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계부 (家計簿) [가계부]
한자: 家(집 가), 計(셀 계:), 簿(문서 부:)
집안 살림의 수입과 지출을 적는 장부.
용례:
- 가계부를 쓰다.
- 아내는 꼼꼼한 성격이어서 빠뜨리지 않고 가계부를 적는다.
2. 가족관계등록부 (家族關係登錄簿) [가족꽌계등록뿌]
한자: 家(집 가), 族(겨레 족), 關(관계할 관), 係(맬 계:),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簿(문서 부:)
등록 기준지, 개인의 성명과 생년월일 등 신분에 관한 사항, 가족 관계에 관한 사항 따위를 기록한 공문서. 2008년 호적법 폐지에 따라 호적을 대체하기 위해 마련한 문서로, 등록부에 기록된 사항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5가지 종류의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3. 객부 (客簿) [객뿌]
한자: 客(손 객), 簿(문서 부:)
예전에, ‘숙박부’(여관이나 호텔 따위에서 숙박인의 성명, 주소, 행선지 따위를 적는 장부.)를 이르던 말.
용례:
그분은 분명 이갑조 씨라고 하였고 또 객부에도 그렇게 분명 적혔더랬는데 그럼 그분이 지금 그렇게 되셨습니까?≪허준, 속 습작실에서≫
4. 건명부 (件名簿) [건명부]
한자: 件(물건 건), 名(이름 명), 簿(문서 부:)
일이나 물건 따위의 이름을 조목조목 적은 장부.
용례:
같은 종류의 물건이 우리 창고에도 남아 있는지 건명부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5. 건물등기부 (建物登記簿) [건:물등기부]
한자: 建(세울 건:), 物(물건 물),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부동산 등기부 가운데 건물의 표시와 그 건물의 권리관계를 기록한 공식적인 문서.
6. 겹장부 (겹帳簿) [겹짱부]
한자: 帳(장막 장), 簿(문서 부:)
돈이나 상품의 거래 내용을 숨기기 위하여 거짓으로 적는 또 하나의 장부.
용례:
세무 감사를 받던 중에 겹장부를 만든 것이 탄로 났다.
7. 계산부 (計算簿) [계:산부]
한자: 計(셀 계:), 算(셈 산:), 簿(문서 부:)
계산을 하여 그 내용을 적어 놓은 장부.
8. 계좌원부 (計座原簿) [계:좌원부]
한자: 計(셀 계:), 座(자리 좌:), 原(언덕 원), 簿(문서 부:)
우편 대체 계좌의 금액 납입, 지급, 대체에 관한 사항을 기록하는 계좌의 원장(元帳).
9. 공동인명부 (共同人名簿) [공:동인명부]
한자: 共(한가지 공:), 同(한가지 동), 人(사람 인), 名(이름 명), 簿(문서 부:)
부동산 등기법에서, 등기 권리자나 등기 의무자가 여러 사람일 때, 신청서에 가장 먼저 올라 있는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 당사자들의 주소, 성명 따위를 따로 기록하여 두는 장부.
10. 공부 (公簿) [공부]
한자: 公(공평할 공), 簿(문서 부:)
관청이나 관공서에서 법규에 따라 작성·비치하는 장부.
용례:
- 공부를 작성하다.
- 공부를 비치하다.
- 공부를 열람하다.
11. 공좌부 (公座簿) [공좌부]
한자: 公(공평할 공), 座(자리 좌:), 簿(문서 부:)
벼슬아치의 근무 상황을 적던 장부.
용례:
경중(京中) 각사(各司)의 공좌부를 때 없이 고찰하여 이유 없이 사진하지 않는 자는 그 이름 밑에 권점을 찍고….≪번역 태종실록≫
12. 관부 (官簿) [관부]
한자: 官(벼슬 관), 簿(문서 부:)
관청의 장부(帳簿)를 이르던 말.
13. 교적부 (敎籍簿) [교:적뿌]
한자: 敎(가르칠 교:), 籍(문서 적), 簿(문서 부:)
신도의 소속을 밝히는 등록 문건. 또는 등록되어 있는 법적 근거.
14. 금란부 (金蘭簿) [금난부]
한자: 金(쇠 금), 蘭(난초 란), 簿(문서 부:)
친한 친구의 이름이나 주소 따위를 적은 장부.
