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양약재 (洋藥材) [양약째]
한자: 洋(큰바다 양), 藥(약 약), 材(재목 재)
양약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
122. 양재 (良材) [양재]
한자: 良(어질 량), 材(재목 재)
「1」좋은 재목이나 재료.
「2」훌륭한 인재.
123. 여재 (濾材) [여:재]
한자: 濾(거를 려:), 材(재목 재)
여과할 때 고체를 분리하는 데 쓰는 다공질의 재료. 흔히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는 헝겊이나 종이, 금속 망, 모래, 숯 따위가 쓰인다.
124. 연결재 (連結材) [연결째]
한자: 連(이을 련), 結(맺을 결), 材(재목 재)
기둥이나 벽판 따위 기본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것들을 서로 연결하여 묶어 주는 부재.
125. 연마재 (硏磨材) [연:마재]
한자: 硏(갈 연:), 磨(갈 마), 材(재목 재)
돌이나 쇠붙이 따위를 갈고 닦는 작업을 하는 데에 쓰는 매우 단단한 물질.(연삭재)
126. 연목재 (軟木材) [연:목째]
한자: 軟(연할 연:), 木(나무 목), 材(재목 재)
무르고 연한 재목. 보통 침엽수의 나무질이 무른 편이다.
127. 연재 (軟材) [연:재]
한자: 軟(연할 연:), 材(재목 재)
재질이 비교적 연한 침엽수 따위의 목재.
128. 연재 (硯材) [연:재]
한자: 硯(벼루 연:), 材(재목 재)
벼루를 만드는 석재(石材).
용례:
이 벼루의 연재는 경북 지역에서 캔 돌을 이용하였다.
129. 오재 (五材) [오:재]
한자: 五(다섯 오:), 材(재목 재)
사물의 다섯 가지 재료.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 또는 금, 목, 피(皮), 옥(玉), 토를 이른다.
130. 온재 (溫材) [온재]
한자: 溫(따뜻할 온), 材(재목 재)
따뜻한 성질을 지닌 약재. 한증(寒症)을 치료하는 데 쓴다.
131. 완만재 (完滿材) [완만재]
한자: 完(완전할 완), 滿(찰 만(:)), 材(재목 재)
위와 아래의 굵기 차이가 그리 나지 아니하고 죽 곧게 자란 나무. 또는 그런 재목.
132. 완충재 (緩衝材) [완:충재]
한자: 緩(느릴 완:), 衝(찌를 충), 材(재목 재)
두 물체 사이에 끼어서 충격을 완화하는 재료. 고무, 용수철 따위의 탄력성 있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133. 외장재 (外裝材) [외:장재]
한자: 外(바깥 외:), 裝(꾸밀 장), 材(재목 재)
건물의 외부를 마감하는 데 쓰는 재료.
134. 용재 (用材) [용:재]
한자: 用(쓸 용:), 材(재목 재)
「1」연료 이외에 건축·가구 따위에 쓰는 나무.
「2」재료로 쓰는 물건.
135. 운재 (運材) [운:재]
한자: 運(옮길 운:), 材(재목 재)
나무를 나름.
136. 웅재 (雄材) [웅재]
한자: 雄(수컷 웅), 材(재목 재)
뛰어난 재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
용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즐거이 도를 배워 문풍(文風)이 날로 일어나고 선비가 스스로 유예하여 웅재가 세상에 나올 수 있게 하겠느냐?≪번역 예종실록≫
137. 원목재 (原木材) [원목째]
한자: 原(언덕 원), 木(나무 목), 材(재목 재)
베어 낸 그대로 아직 가공하지 아니한 나무.
138. 원자재 (原資材) [원자재]
한자: 原(언덕 원), 資(재물 자), 材(재목 재)
공업 생산의 원료가 되는 자재.
용례:
- 에너지 부족과 원자재 확보의 어려움으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었다.
-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이 나라에 어디 자본이니 원자재니 하는 게 있어야 말이지요.≪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39. 위재 (偉材) [위재]
한자: 偉(클 위), 材(재목 재)
뛰어난 인재.
용례:
언론계의 위재로 성장하다.
140. 유심재 (有心材) [유:심재]
한자: 有(있을 유:), 心(마음 심), 材(재목 재)
나무줄기 중심부의 단단한 부분으로 된 재목.
141. 육재 (六材) [육째]
한자: 六(여섯 륙), 材(재목 재)
기물을 만드는 여섯 가지 재료. 토(土), 금(金), 석(石), 목(木), 피(皮), 초(草)를 이른다.
142. 육재 (育材) [육째]
한자: 育(기를 육), 材(재목 재)
인재를 길러 냄.
143. 인거재 (引鋸材) [인거재]
한자: 引(끌 인), 鋸(톱 거:), 材(재목 재)
톱질하여 용도에 맞게 만든 재목.
