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전 (家電) [가전]
한자: 家(집 가), 電(번개 전:)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탁기, 냉장고, 텔레비전 따위의 전기 기기 제품.
용례:
그 회사는 대형 냉장고 등 주로 값비싼 가전을 취급한다.
2. 감전 (感電) [감:전]
한자: 感(느낄 감:), 電(번개 전:)
전기에 감응함. 전기가 통하고 있는 도체(導體)에 신체의 일부가 닿아서 순간적으로 충격을 받는 것으로, 화상을 입거나 목숨을 잃기도 한다.
용례:
- 감전 사고.
- 전기 제품을 잘못 다루면 감전으로 죽을 수도 있다.
3. 강전 (強電) [강전]
한자: 強(강할 강(:)), 電(번개 전:)
「1」공업용으로 사용하는 대전류(大電流), 고전압, 대전력(大電力) 따위를 이르는 말.
「2」전기 에너지의 전송 및 기계 에너지·열에너지로의 변환을 다루는 전기 공학 부문.
4. 격려전 (激勵電) [경녀전]
한자: 激(격할 격), 勵(힘쓸 려:), 電(번개 전:)
용기나 의욕이 솟아나도록 북돋워 주기 위하여 치는 전보.
5. 경전 (輕電) [경전]
한자: 輕(가벼울 경), 電(번개 전:)
전기 기기나 전기 기구 가운데 비교적 가벼운 것. 주로 가정용 전기 기구나 전구, 전지 따위를 이른다.
6. 공전 (公電) [공전]
한자: 公(공평할 공), 電(번개 전:)
국가 기관이나 공공 단체에서 공무(公務)를 위하여 서로 주고받는 전보.
7. 공전 (空電) [공전]
한자: 空(빌 공), 電(번개 전:)
「1」‘공중 전기’(번개, 오로라, 천둥, 세인트 엘모의 불 따위에 의하여 대기 중에 생기는 전자기파.)를 줄여 이르는 말.
「2」번개, 오로라, 천둥, 세인트 엘모의 불 따위에 의하여 대기 중에
생기는 전자기파의 방해.
8. 구전 (球電) [구전]
한자: 球(공 구), 電(번개 전:)
번개나 천둥에 의한 방전 현상으로 생기는 빛의 덩어리. 뇌우가 멎을 즈음에 매우 드물게 지상 가까이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지름이 약 20cm가량인 둥근 발광체가 구름에서 떨어져 나와 붉은빛을 띤 누런색 빛을 내며 수 초에서 수십 초 동안 떠다닌다. 흔히 도깨비불로 알려져 있다.
9. 급전 (急電) [급쩐]
한자: 急(급할 급), 電(번개 전:)
급한 일을 알리는 전보나 전화.
용례:
- 그는 아버지가 위독하다는 급전을 받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 큰 지진이 일어났다는 급전이 날아왔다.
- 오늘 스기무라 임시 대리 공사의 급전에 의하면 조선 조정에서 위안스카이를 통하여 출병을 요청한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합니다.≪유주현, 대한 제국≫
10. 급전 (給電) [급쩐]
한자: 給(줄 급), 電(번개 전:)
수요자에게 전기를 공급함.
11. 기전 (起電) [기전]
한자: 起(일어날 기), 電(번개 전:)
전기를 일으킴.
12. 내전 (內電) [내:전]
한자: 內(안 내:), 電(번개 전:)
나라 안에서만 주고받는 전신(電信).
13. 내전 (來電) [내:전]
한자: 來(올 래(:)), 電(번개 전:)
「1」전보가 옴. 또는 그 전보.
「2」전화가 옴. 또는 그 전화.
14. 뇌전 (雷電) [뇌전]
한자: 雷(우레 뢰), 電(번개 전:)
천둥과 번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15. 누전 (漏電) [누:전]
한자: 漏(샐 루:), 電(번개 전:)
절연(絕緣)이 불완전하거나 시설이 손상되어 전기가 전깃줄 밖으로 새어 흐름. 또는 그 전류.
용례:
- 누전으로 화재가 발생하다.
- 누전을 막는 차단기를 설치하다.
- 오래된 건물은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의 위험이 크다.
16. 단전 (斷電) [단:전]
한자: 斷(끊을 단:), 電(번개 전:)
전기의 공급이 중단됨. 또는 그렇게 함.
용례:
- 단전 조치.
- 지난여름에는 예비 전력이 모자라서 단전이 불가피했다.
17. 답전 (答電) [답쩐]
한자: 答(대답 답), 電(번개 전:)
전보로 회답함. 또는 그 전보.
용례:
- 답전을 보내다.
- 답전을 치다.
18. 대전 (帶電) [대전]
한자: 帶(띠 대(:)), 電(번개 전:)
어떤 물체가 전기를 띰. 또는 그렇게 함.
19. 도전 (盜電) [도전]
한자: 盜(도둑 도(:)), 電(번개 전:)
전력을 몰래 훔쳐 씀.
20. 도전 (導電) [도:전]
한자: 導(인도할 도:), 電(번개 전:)
전위차가 있는 두 물체를 도체로 연결하였을 때 전류가 흐르는 현상. 자유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우와, 음양 이온의 이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21. 막전 (幕電) [막쩐]
한자: 幕(장막 막), 電(번개 전:)
먼 곳에서 활동하는 뇌우의 번갯불을 받아서 구름 전체가 밝아지는 현상. 번갯불은 구름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고 빛의 반사만 보인다.
22. 무전 (無電) [무전]
한자: 無(없을 무), 電(번개 전:)
「1」‘무선 전신’(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신을 주고받는 통신 방식.)을 줄여 이르는 말.
