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체자 (簡體字) [간체자]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體(몸 체), 字(글자 자)
중국에서 자형(字形)을 간략하게 고친 한자. ‘雲’을 ‘云’으로 쓰는 따위이다.
용례:
- 실용적인 간체자.
- 간체자는 일반 한자보다 쓰기 쉽다.
2. 갈지자 (갈之字) [갈찌짜]
한자: 之(갈 지), 字(글자 자)
이리저리 굽어 있거나 좌우로 내디디며 걷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자 ‘之’의 모양에서 유래한 말이다.
용례:
- 두 남녀는 갈지자의 오솔길을 천천히 거닐었다.
- 장거리를 갈지자로 걸어가는 주정꾼의 모습도 있었다.≪박경리, 토지≫
3. 검자 (檢字) [검:짜]
한자: 檢(검사할 검:), 字(글자 자)
자전(字典)에서, 부수를 알기 어렵거나 찾기 어려운 한자를 쉽게 찾아보도록 전체적으로는 획수(劃數)의 순서대로, 부분적으로는 부수의 순서대로 한자를 배열한 색인.
용례:
어려운 한자를 찾으려면 검자를 이용하여야 한다.
4. 고문자 (古文字) [고:문짜]
한자: 古(예 고:),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옛날 문자.
용례:
- 고문자를 해독하다.
- 기원전에 사용했던 고문자가 새겨진 바위가 발견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5. 고유글자 (固有글字) [고유글짜]
한자: 固(굳을 고(:)), 有(있을 유:), 字(글자 자)
한 나라나 민족이 만들어 써 온 독특한 글자.
용례:
일찍이 세종 대왕은 고유 글자의 필요성을 깨닫고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6. 고유문자 (固有文字) [고유문짜]
한자: 固(굳을 고(:)), 有(있을 유:), 文(글월 문), 字(글자 자)
한 나라나 민족이 만들어 써 온 독특한 글자.
용례:
거란은 한족을 지배하여 그 문화에 접하였지만 민족의식이 강하여 고유 문자를 사용하였다.
7. 고자 (古字) [고:자]
한자: 古(예 고:), 字(글자 자)
「1」지금은 쓰지 아니하는 옛글자. 한글의 경우, ‘·’, ‘ㆁ’, ‘ㆆ’, ‘ㅿ’, ‘ㅸ’ 따위가 있다.
「2」오늘날 쓰는 글자와 모양은 같으나 포함하는 의미 범위는 더 넓었던, 고대에 쓰던
글자. 한자의 경우, ‘太(태)’, ‘境(경)’, ‘供(공)’ 자의 고자는 각각 ‘大(대)’, ‘竟(경)’, ‘共(공)’ 자이다.
8. 구결자 (口訣字) [구:결짜]
한자: 口(입 구(:)), 訣(이별할 결), 字(글자 자)
한문 문장에서 구두점을 찍을 곳에 붙이던 약호. 국어의 격 또는 활용 어미를 달아 읽는 법으로, 이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용례:
우리나라는 일본과 달리 음절 문자인 구결자를 벗어던지고 한글을 만들었다.
9. 국자 (國字) [국짜]
한자: 國(나라 국), 字(글자 자)
「1」우리나라의 글자라는 뜻으로, ‘한글’(우리나라 고유의 글자. 음소 문자인데 그보다 더 발전된 자질 문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세종 대왕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이르는 명칭이다. 1446년 반포될 당시에는 28자모(字母)였지만, 현행 한글 맞춤법에서는 24자모만 쓴다.)을 이르는 말.
「2」한 나라의 국어를 표기하는 전통적인 공용 문자.
용례:
「1」우리 국자의 우수성으로는 과학성과 독창성을 꼽을 수 있다.
10. 궐자 (闕字) [궐짜]
한자: 闕(대궐 궐), 字(글자 자)
「1」문장 가운데 빠진 글자.
