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부전 (肝不全) [간:부전]
한자: 肝(간 간(:)), 不(아닐 불), 全(온전 전)
간세포가 많이 죽어서 간의 기능이 극도로 저하된 상태. 물질대사를 제대로 못 하여 혈액 속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지 못하고, 해독 작용을 못 하여 유독 물질이 혈액 속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므로 간성 혼수, 황달, 복수(腹水), 출혈 따위가 나타난다.
2. 건전 (健全) [건:전]
한자: 健(굳셀 건:), 全(온전 전)
「1」병이나 탈이 없이 건강하고 온전함.
「2」사상이나 사물 따위의 상태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상적이며 위태롭지 않음.
용례:
- 「2」건전 오락.
- 「2」건전 가요.
3. 겸전 (兼全) [겸전]
한자: 兼(겸할 겸), 全(온전 전)
여러 가지를 완전하게 갖춤.
용례:
- 문무 겸전의 자질.
- 지덕 겸전의 장수.
4. 관부전 (冠不全) [관부전]
한자: 冠(갓 관), 不(아닐 불), 全(온전 전)
심장 동맥 경화증이나 대동맥염, 쇼크 따위로 인하여 심장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상태.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의 원인이 된다.
5. 교통안전 (交通安全) [교통안전]
한자: 交(사귈 교), 通(통할 통), 安(편안 안), 全(온전 전)
교통질서와 교통 법규를 잘 지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 또는 그런 일.
용례:
- 교통안전 정책.
- 도로를 만들 때는 교통안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6. 구전 (俱全) [구전]
한자: 俱(함께 구), 全(온전 전)
‘구전하다’
(「1」부족한 것 없이 넉넉하다.
「2」이것저것 모두 갖추고 있다.)의 어근.
7. 대전 (大全) [대:전]
한자: 大(큰 대(:)), 全(온전 전)
「1」완전히 갖추어 모자람이 없음.
「2」어떤 분야에 대한 사항이나 어떤 사람이 쓴 글을 빠짐없이 모아 엮은 책.
「3」언해(諺解)된 책의 원본임을 나타내는 말.
용례:
- 「2」사서(四書) 대전.
- 「3」논어 대전.
8. 만전 (萬全) [만:전]
한자: 萬(일만 만:), 全(온전 전)
「1」조금도 허술함이 없이 아주 완전함.
「2」조금의 위험도 없이 아주 안전함.
용례:
- 「1」만전을 기하다.
- 「1」만전의 대책을 세우다.
- 「1」내일 재판은 구치소 측에서도 예의 주시 하여 추호나마 준비에 소홀한 구석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자는 것일 터이었다.≪이호철, 문≫
- 「2」황은 손톱의 안전을 위해 만전을 기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기타는 진실로 그의 마음을 달래주는 애인이며,….≪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9. 병전 (竝全) [병:전]
한자: 竝(나란히 병:), 全(온전 전)
‘병전하다’
(두 가지 이상이 다 함께 온전하다.)의 어근.
10. 보전 (保全) [보:전]
한자: 保(지킬 보(:)), 全(온전 전)
온전하게 보호하여 유지함.
용례:
- 생태계 보전.
- 환경 보전.
- 보전에 힘쓰다.
- 어떻게 하든 명 보전을 하여 가문의 대를 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박경리, 토지≫
11. 부전 (不全) [부전]
한자: 不(아닐 불), 全(온전 전)
「1」완전하지 않음.
「2」전부가 아닌 일부분.
용례:
「1」기능 부전 상태.
12. 불건전 (不健全) [불건전]
한자: 不(아닐 불), 健(굳셀 건:), 全(온전 전)
‘불건전하다’
(건전하지 아니하다.)의 어근.
13. 불안전 (不安全) [부란전]
한자: 不(아닐 불), 安(편안 안), 全(온전 전)
안전하지 못함.
용례:
- 불안전 요인.
- 어떤 수를 써서라도 불안전 지대는 통과해야만 했다.
