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切 끊을 절

1. 간절 (懇切) [간:절]

한자: 懇(간절할 간:), 切(끊을 절)

‘간절하다’
(「1」정성이나 마음 씀씀이가 더없이 정성스럽고 지극하다.
「2」마음속에서 우러나와 바라는 정도가 매우 절실하다.)의 어근.

2. 개절 (凱切) [개:절]

한자: 凱(개선할 개:), 切(끊을 절)

‘개절하다’
(아주 알맞고 적절하다.)의 어근.

3. 격절 (激切) [격쩔]

한자: 激(격할 격), 切(끊을 절)

‘격절하다’
(말이나 글 따위가 격렬하고 절실하다.)의 어근.

4. 곡절 (曲切) [곡쩔]

한자: 曲(굽을 곡), 切(끊을 절)

‘곡절하다’
(매우 정성스럽다.)의 어근.

5. 규절 (規切) [규절]

한자: 規(법 규), 切(끊을 절)

경계하여 바로잡음.

6. 급절 (急切) [급쩔]

한자: 急(급할 급), 切(끊을 절)

‘급절하다’
(어떤 시기가 눈앞에 바싹 닥쳐, 사태나 상황 따위가 몹시 다급하다.)의 어근.

7. 긴절 (緊切) [긴절]

한자: 緊(긴할 긴), 切(끊을 절)

‘긴절하다’
(매우 필요하고 절실하다.)의 어근.

8. 나절 (羅切) [나절]

한자: 羅(벌릴 라), 切(끊을 절)

마라(摩羅)를 끊는다는 뜻으로, 음욕을 없애기 위하여 음경을 끊어 버리는 일을 이르는 말.

9. 능절 (綾切) [능절]

한자: 綾(비단 릉), 切(끊을 절)

일본에 전해진, 네 사람이 추는 고구려의 탈춤 음악.

10. 단절 (斷切) [단:절]

한자: 斷(끊을 단:), 切(끊을 절)

자르거나 베어서 끊음.

11. 대절 (貸切) [대:절]

한자: 貸(빌릴/뀔 대:), 切(끊을 절)

계약에 의하여 일정 기간 동안 그 사람에게만 빌려주어 다른 사람의 사용을 금하는 일.

용례:

  • 몸이 약하다지만 그만한 부자니까 자동차를 대절이라도 할 수 있지 않겠소.≪이병주, 지리산≫
  • 두 사람은 곧 자동차 대절을 얻어 전 속력으로 해운대로 달리기를 명했다.≪유진오, 화상보≫

12. 두절 (頭切) [두절]

한자: 頭(머리 두), 切(끊을 절)

재목(材木)을 다듬을 때 그 대가리를 잘라 낸 나무토막.

13. 만절 (蔓切) [만절]

한자: 蔓(덩굴 만), 切(끊을 절)

열매를 크게 하기 위하여 덩굴에서 쓸모없는 부분을 잘라 내는 일.

14. 매절 (買切) [매:절]

한자: 買(살 매:), 切(끊을 절)

상인이 팔다가 남더라도 반품하지 아니한다는 조건하에 한데 몰아서 사는 일.

용례:

매절 거래.

15. 박절 (迫切) [박쩔]

한자: 迫(핍박할 박), 切(끊을 절)

‘박절하다’
(「1」인정이 없고 쌀쌀하다.
「2」일이 바싹 닥쳐서 매우 급하다.)의 어근.

16. 반절 (反切) [반:절]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切(끊을 절)

「1」한자의 음을 나타낼 때 다른 두 한자의 음을 반씩 따서 합치는 방법. ‘文(문)’의 음은 ‘無(무)’의 초성인 ‘ㅁ’과 ‘分(분)’의 중성 및 종성인 ‘ㅜ, ㄴ’을 합친 ‘문’이 되는 것 따위이다.
「2」‘훈민정음’을 달리 이르는 말. 훈민정음이 초성, 중성, 종성을 합하여 한 글자를 이룬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
「3」한글 자모를 반절식으로 배열한 본문. 자음 ‘ㄱ, ㄴ, ㄷ, ㄹ ……’과 모음 ‘ㅏ, ㅑ, ㅓ, ㅕ ……’를 합쳐 ‘가, 갸, 거, 겨 …… 나, 냐, 너, 녀 ……’의 순서로 늘어놓은 것이다.