「2」문장 가운데 왕이나 귀인의 이름 위에 경의를 표하는 뜻으로 한두 칸 비워 두는 일.
용례:
「1」이 책은 교정을 어떻게 보았는지 궐자와 오자투성이다.
11. 그림문자 (그림文字) [그:림문짜]
한자: 文(글월 문), 字(글자 자)
「1」그림이나 대상을 본뜬 도안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문자. 문자의 출발로 여겨지며 추상화 과정을 거쳐 고대 이집트의 신성 문자, 현대 한자와 같은 표의 문자나 로마자와 같은 표음 문자로 발전하기도
한다.
「2」휴대 전화나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호. 키(Key)의 문자, 숫자, 그림, 도형 따위를 조합해 감정이나 의사를 나타내는 문자.
12. 글자 (글字) [글짜]
한자: 字(글자 자)
말을 적는 일정한 체계의 부호.
용례:
- 칠판에 적은 글자가 잘 안 보인다.
- 이 원시 부족은 고유의 말은 있지만 글자는 없다.
- 글씨를 흘려 써서 이 글자가 ‘서’인지 ‘저’인지 잘 모르겠다.
13. 금속활자 (金屬活字) [금속활짜]
한자: 金(쇠 금), 屬(붙일 속), 活(살 활), 字(글자 자)
납이나 구리 따위의 금속으로 만든 활자. 활판 인쇄에 쓴다.
용례:
- 금속 활자로 인쇄하다.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인쇄술이 발달하여 팔만대장경이나 금속 활자 등 찬란한 인쇄 문화를 남겼다.
14. 금은자 (金銀字) [그믄자]
한자: 金(쇠 금), 銀(은 은), 字(글자 자)
금물과 은니(銀泥)로 번갈아 쓴 경문(經文).
용례:
금은자 법화경.
15. 금자 (金字) [금자]
한자: 金(쇠 금), 字(글자 자)
금박을 올리거나 금빛 수실로 수를 놓거나 금물로 써서 금빛이 나는 글자.
용례:
- 금자를 박다.
- 금자로 경(經)을 정성껏 쓰다.
16. 꼬부랑글자 (꼬부랑글字) [꼬부랑글짜]
한자: 字(글자 자)
「1」매우 서투르게 쓴 글씨.
「2」영어 따위로 쓴 글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2」목탁이나 두드리던 내가 지렁이 기어가는 것 같은 꼬부랑글자를 알 리가 없었지요.≪김성동, 만다라≫
17. 낙자 (落字) [낙짜]
한자: 落(떨어질 락), 字(글자 자)
글을 쓰는 과정이나 인쇄 과정에서 빠진 글자.
용례:
무엇이든 베껴 쓰다 보면 낙자가 생기게 마련이다.
18. 낱자 (낱字) [낟:짜]
한자: 字(글자 자)
음소 문자 체계에 쓰이는 낱낱의 글자.
19. 대문자 (大文字) [대:문짜]
한자: 大(큰 대(:)),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서양 글자에서, 큰 체로 된 글자. 영어 따위에서 글의 첫머리나 고유 명사의 첫 자 따위에 쓰는 글자이다.
용례:
영어의 약어는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표기된다.
20. 대자 (大字) [대:자]
한자: 大(큰 대(:)), 字(글자 자)
「1」큰 글자.
「2」한자 ‘大’ 자와 같이 팔과 다리를 양쪽으로 크게 벌린 모양.
용례:
- 「2」대자로 눕다.
- 「2」대자로 뻗다.
21. 돌림자 (돌림字) [돌림짜]
한자: 字(글자 자)
항렬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름자 속에 넣어 쓰는 글자. 성의 본관, 파에 따라 일정하다.
용례:
자네 조부님의 돌림자가 여름 하 자가 맞는가?
