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儀 거동 의

1. 가의 (嘉儀) [가이]

한자: 嘉(아름다울 가), 儀(거동 의)

경사스러운 의식.

2. 겸인의 (兼引儀) [겨미니]

한자: 兼(겸할 겸), 引(끌 인), 儀(거동 의)

조선 시대에, 통례원(通禮院)에 속하여 조회나 제사 따위의 의식을 행할 때 식순(式順)을 읽는 일을 맡아보던 종구품 벼슬.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인의(引儀)로 승진하였다.

3. 고의 (古儀) [고:이]

한자: 古(예 고:), 儀(거동 의)

옛날의 의식.

4. 공의 (公儀) [공이]

한자: 公(공평할 공), 儀(거동 의)

공적인 의식.

5. 구의 (舊儀) [구:이]

한자: 舊(예 구:), 儀(거동 의)

예전의 의식.

6. 국의 (國儀) [구기]

한자: 國(나라 국), 儀(거동 의)

국가에서 직접 관장하는 공적(公的)인 의식.

7. 규의 (糾儀) [규이]

한자: 糾(얽힐 규), 儀(거동 의)

의식을 단속함.

8. 나의 (儺儀) [나이]

한자: 儺(푸닥거리 나), 儀(거동 의)

「1」제주에서 행하여지는 풍속의 하나. 나무와 돌이 있는 곳에 신령을 모시는 사당을 만들어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역신을 막는다는 뜻으로, 무당이 신의 기(旗)를 들고 꽹과리와 북을 앞세워 동네로 들어오면 주민들이 재물을 거두어 낸다.
「2」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9. 대나의 (大儺儀) [대:나이]

한자: 大(큰 대(:)), 儺(푸닥거리 나), 儀(거동 의)

대나를 행하던 의식.

10. 대열의 (大閱儀) [대:여리]

한자: 大(큰 대(:)), 閱(볼[覽] 열), 儀(거동 의)

조선 시대에, 임금이 군대를 정렬해 놓고 친히 행하던 검열 의식. 1년에 한 번 행하였다.

11. 대의 (大儀) [대:이]

한자: 大(큰 대(:)), 儀(거동 의)

큰 의식.

12. 무의 (舞儀) [무:이]

한자: 舞(춤출 무:), 儀(거동 의)

궁중 춤의 모든 의식 절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춤의 절차, 동작의 변화, 노래, 구호, 옷, 의물 따위를 이른다.

13. 번례다의 (煩禮多儀) [벌례다이]

한자: 煩(번거로울 번), 禮(예도 례:), 多(많을 다), 儀(거동 의)

번거로운 예절과 많은 의식.

용례:

우리 예법과 의식이 문화가 다른 외국인의 눈에는 번례다의로 비칠 수 있다.

14. 부의 (賻儀) [부:이]

한자: 賻(부의 부:), 儀(거동 의)

상가(喪家)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

용례:

  • 부의를 보내다.
  • 친지들의 부의로 장례를 치르다.

15. 불의 (佛儀) [부리]

한자: 佛(부처 불), 儀(거동 의)

불교의 의식.

16. 비의 (秘儀) [비:이]

한자: 秘(숨길[祕] 비:), 儀(거동 의)

비밀스러운 종교 의식.

용례:

그는 할 수만 있으면 그 교단의 승려가 되어 평신도로서는 쉽게 가까이할 수 없는 그들의 비의에 바로 다가가고 싶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17. 사의 (射儀) [사이]

한자: 射(쏠 사(:)), 儀(거동 의)

사술(射術)에 관한 의식.

18. 성의 (盛儀) [성:이]

한자: 盛(성할 성:), 儀(거동 의)

성대한 의식.

용례:

국본(國本)인 농업을 장려하려고 군왕이 친히 쟁기를 잡고 농사를 짓는 국가적 성의를 거행하는 날짜를….≪염상섭, 김 의관 숙질≫

19. 소간의 (小簡儀) [소:가니]

한자: 小(작을 소:), 簡(대쪽/간략할 간(:)), 儀(거동 의)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작게 만든 간의.

용례:

다만 보이는 것을 가지고 짐작하여 아뢰었을 뿐이고, 북극과의 거리 도수는 소간의를 가지고 관찰한 것입니다.≪번역 성종실록≫

20. 습의 (習儀) [스비]

한자: 習(익힐 습), 儀(거동 의)

나라의 의식(儀式)을 미리 배워 익힘.

21. 엄의 (嚴儀) [어미]

한자: 嚴(엄할 엄), 儀(거동 의)

「1」엄숙하고 훌륭한 의식.
「2」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22. 예의 (禮儀) [예이]

한자: 禮(예도 례:), 儀(거동 의)

존경의 뜻을 표하기 위하여 예로써 나타내는 말투나 몸가짐.

용례:

  • 예의 바른 행동.
  • 예의가 바르다.
  • 예의를 지키다.
  • 예의를 차리다.
  • 말을 해 놓고 나서 예의에 어긋나는 것 같아 도현은 후회했다.≪손창섭, 낙서족≫

23. 위의 (威儀) [위이]

한자: 威(위엄 위), 儀(거동 의)

「1」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2」예법에 맞는 몸가짐.
「3」불자(佛者)가 지켜야 할 규범. 계는 깨끗하고 착한 습관을 익혀 지키기를 맹세하는 결의를 이르며, 율은 불교 교단(敎團)의 규칙을 이른다.

