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탄부 (感歎符) [감:탄부]
한자: 感(느낄 감:), 歎(탄식할 탄:),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감탄문이나 감탄사의 끝에 쓰거나, 어구, 평서문, 명령문, 청유문에 특별히 강한 느낌을 나타낼 때, 물음의 말로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낼 때, 감정을 넣어 대답하거나 다른 사람을 부를 때 쓴다.
2. 결자부 (缺字符) [결짜부]
한자: 缺(이지러질 결), 字(글자 자),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옛 비문이나 문헌 따위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 쓰거나,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3. 괄호부 (括弧符) [괄호부]
한자: 括(묶을 괄), 弧(활 호),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소괄호(( )), 중괄호({ }), 대괄호([ ])가 있다.
4. 교부 (交符) [교부]
한자: 交(사귈 교), 符(부호 부(:))
지방 관원의 사무를 인수하고 인계하던 일.
5. 교어부 (交魚符) [교어부]
한자: 交(사귈 교), 魚(고기/물고기 어), 符(부호 부(:))
조선 세종 때에, 궁성(宮城)의 여러 문을 여닫는 데 사용하던 확인 표찰. 둥근 모양의 목재 표찰을 둘로 나누어 수문장이 교대할 때 맞추어 보았다.
6. 귀결부 (歸結符) [귀:결부]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符(부호 부(:))
수의 계산이나 문제를 풀 때에, 귀결된 식의 앞에 쓰는 부호 ‘∴’의 이름.
7. 단오부 (端午符) [다노부]
한자: 端(끝 단), 午(낮 오:), 符(부호 부(:))
단오에 액을 물리친다고 하여 문기둥에 붙이는 부적.
8. 도부 (桃符) [도부]
한자: 桃(복숭아 도), 符(부호 부(:))
중국에서 설날 아침 같은 때에, 마귀를 쫓기 위하여 문짝에 붙이던 작은 나뭇조각. 복사나무로 만들며 길하고 상서로운 문자를 적었다.
용례:
정월 초하룻날이면 꼭 대문에 내다 붙였으니 이것이 도부였다. 복숭아나무 부적인 것이다.≪최명희, 혼불≫
9. 동부 (同符) [동부]
한자: 同(한가지 동), 符(부호 부(:))
「1」부호가 같음. 또는 같은 부호.
「2」부신(符信)이 꼭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음.
10. 면죄부 (免罪符) [면:죄부]
한자: 免(면할 면:), 罪(허물 죄:), 符(부호 부(:))
「1」중세에 로마 가톨릭교회가 금전이나 재물을 바친 사람에게 그 죄를 면한다는 뜻으로 발행하던 증서. 15세기 말기에 산피에트로 대성당 재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대량으로 발행하여 루터의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종교 개혁의 실마리가 되었다.
「2」책임이나 죄를 없애 주는 조치나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이번 선거 결과가 국민들의 면죄부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 「2」헐벗고 굶주려 온 이십만의 장정들에게, 방위군은 아무런 보상도 없이 귀환증 한 장만을 면죄부처럼 떼어 준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1. 무언부 (無言符) [무언부]
한자: 無(없을 무), 言(말씀 언),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할 말을 줄였을 때나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쓰거나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12. 발음부 (發音符) [바름부]
한자: 發(필 발), 音(소리 음), 符(부호 부(:))
말소리를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내어 기록한 부호. 국제 음성 기호 따위가 있다.
13. 방향부 (方向符) [방향부]
한자: 方(모[棱] 방), 向(향할 향:), 符(부호 부(:))
향하여 가는 쪽을 보일 때 쓰는 부호. 화살표로 나타낸다.
14. 백분부 (百分符) [백뿐부]
한자: 百(일백 백), 分(나눌 분(:)), 符(부호 부(:))
백분율을 나타낼 때 쓰는 부호. 기호는 %.
15. 보부 (寶符) [보:부]
한자: 寶(보배 보:), 符(부호 부(:))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16. 삽입부 (揷入符) [사빕뿌]
한자: 揷(꽂을 삽), 入(들 입), 符(부호 부(:))
적어 놓은 글에 다른 말을 끼워 넣을 때 쓰는 기호. 가로쓰기에는 ‘∧’, 세로쓰기에는 ‘<’를 쓴다.