15. 금전출납부 (金錢出納簿) [금전출랍뿌]
한자: 金(쇠 금), 錢(돈 전:), 出(날[生] 출), 納(들일 납), 簿(문서 부:)
돈이 나가고 들어오는 것을 적는 장부.
용례:
박 영감은 비닐 가방 속의 헌 금전 출납부를 꺼내 적당한 칸에다 날인한 다음, 도장으로 나타난 성명을 그 옆에도 기입하면서….≪이문구, 장한몽≫
16. 기록부 (記錄簿) [기록뿌]
한자: 記(기록할 기), 錄(기록할 록), 簿(문서 부:)
어떤 내용을 기록하여 두는 장부.
용례:
진료 기록부.
17. 기부 (記簿) [기부]
한자: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물건의 출납이나 돈의 수지(收支) 계산을 적어 두는 책.
용례:
이유원이 스스로 변명한 상소를 보면…을축년에 문적(文蹟)을 상고하니 기부에 기재되어 있었다고 말하였습니다.≪번역 고종실록≫
18. 대출부 (貸出簿) [대:출부]
한자: 貸(빌릴/뀔 대:), 出(날[生] 출), 簿(문서 부:)
대출 내용을 적어 두는 장부.
19. 동적부 (洞籍簿) [동:적뿌]
한자: 洞(골 동:), 籍(문서 적), 簿(문서 부:)
행정 구역인 동(洞) 안에 사는 사람들의 신상에 관한 기록을 적어 둔 장부.
20. 등기부 (登記簿) [등기부]
한자: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부동산이나 동산·채권 등의 담보 따위에 관한 권리관계를 적어 두는 공적 장부(公的帳簿).
용례:
- 등기부 사본.
- 등기소에서 양도 담보 사실을 등기부에 기재하였다.
21. 등록부 (登錄簿) [등녹뿌]
한자: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簿(문서 부:)
행정 관서나 공공 기관 따위에서 일정한 법률 사실이나 법률관계를 공증하기 위하여 비치한 장부.
용례:
- 등록부 서식.
- 등록부에 기재하다.
22. 등부 (登簿) [등부]
한자: 登(오를 등), 簿(문서 부:)
관공서의 공적인 장부에 등기나 등록을 함.
23. 명부 (名簿) [명부]
한자: 名(이름 명), 簿(문서 부:)
어떤 일에 관련된 사람의 이름, 주소, 직업 따위를 적어 놓은 장부.(인명부)
용례:
- 선거인 명부.
- 포교는 동임이 가져온 동네 사람들 명부를 들고 호명을 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24. 묘적부 (墓籍簿) [묘:적뿌]
한자: 墓(무덤 묘:), 籍(문서 적), 簿(문서 부:)
묘적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관공서의 장부.
25. 문부 (文簿) [문부]
한자: 文(글월 문), 簿(문서 부:)
나중에 자세하게 참고하거나 검토할 문서와 장부.
용례:
귤이 열린 수효를 헤아려 문부에 적어 두었다가 나중에 귤이 익으면 문부에 적힌 수효에 따라 상납하도록 하였던 것이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26. 번호부 (番號簿) [번호부]
한자: 番(차례 번), 號(이름 호(:)), 簿(문서 부:)
번호를 적어 놓은 책.
용례:
번호부를 뒤적이다.
27. 병부 (兵簿) [병부]
한자: 兵(병사 병), 簿(문서 부:)
병사의 이름, 주소 따위를 적어 넣은 명부(名簿).
28. 병적부 (兵籍簿) [병적뿌]
한자: 兵(병사 병), 籍(문서 적), 簿(문서 부:)
군인 개개인의 신분에 관한 사항을 기록해 놓은 장부.
29. 보조장부 (補助帳簿) [보:조장부]
한자: 補(기울 보:), 助(도울 조:), 帳(장막 장), 簿(문서 부:)
부기에서, 주요 장부의 내역을 설명하고, 특정 거래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하는 장부. 금전 출납부, 매상장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보조부)
30. 부동산등기부 (不動産登記簿) [부동산등기부]
한자: 不(아닐 부), 動(움직일 동:), 産(낳을 산:),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토지 등기부와 건물 등기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31. 부부 (附簿) [부:부]
한자: 附(붙을 부(:)), 簿(문서 부:)
장부에 적음.