22. 뜻글자 (뜻글字) [뜯끌짜]
한자: 字(글자 자)
하나하나의 글자가 언어의 음과 상관없이 일정한 뜻을 나타내는 문자. 고대의 회화 문자나 상형 문자가 발달한 것으로 한자가 대표적이다.
23. 만자 (卍字) [만:짜]
한자: 卍(만(卍) 만:), 字(글자 자)
「1」‘卍’ 자 모양으로 된 표지.
「2」인도에서 전하여 오는 길상(吉祥)의 징표. 불보살의 가슴·손·발 따위에 나타나는, 공덕이 원만함을 나타내는 상(相)으로, 불교나 절의 표지로 쓰인다.
24. 매팔자 (매八字) [매:팔짜]
한자: 八(여덟 팔), 字(글자 자)
빈들빈들 놀면서도 먹고사는 걱정이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용례:
매팔자란 응칠이의 팔자이겠다. 그는 버젓이 게트림으로 길을 걸어야 걸릴 것은 하나도 없다.≪김유정, 만무방≫
25. 머리글자 (머리글字) [머리글짜]
한자: 字(글자 자)
「1」주로 알파벳의 표기에서, 낱말이나 문장 혹은 고유 명사의 첫머리에 쓰는 대문자.
「2」한 단어의 첫머리에 나오는 글자.
용례:
- 「1」협회는 물의를 일으킨 선수들의 실명 대신 머리글자만 공개했다.
- 「2」최근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가 유행이다.
26. 명자 (名字) [명짜]
한자: 名(이름 명), 字(글자 자)
「1」널리 알려진 이름.
「2」세상에서 소문난 평판.
「3」사람의 이름 글자.
용례:
- 「2」명자가 나다.
- 「3」친구는 나에게 그 사람의 명자를 물어 왔다.
27. 문자 (文字) [문자]
한자: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한자로 된 숙어나 성구(成句) 또는 문장.
용례:
젊었을 그 당시도 추 노인은 말 중에 문자 넣기를 즐겼다.≪김원일, 노을≫
28. 문자 (文字) [문짜]
한자: 文(글월 문), 字(글자 자)
「1」인간의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 한자 따위의 표의 문자와 로마자, 한글 따위의 표음 문자로 대별된다.
「2」학식이나 학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수, 양,
도형 따위의 여러 가지 대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는 숫자 밖의 글자.
「4」키보드를 눌러서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한글, 알파벳, 한자, 숫자, 구두점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1」언어와 문자.
- 「1」돌은 조잡한 솜씨로 여섯모 비슷하게 다듬어졌고, 중간중간에 희미하게 지워진 문자가 새겨져 있었다.≪황석영, 탑≫
- 「2」입으로만 비단 짜는 놈 한세상 호강하고 사는 것 못 보았네. 그런 말은 문자깨나 배웠다는 놈들이 듣기 좋은 소리로 하는 말들이라고.≪최일남, 거룩한 응달≫
- 「4」컴퓨터는 0과 1로 문자를 표현한다.
29. 배자 (排字) [배자]
한자: 排(밀칠 배), 字(글자 자)
글씨를 쓰거나 인쇄할 판을 짤 때 글자를 알맞게 벌여 놓음.
용례:
- 배자 작업.
- 배자 간격이 알맞게 되었다.
30. 벽자 (僻字) [벽짜]
한자: 僻(궁벽할 벽), 字(글자 자)
흔히 쓰지 아니하는 까다로운 글자.
용례:
- 벽자가 많은 고문서.
- 이 책은 벽자가 많아서 읽기가 어렵다.
31. 복자 (伏字) [복짜]
한자: 伏(엎드릴 복), 字(글자 자)
「1」인쇄물에서 내용을 밝히지 않으려고 일부러 비운 자리에 ‘○’, ‘×’ 따위의 표를 찍음. 또는 그 표.
「2」조판(組版)에 필요한 활자가 없을 경우에 적당한 활자를 뒤집어 꽂아 검게 박음.
