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前 앞 전 - 2

46. 염전 (念前) [염:전]

한자: 念(생각 념:), 前(앞 전)

한 달의 스무날이 되기 전.

47. 염전 (簾前) [염전]

한자: 簾(발 렴), 前(앞 전)

드리운 발의 앞.

용례:

당시의 상신(相臣)과 여러 재신(宰臣)을 염전에다 부르셨는데….≪번역 숙종실록≫

48. 영전 (令前) [영전]

한자: 令(하여금 령(:)), 前(앞 전)

명령이 떨어지기 전.

49. 영전 (靈前) [영전]

한자: 靈(신령 령), 前(앞 전)

신이나 죽은 사람의 영혼을 모셔 놓은 자리의 앞.

용례:

돌아가신 분의 영전에 꽃을 바치다.

50. 오래전 (오래前) [오래전]

한자: 前(앞 전)

상당한 시간이 지나간 과거.

용례:

  • 오래전의 일을 기억하다.
  • 웅보의 친구들은 오래전부터 막음례와 웅보 사이를 알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양친은 이미 오래전에 돌아가셨고 친지들은 뿔뿔이 헤어져 한두 사람을 만나 보았을 뿐입니다.≪홍성원, 육이오≫

51. 오전 (午前) [오:전]

한자: 午(낮 오:), 前(앞 전)

「1」밤 열두 시부터 낮 열두 시까지의 시간.
「2」해가 뜰 때부터 낮 열두 시까지의 시간.

용례:

  • 「1」그가 야근을 끝냈을 때가 오전 두 시였다.
  • 「2」오전 근무.
  • 「2」오전 내내 기다렸지만 그는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 「2」토요일에는 수업이 오전에 끝난다.

52. 왕전 (往前) [왕:전]

한자: 往(갈 왕:), 前(앞 전)

지나간 해.

53. 요전 (요前) [요전]

한자: 前(앞 전)

지나간 지 얼마 안 되는 과거의 어느 시점을 막연하게 이르는 말.

용례:

  • 요전보다 야위어 보인다.
  • 그이는 요전에 왔던 사람인 것 같다.
  • 요전에 샀던 것으로 주세요.

54. 우전 (右前) [우:전]

한자: 右(오를/오른(쪽) 우:), 前(앞 전)

야구에서, 우익수의 앞을 이르는 말.

용례:

우전 안타.

55. 우전 (雨前) [우:전]

한자: 雨(비 우:), 前(앞 전)

비가 내리기 전.

56. 월전 (月前) [월쩐]

한자: 月(달 월), 前(앞 전)

달포 전.

용례:

  • 월전 우연히 거리에서 그를 다시 만났을 때, 그는 몰라보게 변해 있었다.
  • 월전에 노름들을 해서 응삼이가 소 판 돈 삼십 원을 잃었다는 말씀은 선생님께서도 들으셨지요.≪이기영, 서화≫

57. 이전 (以前) [이:전]

한자: 以(써 이:), 前(앞 전)

「1」이제보다 전.
「2」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보다 앞.

용례:

  • 「1」이전부터 그래 온 관습이었다.
  • 「1」이전에는 참 살기 좋은 곳이었다.
  • 「1」그들이 살고 있음을 이토록 기뻐해 본 적이 이전엔 한 번도 없었던 것 같다.≪김승옥, 햇빛≫
  • 「2」산업 혁명 이전.
  • 「2」서양에선 유사 이전부터 완구가 있었고 고대 이집트의 분묘에서도 병정이나 노예 인형들이 발굴되고 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2」대륙에 혹한이 엄습하기 이전에 그들은 결정적인 요충을 함락시킬 작정이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58. 일전 (日前) [일쩐]

한자: 日(날 일), 前(앞 전)

며칠 전.

용례:

  • 일전에 제가 말씀드린 그 사람입니다.
  • 저 사람은 일전과 사뭇 달라졌다.
  • 일전에 사람을 만나기 위해 종로에 있는 제과점에를 들른 일이 있다.≪법정, 무소유≫
  • 일전 상감께서 춘부장 소식을 하문하시더군.≪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59. 자전 (自前) [자전]

한자: 自(스스로 자), 前(앞 전)

지금보다 이전.

60. 장전 (葬前) [장:전]

한자: 葬(장사지낼 장:), 前(앞 전)

아직 장사를 지내지 않은 때.

61. 재전 (在前) [재:전]

한자: 在(있을 재:), 前(앞 전)

이미 지나가 버린 그때.

62. 적전 (敵前) [적쩐]

한자: 敵(대적할 적), 前(앞 전)

적의 바로 앞.

용례:

  • 필요 이상의 앙칼진 고함이 쩡하게 골짝을 울린다. 적전 약 십 미터 전방에 모희규는 우뚝 발을 세운다.≪홍성원, 육이오≫
  • 장군의 배는 거센 파도를 박차고 적전 돌격을 감행한다.≪박종화, 임진왜란≫

63. 전전 (前前) [전전]

한자: 前(앞 전), 前(앞 전)

[Ⅰ]아주 오래전.
[Ⅱ]「1」전번의 그 전번.
[Ⅱ]「2」앞의 앞.

용례:

  • [Ⅰ]전전에 있었던 일.
  • [Ⅰ]공장은 내게 인계하기로 전전부터 언약이 되어 있던 겁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Ⅱ]「1」전전 직장.
  • [Ⅱ]「2」네 자리는 이 직원의 전전 자리이다.

64. 전전 (戰前) [전:전]

한자: 戰(싸움 전:), 前(앞 전)

전쟁이 일어나기 전(前).