「4」장사(葬事)에 쓰는 항오(行伍).

용례:

  • 「1」신부들이 나들이할 때면 그 위의가 또한 대단하여 목사 행차에 조금도 진배없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1」왕은 여전히 씩씩한 위의를 잃지 않은 채 잠자코 편조의 말을 듣고 앉았다.≪박종화, 다정불심≫
  • 「2」위의를 갖추다.
  • 「2」위의에 어긋나지 않게 행동하다.

24. 육의 (六儀) [유기]

한자: 六(여섯 륙), 儀(거동 의)

중국에서, 제사(祭祀)·빈객(賓客)·조정(朝廷)·상사(喪祀)·군려(軍旅)·거마(車馬)의 여섯 가지 일에 관한 의식을 이르는 말.

25. 이의 (肄儀) [이:이]

한자: 肄(익힐 이:), 儀(거동 의)

의식이나 범절을 미리 익힘.

26. 인의 (引儀) [이니]

한자: 引(끌 인), 儀(거동 의)

조선 시대에, 통례원에 속하여 의식에서 식순에 따라 구령을 외치는 일을 맡아보던 종육품 문관 벼슬.

27. 잡의 (雜儀) [자비]

한자: 雜(섞일 잡), 儀(거동 의)

여러 가지 잡다한 의식.

28. 장의 (葬儀) [장:이]

한자: 葬(장사지낼 장:), 儀(거동 의)

장사를 지내는 일. 또는 그런 예식.

용례:

장의 행렬이 거리를 가득 메웠다.

29. 전의 (典儀) [저:니]

한자: 典(법 전:), 儀(거동 의)

「1」법식(法式)과 의식(儀式)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대한 제국 때에, 장례원(掌禮院)에 속하여 나라의 큰 의식에서 모든 절차를 도맡아 진행하는 집사(執事)의 일을 맡아보던 판임(判任) 관직.

30. 정의 (庭儀) [정이]

한자: 庭(뜰 정), 儀(거동 의)

대법회를 할 때에 승려들이 앞마당을 걸어서 본당으로 들어가는 의식.

31. 제의 (祭儀) [제:이]

한자: 祭(제사 제:), 儀(거동 의)

제사의 의식.

용례:

  • 그것은 차라리 춤이라기보다 강신(降神)의 제의였는지도 모른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 신어미는 스승의 역할도 맡게 되어 신딸, 신아들들을 굿당으로 데리고 다니며 제의를 주제할 수 있는 기능을 학습시키는 것이다.≪한무숙, 만남≫

32. 조의 (弔儀) [조:이]

한자: 弔(조상할 조:), 儀(거동 의)

조문하는 의식.

33. 조의 (朝儀) [조이]

한자: 朝(아침 조), 儀(거동 의)

「1」조정의 의식.
「2」중국에서, 신하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알현하는 의식.

34. 조의 (調儀) [조이]

한자: 調(고를 조), 儀(거동 의)

「1」계획을 세움.
「2」싸움터로 나아가 공격함.
「3」전쟁을 하거나 승부를 겨룸.

35. 종의 (宗儀) [종이]

한자: 宗(마루 종), 儀(거동 의)

종교에서 행하는 의례나 의식.

36. 지구의 (地球儀) [지구이]

한자: 地(따 지), 球(공 구), 儀(거동 의)

지구를 본떠 만든 모형. 남북의 축을 23.5도로 기울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한 둥근 통 위에 지구 표면의 해륙과 산천, 경선과 위선, 지명 따위를 그려 넣었다.

용례:

학교의 지리 시간에 지구의를 놓고 만다라가 섬이란 것을 배운 아이들도 그 호칭을 유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김민숙, 이민선≫

37. 책봉의 (冊封儀) [책뽕이]

한자: 冊(책 책), 封(봉할 봉), 儀(거동 의)

왕세자, 왕세손, 왕후, 비(妃), 빈(嬪), 부마 등을 봉작(封爵)하던 의식.

38. 축의 (祝儀) [추기]

한자: 祝(빌 축), 儀(거동 의)

「1」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
「2」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내는 돈이나 물건.

용례:

「2」창골댁에 쑥스러운 사연을 아뢰었더니, 나리마님은 웃으면서 열 냥을 축의로 주셨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39. 통의 (通儀) [통이]

한자: 通(통할 통), 儀(거동 의)

세상에서 널리 통하는 의식.

40. 하의 (賀儀) [하:이]

한자: 賀(하례할 하:), 儀(거동 의)

축하하여 예를 차림.

용례:

민영환으로써 특별히 대사를 명하여 진시 가서 하의에 진참케 하라 하옵셨더라.≪독립신문≫

41. 항의 (恒儀) [항이]

한자: 恒(항상 항), 儀(거동 의)

상례(常例)로 행하는 의식.

42. 허의 (虛儀) [허이]

한자: 虛(빌 허), 儀(거동 의)

겉으로만 꾸미는 의식.

43. 혼의 (婚儀) [호니]

한자: 婚(혼인할 혼), 儀(거동 의)

혼인 의식.

용례:

웅보와 쌀분이는 서둘러 혼례를 올렸다. 혼의며 납채, 납폐, 친영의 절차를 밟아….≪문순태, 타오르는 강≫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