「2」‘무선 전화’(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를 이용한 전화. 국제 전화나 항공기,
자동차, 선박 따위의 연락에 쓴다.)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1」무전을 치다.
- 「1」분대장이 음어를 사용하여 무전을 때리기 시작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 「2」연대장님이 직접 무전을 통해 대대장님께 곧 후송토록 하라고 지시하셨습니다.≪홍성원, 육이오≫
23. 밀전 (密電) [밀쩐]
한자: 密(빽빽할 밀), 電(번개 전:)
몰래 보내는 전보.
용례:
밀전을 보내다.
24. 반전 (返電) [반:전]
한자: 返(돌이킬 반:), 電(번개 전:)
전보로 회답함. 또는 그 전보.
25. 발송전 (發送電) [발쏭전]
한자: 發(필 발), 送(보낼 송:), 電(번개 전:)
전기를 만들어 내는 일과 전기를 보내는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10여 년 전만 해도 발송전 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서 정전 사고가 자주 일어났다.
26. 발전 (發電) [발쩐]
한자: 發(필 발), 電(번개 전:)
「1」전기를 일으킴.
「2」전보를 쳐서 보냄.
용례:
「1」그 발전기의 최대 발전 용량이 얼마나 될까?
27. 방전 (妨電) [방전]
한자: 妨(방해할 방), 電(번개 전:)
무선 전신에서 여러 가지 전자기적 영향으로 전파가 방해받는 일.
28. 방전 (放電) [방:전]
한자: 放(놓을 방(:)), 電(번개 전:)
「1」전지나 축전기 또는 전기를 띤 물체에서 전기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현상.
「2」기체 따위의 절연체를 사이에 낀 두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하였을 때, 전류가 흐르는 현상. 불꽃 방전, 진공
방전 따위가 있다.
29. 배전 (配電) [배:전]
한자: 配(나눌/짝 배:), 電(번개 전:)
발전소에서 보내온 전력을 수용자에게 분배하거나 공급하는 일.
30. 변전 (變電) [변:전]
한자: 變(변할 변:), 電(번개 전:)
전력을 송전·배전하기에 적당한 전압으로 승압하거나 강압하는 일. 또는 교류를 직류로 바꾸거나 주파수를 바꾸는 일.
31. 별전 (別電) [별쩐]
한자: 別(다를/나눌 별), 電(번개 전:)
「1」따로 친 전보.
「2」다른 계통으로 들어온 전보.
32. 비전 (飛電) [비전]
한자: 飛(날 비), 電(번개 전:)
「1」아주 빠른 번개.
「2」가장 빠른 전보.
33. 비하전 (比荷電) [비:하전]
한자: 比(견줄 비:), 荷(멜 하(:)), 電(번개 전:)
입자가 가지는 전하와 질량과의 비율. 자기장이나 전기장에서, 이 비율이 같은 입자는 동일한 활동을 한다.
34. 사전 (私電) [사전]
한자: 私(사사(私事) 사), 電(번개 전:)
개인의 사사로운 전보.
35. 사전 (謝電) [사:전]
한자: 謝(사례할 사:), 電(번개 전:)
감사의 뜻을 나타내는 전보.
36. 섬전 (閃電) [섬전]
한자: 閃(번쩍일 섬), 電(번개 전:)
순간적으로 번쩍이는 번갯불이나 전기의 불꽃.
용례:
- 섬전이 일다.
- 그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괴인의 동작은 섬전처럼 빨랐다.
37. 송배전 (送配電) [송:배전]
한자: 送(보낼 송:), 配(나눌/짝 배:), 電(번개 전:)
송전과 배전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송배전 공사.
- 고압 송배전 설비 점검.
38. 송전 (送電) [송:전]
한자: 送(보낼 송:), 電(번개 전:)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변전소로 보내는 일.
용례:
- 전력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제한 송전이 불가피하다.
- 남북 협상이 결렬된 다음 남한 송전이 중단됨으로써 전기 사정은 극도로 악화되었다.≪조정래, 태백산맥≫
39. 수력발전 (水力發電) [수력발쩐]
한자: 水(물 수), 力(힘 력), 發(필 발), 電(번개 전:)
물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서 전기를 일으키는 발전 방식.
40. 수전 (水電) [수전]
한자: 水(물 수), 電(번개 전:)
‘수력 전기’(물의 힘을 동력으로 하여 발전기를 움직여서 일으키는 전기.)를 줄여 이르는 말.
41. 수전 (受電) [수전]
한자: 受(받을 수(:)), 電(번개 전:)
「1」전신(電信), 전보(電報)를 받는 일.
「2」보내진 전력을 받는 일.
42. 암방전 (暗放電) [암:방전]
한자: 暗(어두울 암:), 放(놓을 방(:)), 電(번개 전:)
기체 중에서 빛을 내지 아니하는 전기 방전.
43. 약전 (弱電) [약쩐]
한자: 弱(약할 약), 電(번개 전:)
「1」주로 통신 따위를 다루는 전기 공학 부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통신 따위에 쓰는 약한 전류.
44. 양전 (陽電) [양전]
한자: 陽(볕 양), 電(번개 전:)
비단 헝겊으로 유리 막대를 문질렀을 때 유리 막대 쪽에 생기는 전기. 또는 그와 같은 성질의 전기. 원자핵이 가지고 있는 전기이며 부호는 ‘+’로 표시한다.
45. 양하전 (陽荷電) [양하전]
한자: 陽(볕 양), 荷(멜 하(:)), 電(번개 전:)
양의 전기를 띤 전하. 또는 양의 부호를 가지는 전하. 물체가 음전기보다 양전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電 번개 전: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