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電 번개 전: - 2

46. 예전 (禮電) [예전]

한자: 禮(예도 례:), 電(번개 전:)

「1」사례의 전보(電報).
「2」의례적인 전보.

47. 외전 (外電) [외:전]

한자: 外(바깥 외:), 電(번개 전:)

외국으로부터 온 통신.

48. 요전 (耀電) [요전]

한자: 耀(빛날 요), 電(번개 전:)

번쩍이는 번갯불.

49. 우전 (郵電) [우전]

한자: 郵(우편 우), 電(번개 전:)

우편과 전보를 아울러 이르는 말.

50. 원자력발전 (原子力發電) [원자력발쩐]

한자: 原(언덕 원), 子(아들 자), 力(힘 력), 發(필 발), 電(번개 전:)

원자력을 응용한 발전. 원자핵 분열에 의하여 발생한 열에너지로 만든 증기로 발전기를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51. 원전 (原電) [원전]

한자: 原(언덕 원), 電(번개 전:)

‘원자력 발전소’(원자핵이 붕괴할 때 생기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하여 전기를 얻는 발전소.)를 줄여 이르는 말.

52. 위전 (僞電) [위전]

한자: 僞(거짓 위), 電(번개 전:)

거짓 전보.

53. 유전 (流電) [유전]

한자: 流(흐를 류), 電(번개 전:)

번개가 칠 때 번쩍이는 빛.

54. 음전 (陰電) [음전]

한자: 陰(그늘 음), 電(번개 전:)

음의 부호를 가지는 전기. 수지(樹脂)를 모피(毛皮)에 문지를 때 발생하는 전기 따위가 있다.

55. 음하전 (陰荷電) [음하전]

한자: 陰(그늘 음), 荷(멜 하(:)), 電(번개 전:)

음의 전기를 띤 전하. 또는 음의 부호를 가지는 전하. 물체가 양전기보다 음전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56. 입전 (入電) [입쩐]

한자: 入(들 입), 電(번개 전:)

전신, 전화, 전보 따위가 들어옴.

57. 자전 (紫電) [자:전]

한자: 紫(자줏빛 자), 電(번개 전:)

「1」자줏빛이 나는 번갯불.
「2」칼의 번득이는 빛 또는 사람 눈의 날카로운 빛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매우 다급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8. 장방전 (長放電) [장방전]

한자: 長(긴 장(:)), 放(놓을 방(:)), 電(번개 전:)

「1」축전기 또는 다른 전하(電荷) 축적 장치에서, 전하가 모두 없어지기까지 장시간을 요하는 일.
「2」방전 경로의 길이가 직경에 비하여 대단히 긴 기체 방전. 번개 방전은 자연계에 일어나는 그 한 예이다.

59. 장전 (長電) [장전]

한자: 長(긴 장(:)), 電(번개 전:)

‘장거리 전화’(보통의 가입 구역 이외에, 아주 먼 구역과 통화하는 전화.)를 줄여 이르는 말.

60. 재충전 (再充電) [재:충전]

한자: 再(두 재:), 充(채울 충), 電(번개 전:)

「1」축전기 따위에 다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는 일.
「2」휴식 따위를 통하여 힘이나 실력을 축적하고 새롭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그들은 당분간 방송 활동을 중단하고 재충전의 시간을 가진 후 음반 제작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61. 전전 (前電) [전전]

한자: 前(앞 전), 電(번개 전:)

전에 친 전보(電報).

62. 절전 (節電) [절쩐]

한자: 節(마디 절), 電(번개 전:)

전기를 아껴 씀. 또는 전력을 절약함.

용례:

석유 한 방울도 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절전의 생활화가 곧 나라를 사랑하는 길이다.

63. 정전 (停電) [정전]

한자: 停(머무를 정), 電(번개 전:)

오던 전기가 끊어짐.

용례:

  • 정전 사고.
  • 이를테면 전차도 표를 미리 내고 타는데, 가다가 고장이 나거나 오래 정전이 되어 그 차를 내리면 승객은 푯값을 손해 본다.≪조풍연, 청사 수필≫

64. 정전 (靜電) [정전]

한자: 靜(고요할 정), 電(번개 전:)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하 및 그 전하에 의한 전기 현상. 마찰 전기 따위에서 볼 수 있다.

65. 조력발전 (潮力發電) [조력발쩐]

한자: 潮(밀물/조수 조), 力(힘 력), 發(필 발), 電(번개 전:)

조수 간만의 차이로 일어나는 힘을 이용하는 수력 발전.