144. 인장재 (引張材) [인장재]
한자: 引(끌 인), 張(베풀 장), 材(재목 재)
당김을 받는 부재.
145. 인재 (人材) [인재]
한자: 人(사람 인), 材(재목 재)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학식이나 능력을 갖춘 사람.
용례:
- 인재 양성.
- 인재를 발굴하다.
-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다.
- 인재를 등용하다.
- 참신한 인재를 물색하다.
- 기초를 온전히 잡은 장래에는 많은 인재가 있어야만 되겠다.≪김동인, 젊은 그들≫
146. 인재 (印材) [인재]
한자: 印(도장 인), 材(재목 재)
도장을 만드는 재료. 나무, 돌, 뿔, 상아, 고무, 쇠붙이 따위가 있다.
147. 자재 (資材) [자재]
한자: 資(재물 자), 材(재목 재)
무엇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재료.
용례:
- 건축용 자재.
- 화강암을 자재로 건물을 짓다.
- 이 제품은 좋은 자재로 만들어 내구성이 강하다.
- 그렇게 구워 낸 벽돌들은 오래지 않아 곧 새로운 병사(病舍) 건축의 가장 요긴한 자재로 쓰이기 시작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148. 잔골재 (잔骨材) [잔골째]
한자: 骨(뼈 골), 材(재목 재)
크기가 작은 골재.
149. 장재 (將材) [장:재]
한자: 將(장수 장(:)), 材(재목 재)
장수가 될 만한 훌륭한 인재.
용례:
- 장재를 뽑다.
- 과연 일세의 장재로다. 내 일찍 그를 얻었던들…수모는 당하지 않았을 것을.≪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50. 저재 (樗材) [저재]
한자: 樗(가죽나무 저), 材(재목 재)
「1」쓸모없는 재주나 재능.
「2」아무 데에도 소용이 없는 재목.
151. 적심재 (赤心材) [적씸재]
한자: 赤(붉을 적), 心(마음 심), 材(재목 재)
고갱이에 가까운 부분에서 오려 낸 목재.(황장재)
152. 적재 (適材) [적째]
한자: 適(맞을 적), 材(재목 재)
어떠한 일에 알맞은 재능. 또는 그 재능을 가진 사람.
용례:
수양 없이 세자뿐으로 넉넉히 이 재상들을 조종하여 나아갈까. 적재를 적소에 두어서 비로소 그 기능이 발휘될 것이다.≪김동인, 대수양≫
153. 적층재 (積層材) [적층재]
한자: 積(쌓을 적), 層(층[層階] 층), 材(재목 재)
여러 장의 얇은 널빤지를 겹쳐 가열·압축·접착하여 강도를 높인 목재. 목재의 불균일성이 없어지고 신축도와 변형도가 적다.
154. 전건재 (全乾材) [전건재]
한자: 全(온전 전), 乾(하늘/마를 건), 材(재목 재)
물기가 전혀 없도록 건조실에서 완전히 말린 목재.
용례:
목재 가구를 만들기 위해서 창고에서 전건재를 가져왔다.
155. 전재 (箭材) [전:재]
한자: 箭(살[矢] 전:), 材(재목 재)
화살을 넣는 통. 가죽이나 대나무 따위로 만들며 뚜껑이 있다.
156. 절연재 (絕緣材) [저련재]
한자: 絕(끊을 절), 緣(인연 연), 材(재목 재)
전기나 열의 전도를 끊기 위하여 사용하는 절연체. 전기의 절연에는 사기·운모·파라핀·플라스틱·공기·기름·종이·유리 따위를 쓰고, 열의 절연에는 면·발포 스타이렌 수지·유리 섬유·도기(陶器) 따위를 쓴다.
157. 제재 (製材) [제:재]
한자: 製(지을 제:), 材(재목 재)
베어 낸 나무로 재목(材木)을 만듦.
158. 제재 (題材) [제재]
한자: 題(제목 제), 材(재목 재)
예술 작품이나 학술 연구의 바탕이 되는 재료.
용례:
제재가 반드시 즐거워야 즐겁고 제재가 반드시 굉장해야 굉장한 글이 되는 것이 아니다.≪이태준, 문장 강화≫
159. 조골재 (粗骨材) [조골째]
한자: 粗(거칠 조), 骨(뼈 골), 材(재목 재)
콘크리트 따위의 재료로 쓰는 작은 모래나 자갈. 보통 5mm 체에 걸리는 크기를 이른다.
160. 조재 (弔材) [조:재]
한자: 弔(조상할 조:), 材(재목 재)
현수교(懸垂橋)에서, 바닥 틀을 주 케이블에 수직으로 매단 부재.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材 재목 재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