용례:

  • 「2」반절을 깨치다.
  • 「2」그는 다 아는 반절과 아라비아 숫자를 다시 배우는 것이 그리 신통치는 않았으되 나도 학교에 왔다! 하는 기쁨에….≪현진건, 적도≫

17. 반절 (半切) [반:절]

한자: 半(반(半) 반:), 切(끊을 절)

「1」반으로 자름. 또는 그렇게 자른 반.
「2」당지나 화선지 따위의 전지를 세로로 절반을 자른 것. 또는 그 위에 그린 서화(書畫).

용례:

「1」율촌댁이 마늘 한 쪽을 반으로 잘라서 아침에 반절, 저녁에 반절 나누어 양념 무친다는 소문이 돌 정도인 것이다.≪최명희, 혼불≫

18. 배제절 (拜除切) [배:쩨절]

한자: 拜(절 배:), 除(덜 제), 切(끊을 절)

절하기 위하여 무덤 앞에 계절(階節)보다 한 층 낮추어 평평하게 만든 땅.

19. 부적절 (不適切) [부적쩔]

한자: 不(아닐 불), 適(맞을 적), 切(끊을 절)

‘부적절하다’
(어떠한 일이나 행동 따위를 하기에 알맞지 아니하다.)의 어근.

20. 불친절 (不親切) [불친절]

한자: 不(아닐 불), 親(친할 친), 切(끊을 절)

친절하지 아니함.

용례:

  • 서울 사람의 불친절과 시골 사람의 초라함을 합쳐서 만든 서툰 얼치기 같은 이 고장 사람들이 나는 몹시 야속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그 퉁명과 불친절은 하필 동양인에 대한 우월감에서 온 것이 아니라, 타고난 천성이나 교양 부족 등의 결과인지도 모르지만….≪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21. 세절 (細切) [세:절]

한자: 細(가늘 세:), 切(끊을 절)

잘게 자름.

22. 심절 (深切) [심:절]

한자: 深(깊을 심), 切(끊을 절)

‘심절하다’
(깊고 절실하다.)의 어근.

23. 애절 (哀切) [애절]

한자: 哀(슬플 애), 切(끊을 절)

‘애절하다’
(몹시 애처롭고 슬프다.)의 어근.

24. 엄절 (嚴切) [엄절]

한자: 嚴(엄할 엄), 切(끊을 절)

‘엄절하다’
(태도가 매우 엄격하다.)의 어근.

25. 외절 (外切) [외:절/웨:절]

한자: 外(바깥 외:), 切(끊을 절)

「1」원이나 구가 다각형이나 다면체의 모든 꼭짓점에 닿는 일.
「2」다각형 또는 다면체의 모든 변 또는 면이 원이나 구 또는 다각형이나 다면체의 둘레에 닿는 일.
「3」두 개의 원이나 구가 서로 다른 편의 바깥에 있는 한 점에서 만나는 일.

26. 일절 (一切) [일쩔]

한자: 一(한 일), 切(끊을 절)

종이 따위를 한 번 끊음.

27. 일절 (一切) [일쩔]

한자: 一(한 일), 切(끊을 절)

아주, 전혀, 절대로의 뜻으로, 흔히 행위를 그치게 하거나 어떤 일을 하지 않을 때에 쓰는 말.

용례:

  • 출입을 일절 금하다.
  • 일절 간섭하지 마시오.
  • 그는 고향을 떠난 후로 연락을 일절 끊었다.
  • 그는 자기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어느 누구에게도 일절 하지 않았다.
  • 할아버지나 삼촌은 끝내 그 이상의 말을 일절 입 밖에 내지 않았다.≪김춘복, 쌈짓골≫

28. 일체 (一切) [일체]

한자: 一(한 일), 切(끊을 절)

[Ⅰ]「1」모든 것.
[Ⅰ]「2」‘전부’ 또는 ‘완전히’의 뜻을 나타내는 말.
[Ⅱ]「1」모든 것을 다.
[Ⅱ]「2」일절(아주, 전혀, 절대로의 뜻으로, 흔히 행위를 그치게 하거나 어떤 일을 하지 않을 때에 쓰는 말.)의 비표준어.