용례:

  • 전전 세대.
  • 좌우 간의 적들은 늘였던 고무줄이 오므라들듯, 낙동강에서 38 이북까지 전전의 원상대로 일시에 확 줄어든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65. 정전 (庭前) [정전]

한자: 庭(뜰 정), 前(앞 전)

뜰의 앞.

66. 조전 (兆前) [조전]

한자: 兆(억조 조), 前(앞 전)

어떤 징조나 조짐이 나타나기 전.

67. 존전 (尊前) [존전]

한자: 尊(높을 존), 前(앞 전)

「1」신불(神佛)이나 존귀한 사람의 앞.
「2」예전에, 임금이나 높은 벼슬아치의 앞을 이르던 말.

용례:

  • 「1」아이고, 연곡사 부처님 전에 마지를 넘보지 어느 존전에 시주할 것이라고 내가 그 귀한 것을 넘보겠소?≪송기숙, 녹두 장군≫
  • 「2」사또 존전에 황공무지하오이다. 그러하오나 소인은 소인의 죄상을 모르겠사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68. 종전 (從前) [종전]

한자: 從(좇을 종(:)), 前(앞 전)

지금보다 이전.

용례:

  • 종전의 방식을 그대로 고수하다.
  • 대접이 종전에 비해 소홀하다.
  • 그 사람은 종전과 다를 바 없었다.
  • 종전 같았으면 그놈하고 함께 자동차 타고 들어올 여자가 아니지 않아?≪박경리, 토지≫

69. 좌전 (左前) [좌:전]

한자: 左(왼 좌:), 前(앞 전)

야구에서, 좌익수의 앞을 이르는 말.

용례:

좌전 안타.

70. 좌전 (座前) [좌:전]

한자: 座(자리 좌:), 前(앞 전)

「1」주로 편지글에서, 받는 사람을 높여 그의 이름이나 호칭 아래 붙여 쓰는 말.
「2」받들어 모시는 자리 아래.

71. 주전 (主前) [주전]

한자: 主(임금/주인 주), 前(앞 전)

기원 원년 이전. 주로 예수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하는 서력기원을 기준으로 하여 이른다.

72. 중전 (中前) [중전]

한자: 中(가운데 중), 前(앞 전)

야구에서, 중견수의 앞을 이르는 말.

용례:

중전 안타로 3루 주자가 득점했다.

73. 즉전 (卽前) [즉쩐]

한자: 卽(곧 즉), 前(앞 전)

어떤 일이 일어나기 바로 전.

74. 증전 (曾前) [증전]

한자: 曾(일찍 증), 前(앞 전)

이미 지나가 버린 그때.

75. 직전 (直前) [직쩐]

한자: 直(곧을 직), 前(앞 전)

어떤 일이 일어나기 바로 전.

용례:

  • 퇴근 시간 직전에 겨우 일을 마쳤다.
  • 잠들기 직전에는 음식을 안 먹는 것이 좋다.
  • 구급대원들이 아이들을 익사 직전에 구해 냈다.

76. 진전 (陣前) [진전]

한자: 陣(진칠 진), 前(앞 전)

진지(陣地)의 앞.

용례:

이는 장차 주성으로 진격할 제 진전에 세워 총알받이로 삼고자 함이니….≪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77. 창세전 (創世前) [창:세전]

한자: 創(비롯할 창:), 世(인간 세:), 前(앞 전)

처음으로 세계가 이루어지기 이전.

용례:

창세전에는 혼돈과 어둠뿐이었으리라.

78. 창전 (窓前) [창전]

한자: 窓(창 창), 前(앞 전)

창문의 앞.

79. 최전 (最前) [최:전]

한자: 最(가장 최:), 前(앞 전)

「1」어떠한 때보다 훨씬 이전.
「2」맨 처음.

80. 탑전 (榻前) [탑쩐]

한자: 榻(긴걸상 탑), 前(앞 전)

왕의 자리 앞.

용례:

그는 탑전에 부복하여 억울한 사정을 아뢰었다.

81. 풍전 (風前) [풍전]

한자: 風(바람 풍), 前(앞 전)

불어오는 바람의 앞.

82. 한생전 (限生前) [한:생전]

한자: 限(한할 한:), 生(날 생), 前(앞 전)

살아 있는 동안까지.

83. 한세전 (限歲前) [한:세전]

한자: 限(한할 한:), 歲(해 세:), 前(앞 전)

섣달그믐까지 한정함.

84. 한전 (限前) [한:전]

한자: 限(한할 한:), 前(앞 전)

기한이 되기 전.

85. 해전 (해前) [해전]

한자: 前(앞 전)

해가 지기 전.

용례:

  • 아직 아침나절이니 해전까진 기다려 봐야 될 터였다.≪이문구, 장한몽≫
  • 제물포라면 낮이 짧은 동짓달에는 새벽같이 떠나야 겨우 해전에 닿을까 말까 한 먼 거리인데….≪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86. 향전 (向前) [향:전]

한자: 向(향할 향:), 前(앞 전)

말하는 때 이전의 지나간 차례나 때.

87. 현전 (現前) [현:전]

한자: 現(나타날 현:), 前(앞 전)

「1」눈의 앞. 또는 눈으로 볼 수 있는 가까운 곳.
「2」아주 가까운 장래.
「3」앞에 나타남.

용례:

「3」그는 그 무의 현재에서 이어져 나갈, 끊임없는 현전으로 다가와 무대의 배면으로 넘어가는 매 순간의 ‘그 무엇’을 예감하게 되리라.≪이인성, 낯선 시간 속으로≫

88. 혼전 (婚前) [혼전]

한자: 婚(혼인할 혼), 前(앞 전)

결혼하기 전.

용례:

  • 혼전 관계.
  • 혼전 동거.

89. 흉전 (胸前) [흉전]

한자: 胸(가슴 흉), 前(앞 전)

가슴 앞.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前 앞 전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