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絕 끊을 절 - 2

31. 수절 (殊絕) [수절]

한자: 殊(다를 수), 絕(끊을 절)

‘수절하다’
(다른 것보다 매우 뛰어나게 훌륭하다.)의 어근.

32. 수절 (愁絕) [수절]

한자: 愁(근심 수), 絕(끊을 절)

매우 근심함.

33. 승절 (勝絕) [승절]

한자: 勝(이길 승), 絕(끊을 절)

‘승절하다’
(경치가 더할 나위 없이 뛰어나다.)의 어근.

34. 심절 (心絕) [심절]

한자: 心(마음 심), 絕(끊을 절)

마음을 끊는다는 뜻으로, 교제를 아주 끊어 버림을 이르는 말.

35. 쌍절 (雙絕) [쌍절]

한자: 雙(두/쌍 쌍), 絕(끊을 절)

‘쌍절하다’
(두 가지가 모두 뛰어나다.)의 어근.

36. 알절 (遏絕) [알쩔]

한자: 遏(막을 알), 絕(끊을 절)

「1」단절함. 또는 멸망시킴.
「2」저지함. 또는 배척함.

37. 염절 (艷絕) [염:절]

한자: 艷(고울 염[艶]:), 絕(끊을 절)

‘염절하다’
(비길 바 없이 아리땁다.)의 어근.

38. 영절 (永絕) [영:절]

한자: 永(길 영:), 絕(끊을 절)

소식이나 관계 또는 생명이나 혈통 따위가 영원히 끊어져 아주 없어짐.

39. 오절 (五絕) [오:절]

한자: 五(다섯 오:), 絕(끊을 절)

사람이 비명(非命)에 죽는 다섯 가지 죽음. 목매달아 죽는 것, 물에 빠져 죽는 것, 눌려 죽는 것, 얼어 죽는 것, 놀라서 죽는 것을 이른다.

40. 요절 (腰絕) [요절]

한자: 腰(허리 요), 絕(끊을 절)

허리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몹시 우스워 허리가 아플 정도로 웃는 것을 이르는 말.

용례:

요절 복통.

41. 유절 (幽絕) [유절]

한자: 幽(그윽할 유), 絕(끊을 절)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고요한 장소.

42. 의절 (義絕) [의:절]

한자: 義(옳을 의:), 絕(끊을 절)

「1」맺었던 의를 끊음.
「2」친구나 친척 사이의 정을 끊음.
「3」아내가 죽은 뒤의 처족(妻族)과의 관계를 이르는 말.
「4」조선 시대에, 백성의 아내나 남편에게 국법이 규정한 일정한 패륜(悖倫) 행위가 있을 때에 법정에서 강제로 부부를 이혼시키던 제도.

용례:

「2」그는 오랜 친구와 의절을 선언하였다.

43. 이절 (離絕) [이:절]

한자: 離(떠날 리:), 絕(끊을 절)

인연을 끊음.

44. 임신중절 (妊娠中絕) [임:신중절]

한자: 妊(아이밸 임:), 娠(아이밸 신), 中(가운데 중), 絕(끊을 절)

태아가 모체 밖에서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시기에 태아를 인위적으로 모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수술.

45. 조절 (阻絕) [조:절]

한자: 阻(막힐 조), 絕(끊을 절)

막히고 끊어짐. 또는 막히고 끊어지게 함.

46. 중절 (中絕) [중절]

한자: 中(가운데 중), 絕(끊을 절)

「1」중도에서 끊어 버리거나 그만둠.
「2」태아가 모체 밖에서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시기에 태아를 인위적으로 모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수술.

용례:

  • 「1」그 소리에 쌈은 중절이 되었다.≪송영, 늘어 가는 무리≫
  • 「2」한필이의 아이니까 한필이의 허락 없이는 절대로 중절을 시킬 순 없다고…….≪백도기, 청동의 뱀≫

47. 지급거절 (支給拒絕) [지급꺼:절]

한자: 支(지탱할 지), 給(줄 급), 拒(막을 거:), 絕(끊을 절)

어음이나 수표의 지급을 받기 위하여 소지인이 기간 안에 인수인, 지급인, 지급 담당자에게 지급 제시를 하였는데도 제시한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의 지급이 거절되는 일.

48. 참절 (嶄絕) [참절]

한자: 嶄(가파를 참), 絕(끊을 절)

‘참절하다’
(「1」산이 몹시 우뚝하다.
「2」문체가 뛰어나다.)의 어근.

49. 참절 (慘絕) [참절]

한자: 慘(참혹할 참), 絕(끊을 절)

‘참절하다’
(더할 나위 없이 비참하다.)의 어근.

50. 처절 (悽絕) [처:절]

한자: 悽(슬퍼할 처:), 絕(끊을 절)

몹시 처참함.

51. 청절 (淸絕) [청절]

한자: 淸(맑을 청), 絕(끊을 절)

‘청절하다’
(더할 수 없이 맑고 깨끗하다.)의 어근.

52. 초절 (峭絕) [초절]

한자: 峭(가파를 초), 絕(끊을 절)

‘초절하다’
(산봉우리가 몹시 높고 가파르다.)의 어근.

53. 초절 (超絕) [초절]

한자: 超(뛰어넘을 초), 絕(끊을 절)

「1」다른 것에 비하여 유별나게 뛰어남.
「2」어떠한 한계나 표준을 뛰어넘음.
「3」경험이나 인식의 범위를 벗어나 그 바깥 또는 그 위에 위치하는 일. 스콜라 철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에 들지 않는 존재, 신(神), 선(善)이라는 개념의 본연의 자세를 가리킨다. 칸트 철학에서는 초감성적인 것이 우리들의 경험에서 독립하는 일을 가리키며, 실존 철학에서는 무자각적인 일상적 존재의 입장에서 철학적 자각의 입장으로 넘어서 나아가는 일을 뜻한다.

용례:

「1」그는 역사를 이해하는 초절의 순간을 영원으로 늘려 보기로 결심하였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54. 탁절 (卓絕) [탁쩔]

한자: 卓(높을 탁), 絕(끊을 절)

‘탁절하다’
(더할 나위 없이 뛰어나다.)의 어근.

55. 통절 (慟絕) [통:절]

한자: 慟(서러워할 통:), 絕(끊을 절)

너무 슬퍼서 기절함.

56. 폐절 (廢絕) [폐:절]

한자: 廢(폐할/버릴 폐:), 絕(끊을 절)

폐하여 없앰.

용례:

  • 귀족 지배의 폐절.
  • 낡은 법 규정의 폐절.

57. 핍절 (乏絕) [핍쩔]

한자: 乏(모자랄 핍), 絕(끊을 절)

공급이 끊어져 아주 없어짐.

58. 험절 (險絕) [험:절]

한자: 險(험할 험:), 絕(끊을 절)

‘험절하다’
(몹시 험하다.)의 어근.

59. 현절 (懸絕) [현:절]

한자: 懸(달[繫] 현:), 絕(끊을 절)

‘현절하다’
(두드러지게 다르다.)의 어근.

60. 혼절 (昏絕) [혼절]

한자: 昏(어두울 혼), 絕(끊을 절)

정신이 아찔하여 까무러침.

용례:

모진 고문으로 혼절을 거듭하고 몸은 걸레처럼 갈기갈기 찢어졌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絕 끊을 절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