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典 법 전: - 2

31. 식전 (式典) [식쩐]

한자: 式(법 식), 典(법 전:)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용례:

  • 식전에 참석하다.
  • 비록 멀리 있어, 몸은 식전에 가지 못했으나, 마음만은 남만 못지않게 축복을 빌고 있습니다.≪박목월, 구름의 서정≫

32. 악전 (樂典) [악쩐]

한자: 樂(즐길 락 | 노래 악 | 좋아할 요), 典(법 전:)

박자, 속도, 음정 등 악보에 쓰는 모든 규범. 또는 그 규범을 설명한 책.

용례:

음악 교사가 그렇게 쉬운 줄 아나? 악전이야 별 게 없지만 몇 가지쯤 기악을 할 줄도 알아야 해.≪이병주, 지리산≫

33. 어원사전 (語源辭典) [어:원사전]

한자: 語(말씀 어:), 源(근원 원), 辭(말씀 사), 典(법 전:)

어휘의 어원을 밝혀 풀이한 사전.

34. 영한사전 (英韓辭典) [영한사전]

한자: 英(꽃부리 영), 韓(한국/나라 한(:)), 辭(말씀 사), 典(법 전:)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35. 외전 (外典) [외:전]

한자: 外(바깥 외:), 典(법 전:)

「1」전거(典據)가 확실하지 아니하여 성경에 수록되지 않은 30여 편의 문헌. 구약 외전과 신약 외전으로 나누어진다.
「2」불경 이외의 다른 서적.

36. 원전 (原典) [원전]

한자: 原(언덕 원), 典(법 전:)

「1」기준이 되는 본디의 고전.
「2」베끼거나 번역한 책에 대하여 그 본디의 책.

용례:

  • 「2」원전에 충실한 번역.
  • 「2」이 책은 번역본이 원전보다 낫다고 한다.
  • 「2」주의 깊은 요약이었던 만큼 중요한 사실(史實)은 원전과 다름없이 남아 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37. 은전 (恩典) [은전]

한자: 恩(은혜 은), 典(법 전:)

예전에, 나라에서 은혜를 베풀어 내리던 혜택.

용례:

  • 은전을 베풀다.
  • 은전을 입다.
  • 전하의 은전으로 지금껏 평안한 세월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38. 인명사전 (人名事典) [인명사:전]

한자: 人(사람 인), 名(이름 명), 事(일 사:), 典(법 전:)

사람의 이름이나 행적을 모아 이름 순서로 실은 사전.

용례:

인명사전에 오르다.

39. 일한사전 (日韓辭典) [일한사:전]

한자: 日(날 일), 韓(한국/나라 한(:)), 辭(말씀 사), 典(법 전:)

일본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40. 자전 (字典) [자전]

한자: 字(글자 자), 典(법 전:)

한자를 모아서 일정한 순서로 늘어놓고 글자 하나하나의 뜻과 음을 풀이한 책.

용례:

전에 사십 리 밖 회덕현에 한 분 선비가 있어 몇 달 유숙시키며 배운 적이 있습니다만, 그 뒤로는 자전 한 권으로 홀로 깨쳐 가고 있습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41. 전국체전 (全國體典) [전국체전]

한자: 全(온전 전), 國(나라 국), 體(몸 체), 典(법 전:)

매년 가을에 전국적인 규모로 개최되는 종합 경기 대회. 스포츠 경기를 통하여 민족의 단결심과 인내력을 기르며 온 세계에 국위를 선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2. 전자사전 (電子辭典) [전:자사전]

한자: 電(번개 전:), 子(아들 자), 辭(말씀 사), 典(법 전:)

「1」사전의 내용을 종이가 아닌 디스켓과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 담은 전자 매체.
「2」자연 언어 처리에서 컴퓨터 내부의 작업에 이용되는 사전.

43. 제전 (祭典) [제:전]

한자: 祭(제사 제:), 典(법 전:)

「1」제사의 의식.
「2」문화, 예술, 체육 따위와 관련하여 성대히 열리는 사회적인 행사.

