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냉각재 (冷却材) [냉:각째]
한자: 冷(찰 랭:), 却(물리칠 각), 材(재목 재)
원자로 속에서 핵분열 반응으로 생기는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쓰는 물질. 보통 중수(重水)와 경수(輕水)가 사용되나 공기, 이산화 탄소, 헬륨, 액상 유기물, 나트륨, 수은 따위가 사용되기도 한다.
42. 냉재 (冷材) [냉:재]
한자: 冷(찰 랭:), 材(재목 재)
성질이 찬 약재. 황금(黃芩), 치자(梔子) 따위를 이른다.(양재)
43. 노재 (駑材) [노재]
한자: 駑(둔한말 노), 材(재목 재)
「1」재주와 지혜가 우둔하고 뒤떨어짐. 또는 그런 사람.
「2」자신의 재능과 지략을 낮추어 이르는 말.
44. 늑재 (肋材) [늑째]
한자: 肋(갈빗대 륵), 材(재목 재)
선박의 늑골을 이루는 재료.
45. 단열재 (斷熱材) [다:녈째]
한자: 斷(끊을 단:), 熱(더울 열), 材(재목 재)
보온을 하거나 열을 차단할 목적으로 쓰는 재료. 열이 전도되기 어려운 석면, 유리 섬유, 코르크, 발포 플라스틱 따위를 쓴다.
용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집을 지으려면 천장과 벽에 단열재를 설치해야 한다.
46. 당약재 (唐藥材) [당약째]
한자: 唐(당나라/당황할 당(:)), 藥(약 약), 材(재목 재)
예전에, 중국에서 나는 약재를 이르던 말.(당재)
47. 대악재 (大惡材) [대:악째]
한자: 大(큰 대(:)), 惡(악할 악), 材(재목 재)
상황이 크게 나빠지는 원인이 되는 재료.
48. 대재 (大材) [대:재]
한자: 大(큰 대(:)), 材(재목 재)
「1」큰 목재(木材)나 석재(石材).
「2」큰 인물.
49. 도색재 (塗色材) [도색째]
한자: 塗(칠할 도), 色(빛 색), 材(재목 재)
칠감을 만드는 데 쓰는 재료.
50. 돌자재 (돌資材) [돌:자재]
한자: 資(재물 자), 材(재목 재)
돌이나 바위를 일정한 규격으로 자르거나 깨뜨리거나 물리적 변화를 주어 만든 자재.
51. 동량재 (棟梁材) [동냥재]
한자: 棟(마룻대 동), 梁(들보/돌다리 량), 材(재목 재)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집안이나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를 이르는 말.
52. 마감재 (마감材) [마감재]
한자: 材(재목 재)
건물의 겉면을 마감하는 데 쓰는 재료. 외부의 여러 가지 영향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건물의 외양을 아름답게 한다.
53. 메움재 (메움材) [메움재]
한자: 材(재목 재)
건설물이나 설비들을 조립할 때 생기는 여러 가지 틈이나 홈, 구멍 따위를 메우는 데 쓰는 재료. 유리면, 석면, 고무, 면, 시멘트, 나무 따위가 있다.
54. 모재 (母材) [모:재]
한자: 母(어미 모:), 材(재목 재)
「1」주요한 재료. 특히 콘크리트에 있어서 시멘트를 이른다.
「2」용접할 때 그 대상이 되는 금속.
55. 목재 (木材) [목째]
한자: 木(나무 목), 材(재목 재)
건축이나 가구 따위에 쓰는, 나무로 된 재료.
용례:
- 목재 사다리.
- 목재로 만든 소반.
- 목재를 써서 책상과 걸상을 만들다.
56. 무심재 (無心材) [무심재]
한자: 無(없을 무), 心(마음 심), 材(재목 재)
심이 없는 재목.
57. 무절재 (無節材) [무절째]
한자: 無(없을 무), 節(마디 절), 材(재목 재)
옹이가 없는, 질이 좋은 목재.
58. 문재 (門材) [문재]
한자: 門(문 문), 材(재목 재)
문을 짜는 데 쓰는 질이 좋은 목재.
59. 물재 (物材) [물째]
한자: 物(물건 물), 材(재목 재)
어떤 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이나 재료.
60. 미재 (美材) [미:재]
한자: 美(아름다울 미(:)), 材(재목 재)
「1」아름다운 재목. 또는 양질의 재목.
「2」훌륭한 재능. 또는 빼어난 능력.
