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점 (奸占) [간점]
한자: 奸(간사할 간), 占(점령할 점:/점칠 점)
남의 아내나 딸을 빼앗아 차지함.
2. 강점 (強占) [강:점]
한자: 強(강할 강(:)), 占(점령할 점:/점칠 점)
남의 물건, 영토, 권리 따위를 강제로 차지함.
용례:
일제의 한반도 강점.
3. 거북점 (거북占) [거북쩜]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1」거북의 등딱지를 불에 태워서 그 갈라지는 틈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점.
「2」골패(骨牌)로 거북패를 지어 길흉을 판단하는 점.
용례:
「2」거북점을 치다.
4. 계명점 (鷄鳴占) [계명점]
한자: 鷄(닭 계), 鳴(울 명), 占(점령할 점:/점칠 점)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첫닭 울음소리로 그해 농사를 점치는 일. 열 번 이상 울면 그해에는 풍년이 든다고 한다.
5. 과점 (科占) [과점]
한자: 科(과목 과), 占(점령할 점:/점칠 점)
과거의 급제 여부를 미리 알고 싶어 치던 점.
6. 과점 (寡占) [과:점]
한자: 寡(적을 과:), 占(점령할 점:/점칠 점)
몇몇 기업이 어떤 상품 시장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상태.
용례:
자유로운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로는 공급의 독점이나 과점 행위를 들 수 있다.
7. 관매점 (觀梅占) [관매쩜]
한자: 觀(볼 관), 梅(매화 매),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점술에서, 괘(卦)를 뽑아 그날의 운수를 보는 점.
8. 광점 (廣占) [광:점]
한자: 廣(넓을 광:), 占(점령할 점:/점칠 점)
땅을 넓게 차지함.
9. 구점 (口占) [구:점]
한자: 口(입 구(:)), 占(점령할 점:/점칠 점)
「1」즉석에서 시를 지어 읊음.
「2」문서에 의하지 않고 말로써 전함.
용례:
「1」옥에서 나오는 날 들것에 실려 나왔는데 길에서 문득 구점으로 시 한 구를 읊었다.≪번역 중종실록≫
10. 국점 (國占) [국쩜]
한자: 國(나라 국), 占(점령할 점:/점칠 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라의 운명이나 길흉을 미리 판단하는 일.
11. 귀점 (龜占) [귀점]
한자: 龜(거북 귀), 占(점령할 점:/점칠 점)
거북의 등딱지를 불에 태워서 그 갈라지는 틈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점.
12. 금점 (琴占) [금점]
한자: 琴(거문고 금), 占(점령할 점:/점칠 점)
악기 금(琴)을 타서 신령을 맞아 길흉을 판단하는 점.
13. 기와점 (기와占) [기와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기와를 던져 깨진 금으로 길흉을 점치는 일.
14. 길점 (吉占) [길쩜]
한자: 吉(길할 길), 占(점령할 점:/점칠 점)
운이 좋거나 상서로운 조짐의 점.
15. 농점 (農占) [농점]
한자: 農(농사 농), 占(점령할 점:/점칠 점)
주로 정월에 그해 농사의 풍흉(豐凶)을 알아보려고 치는 점.
용례:
농점을 치다.
16. 다점 (多占) [다점]
한자: 多(많을 다), 占(점령할 점:/점칠 점)
몇몇 기업이 어떤 상품 시장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상태.
17. 단시점 (短蓍占) [단:시쩜]
한자: 短(짧을 단(:)), 蓍(시초 시), 占(점령할 점:/점칠 점)
솔잎 따위를 뽑아서 간단하게 치는 점.
용례:
단시점을 치다.
18. 닭점 (닭占) [닥쩜]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닭을 잡아서 그 뼈나 눈을 보고 치는 점.
19. 독과점 (獨寡占) [독꽈점]
한자: 獨(홀로 독), 寡(적을 과:), 占(점령할 점:/점칠 점)
독점과 과점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독과점 규제.
- 업계는 마지막 자구책으로 부문별 독과점을 꾀했다.
20. 독점 (獨占) [독쩜]
한자: 獨(홀로 독), 占(점령할 점:/점칠 점)
「1」혼자서 모두 차지함.
「2」개인이나 하나의 단체가 다른 경쟁자를 배제하고 생산과 시장을 지배하여 이익을 독차지함. 또는 그런 경제 현상.
용례:
- 「1」외국 기업이 독점 생산 하던 부품을 우리 기업이 개발하였다.
- 「2」경제 행위에 대한 지나친 간섭과 규제가 많을 때 독점이 나타나기 쉽다.