용례:

  • [Ⅰ]「1」도난에 대한 일체의 책임을 지다.
  • [Ⅰ]「1」그는 재산 일체를 학교에 기부하였다.
  • [Ⅰ]「1」이 가게는 음료 종류의 일체를 갖추고 있다.
  • [Ⅰ]「1」거기에 따른 일체 비용은 회사가 부담한다.
  • [Ⅰ]「1」우리는 만인의 벗, 일체 중생의 동정자.≪법정, 무소유≫
  • [Ⅰ]「1」병원 건물은 물론 시설 일체가 만기 자신의 것이 아니었다.≪손창섭, 잉여 인간≫
  • [Ⅰ]「2」오늘부터는 장군한테 병정 단속하는 권한을 일체로 맡길 테니, 장군은 나를 버리지 마시오. ≪박종화, 임진왜란≫
  • [Ⅰ]「2」한온이는 꺽정이의 일이 조심되어서 한 첨지와 부자간 의논한 뒤에 순이 할머니와 집안사람들을 일체로 말조심하라고 단속하고…. ≪홍명희, 임꺽정≫
  • [Ⅱ]「1」걱정 근심일랑 일체 털어 버리고 자, 즐겁게 술이나 마시자.

29. 자절 (自切) [자절]

한자: 自(스스로 자), 切(끊을 절)

일부 동물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하여 몸의 일부를 스스로 끊는 일. 도마뱀은 꼬리, 게나 여치 따위는 다리를 끊는데 그 부분은 쉽게 재생된다.

30. 적절 (適切) [적쩔]

한자: 適(맞을 적), 切(끊을 절)

‘적절하다’
(꼭 알맞다.)의 어근.

31. 절절 (切切) [절절]

한자: 切(끊을 절), 切(끊을 절)

‘절절하다’
(매우 간절하다.)의 어근.

32. 정절 (精切) [정절]

한자: 精(정할 정), 切(끊을 절)

정밀하고 적절함.

33. 조절 (操切) [조절]

한자: 操(잡을 조(:)), 切(끊을 절)

단단히 잡아서 단속함.

34. 지절 (至切) [지절]

한자: 至(이를 지), 切(끊을 절)

‘지절하다’
(「1」더없이 간절하다.
「2」꼭 필요하다.)의 어근.

35. 지절 (指切) [지절]

한자: 指(가리킬 지), 切(끊을 절)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친절하게 설명함.

36. 직절 (直切) [직쩔]

한자: 直(곧을 직), 切(끊을 절)

바르고 정성스러움.

37. 처절 (凄切) [처절]

한자: 凄(쓸쓸할 처), 切(끊을 절)

몹시 처량함.

38. 청절 (淸切) [청절]

한자: 淸(맑을 청), 切(끊을 절)

‘청절하다’
(「1」깨끗하고 맑다.
「2」쓸쓸하고 애절하다.)의 어근.

39. 측절 (惻切) [측쩔]

한자: 惻(슬플 측), 切(끊을 절)

‘측절하다’
(몹시 가엾게 여겨 슬퍼하다.)의 어근.

40. 치절 (齒切) [치절]

한자: 齒(이 치), 切(끊을 절)

톱니바퀴의 톱니를 깎는 일.

41. 친절 (親切) [친절]

한자: 親(친할 친), 切(끊을 절)

대하는 태도가 매우 정겹고 고분고분함. 또는 그런 태도.

용례:

  • 친절을 베풀다.
  • 친절로써 대하다.
  • 그 사람은 내가 어디로 들어갈 때마다 문을 열어 주는 친절을 보였다.
  • 우리 백화점은 친절과 봉사로 고객 여러분을 모시고 있습니다.

42. 통절 (痛切) [통:절]

한자: 痛(아플 통:), 切(끊을 절)

‘통절하다’
(「1」뼈에 사무치게 절실하다.
「2」매우 적절하다.)의 어근.

43. 품절 (品切) [품:절]

한자: 品(물건 품:), 切(끊을 절)

물건이 다 팔리고 없음.

용례:

품절이 되었다가 쏟아져 나오면 몇 트럭씩 창고에 쟁여 쌓고, 이러면 밀가룻값은 폭락을 하였다.≪이호철, 소시민≫

44. 핍절 (逼切) [핍쩔]

한자: 逼(핍박할 핍), 切(끊을 절)

‘핍절하다’
(진실하여 거짓이 없고 매우 간절하다.)의 어근.

45. 해절 (該切) [해절]

한자: 該(갖출[備]/마땅[當] 해), 切(끊을 절)

‘해절하다’
(가장 적절하다.)의 어근.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