (律動美) [율똥미]

한자: 律(법칙 률), 動(움직일 동:), 美(아름다울 미(:))

율동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

용례:

  • 그 운동복 입은 반나체의 곡선미와 율동미!≪염상섭, 모란꽃 필 때≫
  • 발랄한 아가씨들이 흔들어 대는 율동미 넘치는 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77. 익살미 (익살美) [익쌀미]

한자: 美(아름다울 미(:))

남을 웃기려고 일부러 하는 말이나 몸짓 따위에서 느껴지는 멋.

용례:

  • 상경성에서 출토된 도깨비 기와는 날카롭게 튀어나온 송곳니와 길쭉한 혀, 벌름거리는 코 등의 험상궂은 얼굴에 녹색 유약이 입혀져 기괴함과 익살미를 함께 드러낸다.≪한겨레 2005년 6월≫
  • 민화의 익살미가 한껏 살아 있고 동양적인 색채미가 가득한 그림은 그야말로 일품이다.≪한국일보 2011년 11월≫

78. 인격미 (人格美) [인꼉미]

한자: 人(사람 인), 格(격식 격), 美(아름다울 미(:))

인격의 아름다움. 고상한 인격이 드러내는 아름다움을 이른다.

용례:

고상한 인격미를 갖춘 신사.

79. 인공미 (人工美) [인공미]

한자: 人(사람 인), 工(장인 공), 美(아름다울 미(:))

인위적으로 만든 아름다움.

80. 인정미 (人情美) [인정미]

한자: 人(사람 인), 情(뜻 정), 美(아름다울 미(:))

인정이 깃들어 있는 아름다움.

용례:

자기를 맞아 중문 밖까지 나와 기다리고 섰는 아름다운 유 씨를 바라보자, 거룩하고 순결한 인정미에 감동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美 아름다울 미: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