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사주점 (四柱占) [사:주쩜]
한자: 四(넉 사:), 柱(기둥 주), 占(점령할 점:/점칠 점)
사주(四柱)를 가지고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
용례:
사주점을 치다.
37. 산통점 (算筒占) [산:통점]
한자: 算(셈 산:), 筒(통(筒) 통), 占(점령할 점:/점칠 점)
산통 속에 들어 있는 산가지를 좁은 구멍으로 집어내어, 그 산가지에 새겨진 숫자에 따라서 치는 점.
38. 삼성점 (參星占) [삼성점]
한자: 參(참여할 참), 星(별 성),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음력 2월 6일 초저녁에 삼성(參星)과 달의 위치를 보고 그해의 흉풍(凶豐)을 알아보는 점. 삼성과 달이 함께 가면 흉풍이 반반이고, 삼성이 앞서가면 흉년, 뒤지면 풍년이 든다고 한다.
39. 새점 (새占) [새: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새를 이용하여 치는 점. 새장 속에 괘사(卦辭)를 적은 여러 개의 쪽지를 넣고 새가 그 가운데 하나를 물어 내게 하여 길흉화복을 점친다.
40. 선점 (先占) [선점]
한자: 先(먼저 선), 占(점령할 점:/점칠 점)
「1」남보다 앞서서 차지함.
「2」민법에서, 소유주가 없는 물건을 남보다 먼저 차지하고 그 소유권을 얻는 일.
「3」국제법에서, 어느 나라의 영토에도 딸리지 않는 땅을 소유하기 위하여 다른
나라보다 먼저 차지하는 일.
용례:
- 「1」제조업체 간에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2」상표 선점.
- 「3」한때 남극점 선점은 곧 남극 정복을 의미했다.
41. 성점 (星占) [성점]
한자: 星(별 성), 占(점령할 점:/점칠 점)
별의 빛깔이나 자리를 보고 점을 치는 일.
42. 시초점 (蓍草占) [시:초점]
한자: 蓍(시초 시), 草(풀 초), 占(점령할 점:/점칠 점)
톱풀을 이용하여 치는 점.
43. 신수점 (身數占) [신수점]
한자: 身(몸 신), 數(셈 수:), 占(점령할 점:/점칠 점)
한 해 운수의 길흉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초에 치는 점.
용례:
무당 집엔 아래위 방에 신수점 보러 온 여인네들이 꽉 들어차 있었고, 무꾸리에 나오는 일 년 신수도 엇비슷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44. 신점 (神占) [신점]
한자: 神(귀신 신), 占(점령할 점:/점칠 점)
신통하게 잘 알아맞히는 점.
용례:
- 신점을 치다.
- 신점으로 소문난 무당.
45. 신점 (新占) [신점]
한자: 新(새 신), 占(점령할 점:/점칠 점)
집터나 묏자리를 새로 정함.
46. 씨점 (씨占) [씨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제주도의 풍신제(豐神祭) 영등굿놀이에서, 씨드림이 끝난 다음에 무당이 돗자리에 좁쌀을 뿌려 그 흩어진 밀도를 보아 어느 쪽에 채취물이 풍성할 것인가를 알아보는 점.
47. 역점 (易占) [역쩜]
한자: 易(바꿀 역), 占(점령할 점:/점칠 점)
팔괘, 육십사괘로 일의 길흉을 판단하는 점.
48. 연점 (年占) [연점]
한자: 年(해 년),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일 년의 길흉을 점치는 일.
49. 오행점 (五行占) [오:행점]
한자: 五(다섯 오:), 行(다닐 행(:)),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음양오행의 이치로 치는 점. 수·화·목·금·토의 글자를 새긴 다섯 개의 나무쪽이나 엽전을 윷 놀듯 던져서 나타난 글자를 주역에 맞추어 점을 친다.
50. 윷점 (윷占) [윧:쩜]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정초에 윷을 던져 그해의 길흉을 알아보는 점. 윷을 세 번 던져 나온 도, 개, 걸, 윷, 모에 괘(卦)를 붙여 괘사(卦辭)를 얻은 후에 이를 육십사괘에 맞추어 점친다.