14. 불완전 (不完全) [부롼전]
한자: 不(아닐 불), 完(완전할 완), 全(온전 전)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추어지지 않아 모자람이나 흠이 있음.
용례:
- 불완전 표현.
- 제반 설비의 불완전.
15. 성전 (成全) [성전]
한자: 成(이룰 성), 全(온전 전)
여러 요소들이 조직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룸. 또는 그런 일.
16. 순전 (純全) [순전]
한자: 純(순수할 순), 全(온전 전)
‘순전하다’
(순수하고 완전하다.)의 어근.
17. 신부전 (腎不全) [신:부전]
한자: 腎(콩팥 신:), 不(아닐 불), 全(온전 전)
콩팥의 기능이 제대로 되지 않아 노폐물이 혈액에 축적되는 상태.
18. 심부전 (心不全) [심부전]
한자: 心(마음 심), 不(아닐 불), 全(온전 전)
심장의 수축 운동이 비정상적이어서 신체의 각 부위로 피를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병적인 상태. 호흡 곤란, 부기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19. 십전 (十全) [십쩐]
한자: 十(열 십), 全(온전 전)
「1」모두 갖추어져서 결점이 없음.
「2」조금도 위험이 없음.
20. 쌍전 (雙全) [쌍전]
한자: 雙(두/쌍 쌍), 全(온전 전)
‘쌍전하다’
(두 쪽 또는 두 가지 일이 모두 온전하거나 완전하다.)의 어근.
21. 안전 (安全) [안전]
한자: 安(편안 안), 全(온전 전)
위험이 생기거나 사고가 날 염려가 없음. 또는 그런 상태.
용례:
- 안전 관리.
- 안전 교육.
- 안전 수칙.
- 국가의 안전을 도모하다.
- 해수욕장에는 피서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수영 금지선을 표시해 놓았다.
- 담당 기사가 안전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아 사고가 났다.
- 적화(赤化)되면 자네의 지성과 자네의 그 만만찮은 일이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을까?≪박영한, 인간의 새벽≫
22. 양전 (兩全) [양:전]
한자: 兩(두 량:), 全(온전 전)
두 가지가 다 온전함.
23. 온전 (穩全) [온:전]
한자: 穩(편안할 온), 全(온전 전)
‘온전하다’
(「1」본바탕 그대로 고스란하다.
「2」잘못된 것이 없이 바르거나 옳다.)의 어근.
24. 와전 (瓦全) [와전]
한자: 瓦(기와 와:), 全(온전 전)
옥(玉)이 못 되고 기와가 되어 안전하게 남는다는 뜻으로, 아무 하는 것 없이 목숨만 이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완전 (完全) [완전]
한자: 完(완전할 완), 全(온전 전)
필요한 것이 모두 갖추어져 모자람이나 흠이 없음.
용례:
- 금융 시장의 완전 개방.
- 노사 분규 완전 타결.
26. 자리보전 (자리保全) [자리보:전]
한자: 保(지킬 보(:)), 全(온전 전)
병이 들어서 자리를 깔고 몸져누움.
용례:
- 그동안 응보는 여전히 병석에 자리보전을 하고 있었는데, 의원의 말로는 여름을 넘기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폐비는 방문을 굳이 닫고 그대로 자리보전을 하시고 드러누워 버리셨다.≪박종화, 금삼의 피≫
27. 자전 (自全) [자전]
한자: 自(스스로 자), 全(온전 전)
스스로 편안하고 온전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28. 전전 (甎全) [전전]
한자: 甎(벽돌 전), 全(온전 전)
옥(玉)이 못 되고 기와가 되어 안전하게 남는다는 뜻으로, 아무 하는 것 없이 목숨만 이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9. 주전 (周全) [주전]
한자: 周(두루 주), 全(온전 전)
‘주전하다’
(빈틈없이 두루 온전하다.)의 어근.
30. 호전 (護全) [호:전]
한자: 護(도울 호:), 全(온전 전)
온전하게 보호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