또는 그런 글자.
용례:
「1」북으로 간 문인들의 이름들이 비로소 복자로 결손되지 않은 온전한 이름을 내걸고 있었다.≪박완서,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
32. 불자 (不字) [불짜]
한자: 不(아닐 불), 字(글자 자)
「1」못 쓰게 생긴 물건.
「2」검사에 불합격한 불량품. 또는 그 불량품에 찍거나 붙이는 표식.
「3」사람답지 못함. 또는 그런 사람.
용례:
- 「1」밤새워 겨우 만들어 놓은 물건이 쓸모없는 불자야.
- 「2」검인받으러 간 물건이 불자를 맞다.
- 「2」검사관이 우리 상품에 불자를 놓았다.
33. 사주팔자 (四柱八字) [사:주팔짜]
한자: 四(넉 사:), 柱(기둥 주), 八(여덟 팔), 字(글자 자)
「1」사주의 간지(干支)가 되는 여덟 글자. 예를 들어, ‘갑자년, 무진월, 임신일, 갑인시’에 태어난 경우, ‘갑자, 무진, 임신, 갑인’의 여덟 글자를 말한다.
「2」타고난 운수.
용례:
- 「2」사주팔자가 사납다.
- 「2」사주팔자를 잘 타고나다.
- 「2」그는 어느 불가사의한 예감의 투영(投影)으로 저도 모르게 아내 될 사람의 사주팔자보다 아직 어려 확립되어 있지도 않았던 인격을 택했던 것이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34. 상팔자 (上八字) [상:팔짜]
한자: 上(윗 상:), 八(여덟 팔), 字(글자 자)
썩 좋은 팔자.
용례:
낮부터 그것도 평일의 낮에 책을 읽고 앉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상팔자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이병주, 행복어 사전≫
35. 상형문자 (象形文字) [상형문짜]
한자: 象(코끼리 상), 形(모양 형), 文(글월 문), 字(글자 자)
「1」물건의 모양을 본떠 글자를 만들어 글자의 모양에서 원형과의 관련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문자. 회화 문자, 초기의 한자, 수메르 문자, 고대 이집트의 신성 문자 따위가 있다.
「2」한자의
육서(六書) 가운데 하나로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만든 글자. 해를 본뜬 ‘日’, 달을 본뜬 ‘月’, 산을 본뜬 ‘山’ 따위가 있다.
36. 성자 (姓字) [성:짜]
한자: 姓(성 성:), 字(글자 자)
성(姓)을 나타내는 글자.
용례:
자기의 성자도 모르는 사람.
37. 소리글자 (소리글字) [소리글짜]
한자: 字(글자 자)
말소리를 그대로 기호로 나타낸 문자. 한글, 로마자, 아라비아 문자 따위가 있다.
38. 소문자 (小文字) [소:문짜]
한자: 小(작을 소:),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서양 문자의 작은 체의 문자.
39. 소자 (小字) [소:자]
한자: 小(작을 소:), 字(글자 자)
「1」작은 글자.
「2」어릴 때의 이름.
용례:
「1」문서의 글씨가 너무 소자로 되어 있어서 읽기가 불편하다.
40. 수자 (數字) [수:자]
한자: 數(셈 수:), 字(글자 자)
두서너 글자.
41. 숫자 (數字) [수:짜]
한자: 數(셈 수:), 字(글자 자)
「1」수를 나타내는 글자. 1, 2, 3 …… 또는 一, 二, 三 …… 따위이다.
「2」금전, 예산, 통계 따위에 숫자로 표시되는 사항. 또는 수량적인 사항.
「3」사물이나 사람의 수.
용례:
- 「1」숫자를 세다.
- 「1」일에서 십까지 한 가지 숫자를 골라라.
- 「2」숫자에 밝다.
- 「2」그는 무엇보다 숫자 개념이 뛰어나다.
- 「3」그 도시의 자동차 숫자가 3만 대를 넘는다.