17. 상부 (相符) [상부]
한자: 相(서로 상), 符(부호 부(:))
서로 들어맞음.
18. 상부 (祥符) [상부]
한자: 祥(상서 상), 符(부호 부(:))
좋은 일이 있을 조짐.
19. 생략부 (省略符) [생냑뿌]
한자: 省(덜 생), 略(간략할/약할 략),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할 말을 줄였을 때나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쓰거나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20. 성부 (聲符) [성부]
한자: 聲(소리 성), 符(부호 부(:))
한자의 네 귀퉁이 또는 그 중간에 붙여 그 한자의 사성(四聲)을 표시하는 점.
21. 소어부 (小語符) [소:어부]
한자: 小(작을 소:), 語(말씀 어:), 符(부호 부(:))
어감상(語感上) 뒷말에 대하여 앞말이 작은말임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인 ‘<’의 이름.
22. 수호부 (守護符) [수호부]
한자: 守(지킬 수), 護(도울 호:), 符(부호 부(:))
몸을 지켜 준다고 하여 몸에 지니는 부적.
용례:
나는 수호부를 지니고 있어서 사지에 처하더라도 살아날 수 있다고 믿었다.
23. 신부 (神符) [신부]
한자: 神(귀신 신), 符(부호 부(:))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24. 양벽부 (禳辟符) [양:벽뿌]
한자: 禳(빌[祈] 양), 辟(물리칠 벽), 符(부호 부(:))
재앙과 액운을 물리치는 부적.
25. 연결부 (連結符) [연결부]
한자: 連(이을 련), 結(맺을 결),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줄표(――), 붙임표(–), 물결표(~)가 있다.
26. 연음부 (連音符) [여늠부]
한자: 連(이을 련), 音(소리 음), 符(부호 부(:))
악보에서, 같은 음표 몇 개를 연결하여 본래의 박자 수보다 길거나 짧게 연주하는 음표. 둘잇단음표, 셋잇단음표, 넷잇단음표, 다섯잇단음표, 여섯잇단음표, 일곱잇단음표 따위가 있다.
27. 은자부 (隱字符) [은자부]
한자: 隱(숨을 은), 字(글자 자),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 또는 ‘×’의 이름이다.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를 나타내는 데 쓰거나, 비밀을 유지해야 하거나 밝힐 수 없는 사항임을 나타낼 때 쓴다.
28. 은중부 (恩重符) [은중부]
한자: 恩(은혜 은), 重(무거울 중:), 符(부호 부(:))
액을 막기 위하여 방문의 안쪽 위에 붙이는 부적.
29. 음부 (音符) [음부]
한자: 音(소리 음), 符(부호 부(:))
악보에서, 음의 장단과 고저를 나타내는 기호.
30. 음부 (陰符) [음부]
한자: 陰(그늘 음), 符(부호 부(:))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31. 의문부 (疑問符) [의문부]
한자: 疑(의심할 의), 問(물을 문:),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쓰거나, 특정한 어구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 빈정거림을 표시할 때,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 모르거나 불확실한 내용임을 나타낼 때에 쓴다.
32. 인부 (印符) [인부]
한자: 印(도장 인), 符(부호 부(:))
관인(官印)과 명부(名符)를 아울러 이르던 말.
33. 인속부 (引續符) [인속뿌]
한자: 引(끌 인), 續(이을 속), 符(부호 부(:))
수량을 나타내는 말 사이에 쓰여, ‘무엇으로부터 무엇까지’ 곧 ‘내지(乃至)’의 뜻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의 하나. 물결 모양 ‘∼’이나 줄 모양 ‘―’으로 표시한다.
34. 인용부 (引用符) [이뇽부]
한자: 引(끌 인), 用(쓸 용:), 符(부호 부(:))
이전 문장 부호 규정에서 큰따옴표(“”), 겹낫표(『』), 작은따옴표(‘’), 낫표(「」)를 아울러 이르던 말.
35. 잠재부 (潛在符) [잠재부]
한자: 潛(잠길 잠), 在(있을 재:),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숨김표(○○, ××), 빠짐표(□), 줄임표(……)가 있다.
36. 장음부 (長音符) [장음부]
한자: 長(긴 장(:)), 音(소리 음), 符(부호 부(:))
「1」긴소리를 표시하는 부호.