21. 돈점 (돈占) [돈: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동전 따위를 던져서 그 나타나는 면에 따라 길흉을 점치는 일.
22. 매점 (買占) [매:점]
한자: 買(살 매:), 占(점령할 점:/점칠 점)
물건값이 오를 것을 예상하고 폭리를 얻기 위하여 물건을 몰아서 사들임.
용례:
검찰에서는 악덕 상인들의 매점을 집중 단속 하기로 했다.
23. 맥근점 (麥根占) [맥끈점]
한자: 麥(보리 맥), 根(뿌리 근), 占(점령할 점:/점칠 점)
입춘 날 농가에서 보리 뿌리를 파 보고 그해 농작물의 풍흉을 점치는 일. 보리 뿌리가 세 가닥 이상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이라고 한다.
24. 모점 (冒占) [모:점]
한자: 冒(무릅쓸 모), 占(점령할 점:/점칠 점)
법을 어기면서 남의 재산을 차지함.
25. 목영점 (木影占) [모경점]
한자: 木(나무 목), 影(그림자 영:), 占(점령할 점:/점칠 점)
달빛에 의하여 생긴 나무의 그림자로 그해 농사의 풍흉(豐凶)을 알아보는 점. 정월 보름날 달이 중천에 뜨면 마당에 한 자 길이의 나무를 세워 그 그림자가 8치면 풍년이 들고 6~7치면 평년, 5치면 흉년이 들고 4치면 수재(水災)와 병충해가 심하고, 3치면 곡식이 여물지 않는다고 한다.
26. 뫼점 (뫼占) [뫼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제주도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행하는 풍속의 하나. 사발에 쌀을 안쳐 솥에 넣어 밥을 한 뒤 그 밥의 생긴 모양으로 점을 치는데, 가운데가 솟아 있으면 길하고 움푹 패어 있으면 흉하다고 한다.
27. 반독점 (反獨占) [반:독쩜]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獨(홀로 독), 占(점령할 점:/점칠 점)
독점을 반대하는 것.
용례:
이 기업이 반독점을 위반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28. 반독점 (半獨占) [반:독쩜]
한자: 半(반(半) 반:), 獨(홀로 독), 占(점령할 점:/점칠 점)
거의 독점과 가까운 수준으로 차지함. 또는 그런 현상.
용례:
정부가 거대 기업의 반독점을 금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29. 배꼽점 (배꼽占) [배꼽쩜]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골패로 떼는 점 놀이의 하나. 골패 짝을 가로, 세로 다섯씩 엎어 벌이고 네 귀와 가운뎃줄의 위아래 머리에 한 짝씩 놓으며, 남은 한 짝은 한가운데 짝에 겹쳐 놓은 뒤에 한 짝씩 젖혀서 떼어 나간다.
30. 별점 (별占) [별:점]
한자: 占(점령할 점:/점칠 점)
별의 빛깔이나 자리를 보고 점을 치는 일.
31. 병점 (病占) [병:쩜]
한자: 病(병 병:), 占(점령할 점:/점칠 점)
병이 곧 나을 것인지 오래갈 것인지를 알고자 점을 침. 또는 그 점.
32. 복점 (卜占) [복쩜]
한자: 卜(점 복), 占(점령할 점:/점칠 점)
「1」점치는 일.
「2」점술과 복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복점을 놓다.
- 「1」은나라 때에는 모든 것이 복점으로 정해졌다.
- 「1」황제는 대례를 치를 준비를 지시하고 복점을 쳐서 길일을 잡도록 하였다.
- 「2」우리나라에서는 정통적인 복점 이외에도 토정비결 등이 성행하였다.
33. 복점 (複占) [복쩜]
한자: 複(겹칠 복), 占(점령할 점:/점칠 점)
두 공급자가 경쟁적으로 동일 상품을 공급함. 또는 그런 시장 형태.
34. 사점 (私占) [사점]
한자: 私(사사(私事) 사), 占(점령할 점:/점칠 점)
개인이 독차지함.
용례:
법으로 산림의 사점을 엄금하였다.
35. 사점 (柶占) [사점]
한자: 柶(숟가락/윷 사), 占(점령할 점:/점칠 점)
정초에 윷을 던져 그해의 길흉을 알아보는 점. 윷을 세 번 던져 나온 도, 개, 걸, 윷, 모에 괘(卦)를 붙여 괘사(卦辭)를 얻은 후에 이를 육십사괘에 맞추어 점친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占 점령할 점:/점칠 점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