- 「3」아이들 숫자만큼의 어른들 모습도 보였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42. 습자 (習字) [습짜]
한자: 習(익힐 습), 字(글자 자)
글씨 쓰기를 배워 익힘. 특히 붓글씨를 연습하는 것을 이른다.
용례:
- 습자 시간.
- 습자 연습.
- 그녀의 손에는 어제저녁에 습자를 하다가 묻은 먹이 꺼멓게 그대로 묻어 있었다.
43. 식자 (識字) [식짜]
한자: 識(알 식), 字(글자 자)
글이나 글자를 앎. 또는 그런 지식.
용례:
갯가에서 고기나 잡아먹고 살던 놈이 어떻게 공부를 했던지 식자도 꽤 들었는데….≪송기숙, 녹두 장군≫
44. 신자 (新字) [신자]
한자: 新(새 신), 字(글자 자)
새로 만든 글자.
용례:
신자를 배워 익히다.
45. 십자 (十字) [십짜]
한자: 十(열 십), 字(글자 자)
「1」‘十’ 자와 같은 모양.
「2」기독교도를 상징하는 ‘十’ 자 모양의 표. 예수가 모든 사람의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데서 유래하였으며, 존경·명예·희생·속죄의 표상으로
쓰인다.
용례:
- 「1」십자 표시.
- 「1」십자 형틀.
- 「1」십자로 줄을 긋다.
46. 쌍희자 (雙喜字) [쌍히짜]
한자: 雙(두/쌍 쌍), 喜(기쁠 희), 字(글자 자)
그림이나 자수 따위에서 쓰는 ‘囍’의 이름.
용례:
- 쌍희자를 정성껏 수놓아 선생님께 선물로 드렸다.
- 어머니는 시집오던 전날 밤을 생각하며 딸에게 고운 한복을 입혀 주고 쌍희자가 새겨진 허리띠도 매어 주었다.
- 밖은 벌써 맞은 벽에 붉은 벽돌로 쌍희자를 아로새긴 것이 어리어리 안 보일 만큼 어두웠다.≪염상섭, 무화과≫
47. 아래첨자 (아래添字) [아래첨짜]
한자: 添(더할 첨), 字(글자 자)
소리의 차이나 변수 따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문자의 아래쪽에 덧붙이는 작은 글자.
용례:
원자의 개수는 원자 기호 뒤에 아래첨자로 표기한다.
48. 약자 (略字) [약짜]
한자: 略(간략할/약할 략), 字(글자 자)
「1」복잡한 글자의 점이나 획 따위의 일부를 생략하여 간략하게 한 글자.
「2」여러 글자로 된 말의 일부를 생략하여 만든 글자.
용례:
- 「1」같은 한자 문화권인 한국, 중국, 일본에서 통용되는 약자는 많지 않다.
- 「2」메시지를 보내거나 채팅을 할 때 신속함을 위해서 약자를 쓰는 사람들이 많다.
- 「2」병원에서 병명을 약자로만 쓰면 환자들은 이해하기 어렵다.
49. 열십자 (열十字) [열씹짜]
한자: 十(열 십), 字(글자 자)
한자(漢字) ‘十(십)’의 새김 또는 그 모양을 이르는 말.
용례:
- 열십자로 가르다.
- 부자는 여란이한테는 거의 신경을 안 쓰고 앞장서서 남대문을 중심으로 열십자로 갈라진 신작로 중에서 남쪽으로 뻗은 길로 들어섰다.≪박완서, 미망≫
50. 영문자 (英文字) [영문짜]
한자: 英(꽃부리 영),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영어를 표기하는 데 쓰는 문자. 로마자「1」에 J, U, W가 추가된 것이다.
용례:
블록 담 위 철조망에는 항상 우리말과 영문자로 씌어진 노란 나무패가 붙어 있었다.≪조해일, 왕십리≫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字 글자 자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