51. 전점 (專占) [전점]
한자: 專(오로지 전), 占(점령할 점:/점칠 점)
자기 혼자서 차지함.
52. 조점 (兆占) [조점]
한자: 兆(억조 조),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점을 침. 또는 점을 쳐서 나온 점괘.
53. 준독점 (準獨占) [준:독쩜]
한자: 準(준할 준:), 獨(홀로 독), 占(점령할 점:/점칠 점)
경쟁하는 사이에 있는 몇몇 사람에 의한 독점.
54. 진점 (鎭占) [진:점]
한자: 鎭(진압할 진(:)),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일정한 지역을 진압하여 차지함.
55. 차점 (差占) [차점]
한자: 差(다를 차), 占(점령할 점:/점칠 점)
하급 관청 직원을 상급 관청에서 빼내어 일을 시킴.
56. 천기점 (天氣占) [천기점]
한자: 天(하늘 천), 氣(기운 기), 占(점령할 점:/점칠 점)
오행설 등을 응용하여 천체의 운행 및 자연 현상을 조사하여 날씨를 예언하는 점.
57. 천점 (天占) [천점]
한자: 天(하늘 천), 占(점령할 점:/점칠 점)
하늘에 나타나는 길흉의 조짐.
58. 추점 (推占) [추점]
한자: 推(밀 추), 占(점령할 점:/점칠 점)
앞으로 닥칠 일을 미루어서 점을 침.
59. 침점 (침占) [침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방향을 정할 때에 점을 치듯 하는 놀이. 손바닥에 침을 뱉어 놓고 손가락으로 쳐서 침방울이 많이 튀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 것으로, 흔히 아이들이 사람이나 잃은 물건의 행방을 찾을 때에 한다.
60. 침점 (侵占) [침:점]
한자: 侵(침노할 침), 占(점령할 점:/점칠 점)
침노하여 빼앗아 차지함.
61. 탈점 (奪占) [탈쩜]
한자: 奪(빼앗을 탈), 占(점령할 점:/점칠 점)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아 차지함.
62. 태을점 (太乙占) [태을쩜]
한자: 太(클 태), 乙(새 을),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음양가에서 행하는 점의 하나. 북쪽 하늘에 있으면서 병란, 재화, 생사 따위를 맡아 다스린다는 태을성이 팔방으로 움직이는 위치에 따라서 길흉을 점친다.
63. 태일점 (太一占) [태일쩜]
한자: 太(클 태), 一(한 일),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음양가에서 행하는 점의 하나. 북쪽 하늘에 있으면서 병란, 재화, 생사 따위를 맡아 다스린다는 태을성이 팔방으로 움직이는 위치에 따라서 길흉을 점친다.
64. 태점 (胎占) [태점]
한자: 胎(아이밸 태), 占(점령할 점:/점칠 점)
배 속에 든 아이가 남자인지 여자인지 알기 위하여 치는 점.
용례:
- 태점으로는 딸이라고 한다.
- 예전에는 태점을 쳐서 짐작했지만 요즘은 초음파 촬영으로 알아볼 수 있다.
65. 파자점 (破字占) [파:자점]
한자: 破(깨뜨릴 파:), 字(글자 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한자의 자획을 나누거나 합하여 길흉을 점침. 또는 그런 점.
66. 필점 (筆占) [필쩜]
한자: 筆(붓 필),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점술에서, 글씨 쓴 사람의 필력과 필세로써 운수나 길흉을 점침.
67. 행년점 (行年占) [행년점]
한자: 行(다닐 행(:)), 年(해 년), 占(점령할 점:/점칠 점)
그해의 신수를 알아보려고 치는 점.
68. 흉점 (凶占) [흉점]
한자: 凶(흉할 흉), 占(점령할 점:/점칠 점)
운이 나쁘거나 불길한 조짐의 점.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占 점령할 점:/점칠 점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