66. 조전 (弔電) [조:전]

한자: 弔(조상할 조:), 電(번개 전:)

조문(弔問)의 뜻을 표시하기 위하여 보내는 전보.

용례:

조전을 치다.

67. 중전 (重電) [중:전]

한자: 重(무거울 중:), 電(번개 전:)

중량이 큰 전기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발전기, 전동기, 변압기 따위를 이르며, 넓게는 발전용 보일러, 터빈까지를 포함한다.

68. 지급전 (至急電) [지급쩐]

한자: 至(이를 지), 急(급할 급), 電(번개 전:)

일반 전보보다 더 빨리 전송하는 특별 전보.

69. 진전 (震電) [진:전]

한자: 震(우레 진:), 電(번개 전:)

천둥과 번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70. 착전 (着電) [착쩐]

한자: 着(붙을 착), 電(번개 전:)

전신이나 전보가 도착함. 또는 그 전신이나 전보.

71. 초전 (招電) [초전]

한자: 招(부를 초), 電(번개 전:)

사람을 부르거나 초대하기 위한 전보나 전화.

용례:

초전을 받다.

72. 축전 (祝電) [축쩐]

한자: 祝(빌 축), 電(번개 전:)

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보내는 전보.

용례:

  • 축전을 치다.
  • 그는 친구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하여 축전을 보냈다.

73. 축전 (蓄電) [축쩐]

한자: 蓄(모을 축), 電(번개 전:)

축전기나 축전지에 전기를 모아 둠.

74. 충전 (充電) [충전]

한자: 充(채울 충), 電(번개 전:)

「1」축전지나 축전기에 전기 에너지를 채워 넣는 일.
「2」휴식을 하면서 활력을 되찾거나 실력을 기르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5. 타전 (打電) [타:전]

한자: 打(칠 타:), 電(번개 전:)

전보나 무전을 침.

용례:

무전기가 고장 나서 타전이 불가능했다.

76. 태양열발전 (太陽熱發電) [태양녈발쩐]

한자: 太(클 태), 陽(볕 양), 熱(더울 열), 發(필 발), 電(번개 전:)

태양 에너지를 모아서 열로 변환하고, 열기관에 의하여 전력으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

77. 통전 (通電) [통전]

한자: 通(통할 통), 電(번개 전:)

「1」전류를 통함.
「2」전국 각지로 널리 알리는 전보. 중국에서 보급된 제도이다.

78. 특전 (特電) [특쩐]

한자: 特(특별할 특), 電(번개 전:)

신문, 통신 따위의 독특한 전보나 전신. 주로 외국이나 지방 특파원이 보도한다.

79. 폐가전 (廢家電) [폐:가전]

한자: 廢(폐할/버릴 폐:), 家(집 가), 電(번개 전:)

못 쓰게 된 가정용 전기 기기 제품.

용례:

일부 선진국에서는 폐가전 재활용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80. 풍력발전 (風力發電) [풍녁발쩐]

한자: 風(바람 풍), 力(힘 력), 發(필 발), 電(번개 전:)

바람으로 풍차를 회전하여 전기를 일으키는 방법.

81. 하전 (荷電) [하전]

한자: 荷(멜 하(:)), 電(번개 전:)

「1」물체가 띠고 있는 정전기의 양. 같은 부호의 전하 사이에는 미는 힘이, 다른 부호의 전하 사이에는 끄는 힘이 작용한다. 한 점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점전하라고 하며, 이것이 이동하는 현상이 전류이다.
「2」어떤 물체가 전기를 띰. 또는 그렇게 함.

82. 화력발전 (火力發電) [화:력발쩐]

한자: 火(불 화(:)), 力(힘 력), 發(필 발), 電(번개 전:)

석탄, 석유, 천연가스 따위의 연소로 얻은 열에너지를 원동기를 써서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고, 발전기를 돌려 전기 에너지를 일으키는 방식. 기력 발전, 가스 터빈 발전, 내연력(內燃力) 발전 따위가 있다.

83. 회전 (回電) [회전]

한자: 回(돌아올 회), 電(번개 전:)

전보로 회답함. 또는 그 전보.

84. 훈전 (訓電) [훈:전]

한자: 訓(가르칠 훈:), 電(번개 전:)

전보로 보내는 훈령.

85. 휴전 (休電) [휴전]

한자: 休(쉴 휴), 電(번개 전:)

송전(送電)을 일시적으로 중단함.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電 번개 전: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