「2」장음(長音)을 표시하는 기호. 이분음표, 온음표 따위를 이른다.
37. 접합부 (接合符) [저팝뿌]
한자: 接(이을 접), 合(합할 합), 符(부호 부(:))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쓰거나, 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낼 때 쓴다.
38. 정류부 (停留符) [정뉴부]
한자: 停(머무를 정), 留(머무를 류), 符(부호 부(:))
뜻이 조금 중단되어 쉬는 자리에 쓰는 구두점.
39. 제부 (制符) [제:부]
한자: 制(절제할 제:), 符(부호 부(:))
금제(禁制)의 문서나 게시.
40. 종지부 (終止符) [종지부]
한자: 終(마칠 종), 止(그칠 지), 符(부호 부(:))
이전 문장 부호 규정에서 온점(.), 고리점(˳), 물음표(?), 느낌표(!)를 아울러 이르던 말. 2015년 문장 부호 규정 개정 시(2015년 1월 1일 시행)에 이 조항이 삭제되었다.
41. 종지부 (終止符) [종지부]
한자: 終(마칠 종), 止(그칠 지), 符(부호 부(:))
악장이나 악곡의 끝을 나타내는 기호.
42. 주부 (呪符) [주:부]
한자: 呪(빌 주:), 符(부호 부(:))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43. 총휴부 (總休符) [총:휴부]
한자: 總(다[皆] 총:), 休(쉴 휴), 符(부호 부(:))
합주곡이나 합창곡에서, 모든 악기나 각 성부(聲部)가 일제히 쉬는 일. 악곡의 흐름을 갑자기 정지시키는 효과적인 기법으로, 18세기 중엽 만하임악파에서 쓰기 시작했다. 보통 온쉼표 위에 ‘G.P.’라고 써서 표시한다.
44. 통부 (通符) [통부]
한자: 通(통할 통), 符(부호 부(:))
조선 시대에, 야간에 공무로 길을 가거나 궁궐을 드나들 때 가지고 다니던 통행증. 의금부·이조·병조·형조·한성부의 입직관(入直官)이나 포도청의 종사관과 군관이 지니고 다녔다.
용례:
여보시오, 나는 통부를 가진 기찰포교외다. 도적을 잡는데 일일이 쫓아다니며 보고를 해야 하오?≪황석영, 장길산≫
45. 호신부 (護身符) [호:신부]
한자: 護(도울 호:), 身(몸 신), 符(부호 부(:))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몸에 지니는 부적.
46. 휴부 (休符) [휴부]
한자: 休(쉴 휴), 符(부호 부(:))
「1」이전 문장 부호 규정에서 반점(,), 모점(、), 가운뎃점(·), 쌍점(:), 빗금(/)을 아울러 이르던 말. 2015년 문장 부호 규정 개정 시(2015년 1월 1일 시행)에 이 조항이
삭제되었다.
「2」악보에서, 쉼을 나타내는 기호. 온쉼표, 이분쉼표, 사분쉼표, 팔분쉼표, 십육분쉼표 따위가 있다.
47. 휴식부 (休息符) [휴식뿌]
한자: 休(쉴 휴), 息(쉴 식), 符(부호 부(:))
「1」이전 문장 부호 규정에서 반점(,), 모점(、), 가운뎃점(·), 쌍점(:), 빗금(/)을 아울러 이르던 말. 2015년 문장 부호 규정 개정 시(2015년 1월 1일 시행)에 이 조항이
삭제되었다.
「2」악보에서, 쉼을 나타내는 기호. 온쉼표, 이분쉼표, 사분쉼표, 팔분쉼표, 십육분쉼표 따위가 있다.
48. 휴지부 (休止符) [휴지부]
한자: 休(쉴 휴), 止(그칠 지), 符(부호 부(:))
「1」이전 문장 부호 규정에서 반점(,), 모점(、), 가운뎃점(·), 쌍점(:), 빗금(/)을 아울러 이르던 말. 2015년 문장 부호 규정 개정 시(2015년 1월 1일 시행)에 이 조항이
삭제되었다.
「2」악보에서, 쉼을 나타내는 기호. 온쉼표, 이분쉼표, 사분쉼표, 팔분쉼표, 십육분쉼표 따위가 있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