61. 밀봉재 (密封材) [밀봉재]
한자: 密(빽빽할 밀), 封(봉할 봉), 材(재목 재)
밀봉하는 데 쓰는 재료.
62. 바닥재 (바닥材) [바닥째]
한자: 材(재목 재)
건물의 바닥에 쓰는 건축 재료.
용례:
- 바닥재를 새것으로 바꾸었더니 집 분위기가 확 달라졌다.
- 집수리를 하면서 바닥재를 나무로 바꾸었다.
63. 반사재 (反射材) [반:사재]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射(쏠 사(:)), 材(재목 재)
「1」원자로 안에서 핵분열에 의하여 생성된 중성자를 유효하게 쓰도록 누출을 막는 물질. 흑연, 중수, 베릴륨 따위가 있다.
「2」빛을 받아서 반사하는 물체.
64. 발열재 (發熱材) [바렬째]
한자: 發(필 발), 熱(더울 열), 材(재목 재)
「1」열을 낼 목적으로 쓰는 재료.
「2」주로 온상 모판에서 열을 내기 위하여 이용하는 재료. 흔히 생두엄, 볏짚, 북데기 따위를 쓴다.
65. 방부재 (防腐材) [방부재]
한자: 防(막을 방), 腐(썩을 부:), 材(재목 재)
건축 재료나 침목 따위가 박테리아, 버섯 따위의 작용으로 썩는 것을 막기 위하여 쓰는 약품. 황산 동, 이염화 수은, 크레오소트 따위가 있다.
66. 방수재 (防水材) [방수재]
한자: 防(막을 방), 水(물 수), 材(재목 재)
건물이나 도로에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재료. 아스팔트 따위가 있다.
67. 방습재 (防濕材) [방습째]
한자: 防(막을 방), 濕(젖을 습), 材(재목 재)
건물 안에 습기가 스며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재료. 아스팔트, 도료, 합성수지 따위가 있다.
68. 방음재 (防音材) [방음재]
한자: 防(막을 방), 音(소리 음), 材(재목 재)
소리를 막는 재료. 코르크, 유리 섬유, 펠트 따위가 있다.
69. 방재 (防材) [방재]
한자: 防(막을 방), 材(재목 재)
적의 함정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항만, 해협, 강 따위의 뱃길에 설치한 방해물. 흔히 통나무를 쇠줄로 엮어 물에 띄운다.
70. 방찰재 (防擦材) [방찰째]
한자: 防(막을 방), 擦(문지를 찰), 材(재목 재)
마찰이나 닳는 것을 막기 위한 재료.
71. 방풍재 (防風材) [방풍재]
한자: 防(막을 방), 風(바람 풍), 材(재목 재)
바람을 막기 위한 재료.
72. 방현재 (防舷材) [방현재]
한자: 防(막을 방), 舷(뱃전 현), 材(재목 재)
뱃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두른, 나무나 고무로 만든 띠.
73. 백변재 (白邊材) [백뼌재]
한자: 白(흰 백), 邊(가[側] 변), 材(재목 재)
통나무의 껍질 가까이에 위치한 희고 무른 부분을 켜 낸 재목. 수액이 많아 무르고 썩거나 변형되기 쉽다.(백육재)
74. 백재 (白材) [백째]
한자: 白(흰 백), 材(재목 재)
통나무의 겉 부분. 빛은 희고 몸은 무르며 질이 거칠어, 그릇이나 건축재로는 적당하지 않다.(변재)
75. 벌재 (벌材) [벌째]
한자: 材(재목 재)
질이 나쁘고 흠집이 있는 재목. 주로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쓴다.
76. 범재 (凡材) [범:재]
한자: 凡(무릇 범(:)), 材(재목 재)
평범한 재주를 가진 사람.
용례:
나 같은 범재야 그런 어려운 공부는 죽어라 해도 소용없지만 너는 다르겠지.
77. 벽재 (僻材) [벽째]
한자: 僻(궁벽할 벽), 材(재목 재)
매우 드물게 쓰이는 약재.
용례:
약국에 내보낸 사람이 벽재를 구하여 오느라고 오래 지체하여….≪홍명희, 임꺽정≫
78. 변질재 (變質材) [변:질째]
한자: 變(변할 변:), 質(바탕 질), 材(재목 재)
질이 변한 재목(材木).
79. 보강재 (補強材) [보:강재]
한자: 補(기울 보:), 強(강할 강(:)), 材(재목 재)
제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쓰는 재료.
80. 보약재 (補藥材) [보:약째]
한자: 補(기울 보:), 藥(약 약), 材(재목 재)
보약을 만드는 약재.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