용례:

  • 「2」민속놀이 제전.
  • 「2」저주받은 영혼은 신성한 불 속에 던져서 정화된 뒤에야 구원받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불의 제전은 다른 어떤 의식보다 무겁게 지켜진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44. 중한사전 (中韓辭典) [중한사전]

한자: 中(가운데 중), 韓(한국/나라 한(:)), 辭(말씀 사), 典(법 전:)

중국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45. 집전 (執典) [집쩐]

한자: 執(잡을 집), 典(법 전:)

「1」전례(典禮)를 다잡아 집행함.
「2」전례(典禮)를 다잡아 집행하는 사람.

용례:

  • 「1」교황의 집전으로 성탄절 미사가 거행되었다.
  • 「1」주례의 집전 아래 결혼식을 치렀다.
  • 「1」교주의 집전 아래 제사가 거행되었다.

46. 축전 (祝典) [축쩐]

한자: 祝(빌 축), 典(법 전:)

축하하는 뜻으로 행하는 의식이나 행사.

용례:

  • 개막 축전.
  • 8·15 광복 기념 축전.
  • 축전에 참석하다.

47. 출전 (出典) [출쩐]

한자: 出(날[生] 출), 典(법 전:)

인용한 글이나 고사(故事), 성어(成語) 따위의 출처가 되는 서적.

용례:

  • 고사의 출전을 밝히다.
  • 그 내용은 출전이 불분명하다.

48. 큰사전 (큰辭典) [큰사전]

한자: 辭(말씀 사), 典(법 전:)

한글 학회가 편찬한 우리말 사전. 모두 16만 4125개의 어휘를 수록한 것으로, 1929년에 시작하여 1957년에 완간하였다. 6권.

49. 특전 (特典) [특쩐]

한자: 特(특별할 특), 典(법 전:)

「1」특별히 베푸는 은전.
「2」특별한 규칙.
「3」특별한 의식(儀式).

용례:

  • 「1」특전을 입다.
  • 「1」특전을 베풀다.
  • 「1」이번 대회 우승자에게는 해외여행의 특전이 주어진다.
  • 「1」그는 모범적인 수형 생활로 가석방의 특전을 받게 되었다.
  • 「1」그런 특전도 없으면 훈장에 무슨 보람이 있단 말요.≪이병주, 지리산≫

50. 한독사전 (韓獨辭典) [한:독싸전]

한자: 韓(한국/나라 한(:)), 獨(홀로 독), 辭(말씀 사), 典(법 전:)

한국어를 독일어로 풀이한 사전.

51. 한불사전 (韓佛辭典) [한:불사전]

한자: 韓(한국/나라 한(:)), 佛(부처 불), 辭(말씀 사), 典(법 전:)

한국어를 프랑스어로 풀이한 사전.

52. 한영사전 (韓英辭典) [하:녕사전]

한자: 韓(한국/나라 한(:)), 英(꽃부리 영), 辭(말씀 사), 典(법 전:)

한국어를 영어로 풀이한 사전.

53. 한일사전 (韓日辭典) [하:닐사전]

한자: 韓(한국/나라 한(:)), 日(날 일), 辭(말씀 사), 典(법 전:)

한국어를 일본어로 풀이한 사전.

54. 한중사전 (韓中辭典) [한:중사전]

한자: 韓(한국/나라 한(:)), 中(가운데 중), 辭(말씀 사), 典(법 전:)

한국어를 중국어로 풀이한 사전.

55. 한한자전 (漢韓字典) [한:한자전]

한자: 漢(한수/한나라 한:), 韓(한국/나라 한(:)), 字(글자 자), 典(법 전:)

한자와 한자어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 읽히는 음을 밝히고 그 뜻과 용법 따위를 우리말로 설명한 사전.

56. 휼전 (恤典) [휼쩐]

한자: 恤(불쌍할 휼), 典(법 전:)

정부에서 이재민 등을 구제하기 위하여 내리는 특전(特典).

용례:

부장 연천령은 국사(國事)에 신명을 바쳤사온즉 휼전을 내리옵심이 마땅하올 줄로 아뢰오.≪홍명희, 임꺽정≫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典 법 전: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