32. 사채원부 (社債原簿) [사채원부]
한자: 社(모일 사), 債(빚 채:), 原(언덕 원), 簿(문서 부:)
사채와 사채권자에 관한 사항을 기재한 회사의 장부. 법정 사항을 기재하여 본점에 비치하고 주주와 채권자에게 공시(公示)하여야 한다.
33. 살생부 (殺生簿) [살쌩부]
한자: 殺(죽일 살), 生(날 생), 簿(문서 부:)
죽이고 살릴 사람의 이름을 적어 둔 명부(名簿).
용례:
- 살생부를 작성하다.
- 살생부 명단에 오르다.
34. 상업등기부 (商業登記簿) [상업뜽기부]
한자: 商(장사 상), 業(업 업),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상업 등기를 하는 공정서(公定書).
35. 상업장부 (商業帳簿) [상업짱부]
한자: 商(장사 상), 業(업 업), 帳(장막 장), 簿(문서 부:)
상인이 모든 상거래 관계를 기록하는 일기장, 대차 대조표, 재산 목록을 통틀어 이르는 말.
36. 상표원부 (商標原簿) [상표원부]
한자: 商(장사 상), 標(표할 표), 原(언덕 원), 簿(문서 부:)
상표권의 설정, 이전, 변경, 소멸 따위를 등록하는 특허청에 비치하는 장부.
37. 생활기록부 (生活記錄簿) [생활기록뿌]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記(기록할 기), 錄(기록할 록), 簿(문서 부:)
학생의 인적, 학적, 학업 성취도, 행동 특성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장부.
용례:
학교에 가서 네 생활 기록부를 뒤져 보았으나 주소가 연주네로 된 채 고쳐지지 않았더군.≪김용성, 도둑 일기≫
38. 선거인명부 (選擧人名簿) [선:거인명부]
한자: 選(가릴 선:), 擧(들 거:), 人(사람 인), 名(이름 명), 簿(문서 부:)
선거권자의 수를 결정하고 부정 투표를 막기 위하여 미리 선거권자를 적은 장부. 선거권자의 이름·주소·성별·생년월일 따위를 적은 것으로, 여기에 기록되어야만 선거인이 될 수 있고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39. 선박등기부 (船舶登記簿) [선박뜽기부]
한자: 船(배 선), 舶(배 박), 登(오를 등), 記(기록할 기), 簿(문서 부:)
선박에 관한 일정한 사항을 등기하기 위하여 관할 등기소에 비치하여 두는 장부.
40. 선박원부 (船舶原簿) [선박원부]
한자: 船(배 선), 舶(배 박), 原(언덕 원), 簿(문서 부:)
선박의 등록을 위하여 선적항을 관할하는 해운 관청에 비치한 공부(公簿). 선박의 종류·이름·구조, 선적항 따위가 적혀 있다.
41. 속치부 (속置簿) [속:치부]
한자: 置(둘[措] 치:), 簿(문서 부:)
잊지 아니하고 마음속에 새겨 둠.
용례:
희준이는 이런 속치부가 있어서 이 집에는 마지막으로 온 것이다.≪이기영, 고향≫
42. 수납부 (收納簿) [수납뿌]
한자: 收(거둘 수), 納(들일 납), 簿(문서 부:)
수납 사항을 기록하는 장부.
43. 수발부 (受發簿) [수발부]
한자: 受(받을 수(:)), 發(필 발), 簿(문서 부:)
문서 따위를 받고 보내는 데에 대하여 등록하고 적어 두는 책.
44. 수입부 (收入簿) [수입뿌]
한자: 收(거둘 수), 入(들 입), 簿(문서 부:)
거두어들인 돈이나 물품의 날짜, 수량 따위를 적는 장부.
45. 수형인명부 (受刑人名簿) [수형인명부]
한자: 受(받을 수(:)), 刑(형벌 형), 人(사람 인), 名(이름 명), 簿(문서 부:)
범죄자의 이름과 전과 내용을 적은 명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전과자의 이름을 말소하고 법률상 복권이 인정된다. 우리나라의 범죄인 명부가 이에 해당한다.(전과부)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簿 문서 부: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